자기생성과 인지 : 살아있음의 실현

(움베르또 마뚜라나 and 프란시스코 바렐라 1980)

  • 움베르또 마뚜라나 and 프란시스코 바렐라 정현주
  • 마뚜라나와 바렐라는 살아있는 체계를 관찰과 기술의 대상 혹은 상호작용하는 체계가 아니라, 오직 자기만을 준거하는 자족적 단위체로 정의하고자 한다. 그들은 이른바 자율적이고 자기준거적이며 자기구축적인 폐쇄적 체계를, 즉 자기생성체계를 상정한다.
  • Autopoiesis and Cognition: The Realization of the Living 인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지에서 관찰자가 하는 역할을 설명해야 한다. 말해진 모든 것은 하나의 살아있는 체계로서의 어떤 관찰자가 말한 것이기 때문이다.

마뚜라나와 바렐라는 살아있는 체계를 관찰과 기술의 대상 혹은 상호작용하는 체계가 아니라, 오직 자기만을 준거하는 자족적 단위체로 정의하고자 한다. 그들은 이른바 자율적이고 자기준거적이며 자기구축적인 폐쇄적 체계를, 즉 자기생성체계를 상정한다.

인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지에서 관찰자가 하는 역할을 설명해야 한다. 말해진 모든 것은 하나의 살아있는 체계로서의 어떤 관찰자가 말한 것이기 때문이다. 마뚜라나와 바렐라는 살아있는 체계를 관찰과 기술의 대상 혹은 상호작용하는 체계가 아니라, 오직 자기만을 준거하는 자족적 단위체로 정의하고자 한다. 그들은 이른바 자율적이고 자기준거적이며 자기구축적인 폐쇄적 체계를, 즉 자기생성체계를 상정한다.

목차

편집자 서문 7 감사의 말 11 움베르또 R. 마뚜라나의 서문 13

1편 인지생물학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헌사 56

1장 서론 57

2장 문제 61

3장 인지기능 일반 62

  1. 관찰자 62
  2. 살아있는 체계 64
  3. 진화 70
  4. 인지과정 72

4장 인지기능 각론 76

  1. 신경세포 76
  2. 구축 85
  3. 기능 88
  4. 표상 90
  5. 기술 100
  6. 사고 105
  7. 자연언어 107
  8. 기억과 학습 118
  9. 관찰자 : 인식론적 함의와 존재론적 함의 124

5장 인지 신경생리학의 제 문제 129

6장 결론 144

7장 후기 162

2편 자기생성 : 살아있음의 조직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스태포드 비어의 머리말 166 서론 187

1장 기계와 살아있음과 그 밖의 것에 관하여 194

  1. 기계 194
  2. 살아있는 기계 196

2장 목적론적 법칙의 불필요성 209

  1. 무목적성 209
  2. 개체성 213

3장 자기생성의 체화 215

  1. 기술적 개념과 인과적 개념 215
  2. 분자적 체화 220
  3. 기원 225

4장 자기생성의 다양성 231

  1. 단위체 조건에의 종속 232
  2. 개체발생의 가소성 235
  3. 재생산, 단위체의 복잡화 239
  4. 진화, 역사적 연결망 244
  5. 2차 등급의 자기생성체계와 3차 등급의 자기생성체계 254

5장 자기생성의 현전 262

  1. 생물학적 함의 262
  2. 인식론적 함의 268
  3. 인지적 함의 275

부록 : 신경계 285

용어 목록 305

옮긴이의 말 311

참고문헌 324

인명 찾아보기 326

용어 찾아보기 328

책 속으로

1968년 5월 초 칠레대학은 혁명의 국면에 진입했다. 학생들은 대학을 점거했다. 그들은 대학의 조직에 반영된 철학을 재구성하려고 했다. 나는 그들과 합류했다. 모든 표준적 학문 활동은 중단되었다. 학생과 일부 교수진은 새로운 것을 말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새로운 것을 말하는 일은 절대 쉽지 않았다. --- p.24, 「움베르또 R. 마뚜라나의 서문」 중에서

“인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반드시 지식(knowledge)과 아는 자(the knower)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해 아는 자가 갖춘 아는 능력에 대한 이해를 거쳐 발생해야만 한다. --- p.24, 「1편 1장 서론」 중에서

살아있는 체계를 상호작용들의 단위체로 만드는 것은 살아있는 체계의 조직의 순환성이다. 스스로를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살아있는 체계의 동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살아있는 체계는 이러한 순환성을 지속해야 한다. --- p.67, 「1편 3장 인지기능 일반」 중에서

뉴런은 하나의 세포이기 때문에 신경계의 해부학적 단위체다. 따라서 뉴런은 스스로를 준거하는, 독립적으로 통합된 물질대사적이고 유전적인 단위체다(뉴런이야말로 살아있는 체계다). --- p.77, 「1편 4장 인지기능 각론」 중에서

관찰자의 인지영역은 경계가 있지만 무한하다. 관찰자는 끝없이 재귀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상호작용의 표상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다른 상황에서라면 독립적일 영역들 사이의 관계들을 스스로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 p.151, 「1편 6장 결론」 중에서

사실, 사회제도가 자기생성적이라면(많은 제도가 적절한 규준을 충족한다고 보인다면), 저자들이 보여주듯이 사회제도는 필연적으로 살아있다. 틀림없이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어쩔 수 없다. 내가 보기에 저자들은 팔을 뻗으면 닿는 거리에서 굉장히 중요한 발견을 쥐고 있다. --- p.183, 「2편, 스태포드 비어의 머리말」 중에서

일반적으로 기계는 적어도 개념적으로는 기계를 완벽하게 예측 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완전히 알려진 결정론적 속성들을 갖춘, 인간이 만든 인공물로 간주된다. 이와는 반대로, 살아있는 체계는 인간과 유사한 합목적적 행동을 하는 자율적이고, 궁극적으로는 예측 불가능한 체계로 종종 선험적으로 간주된다. --- p.207, 「2편 1장 기계와 살아있음과 그 밖의 것에 관하여」 중에서

개체발생은 한 단위체의 구조적 형질전환의 역사다. 따라서 살아있는 체계의 개체발생은 물리적 공간에서 지속적인 자기생성을 통해 살아있는 체계의 동일성을 유지하는 역사라고 할 수 있다. --- p.235, 「2편 4장 자기생성의 다양성」 중에서

하나의 자기생성 단위체의 상호작용 영역은 단위체가 자기생성을 잃지 않고 겪을 수 있는 모든 변형의 영역이다. 각각의 단위체에 있어서 그러한 영역은 그 단위체의 자기생성이 단위체의 구성요소들의 공간에서 실현되는 특수한 양식을 통해서, 즉 단위체의 구조에 의해서 결정된다. --- p.275, 「2편 5장 자기생성의 현전」 중에서

출판사 리뷰

급진적 구성주의의 고전 『자기생성과 인지』는 살아있음을 실현하는 조직의 기제로서 ‘자기생성’ 개념을 제안한다. 또 이 책은 인지를 생물학적 현상으로 규정하며, 인지야말로 모든 살아있는 체계의 본성이라고 본다. 이러한 제안은 철학의 영역이던 인식론을 생물학과 과학의 분야로 전환시키는 강력한 계기가 되었다.

『자기생성과 인지』는 살아있는 체계를 관찰과 기술의 대상 혹은 상호작용하는 체계가 아니라, 오로지 자기만을 준거하는 자족적 단위체로 정의한다. 그리하여 예를 들면 어떤 관찰자가 ‘외부’에서 단위체들을 기술하는 관점은, 이미 마뚜라나와 바렐라가 체계 그 자체의 특성으로 상정하는 것의 근본적인 필요조건을 위반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들은 이른바 자율적이고 자기준거적이며 자기구축적인 폐쇄적 체계를, 즉 자기생성체계를 상정한다. 이 책은 살아있는 체계에서 신경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것을 폐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뉴런들의 연결망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신경계의 활동이 신경계 자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결정론적 접근방법을 통해, 신경계의 폐쇄적 작동의 역학에 근거한 상호작용 체계의 신체성을 생물사회학의 근간으로 제시한다.

살아있다는 것, 그리고 지각한다는 것

1928년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서 태어난 움베르또 마뚜라나는 1948년부터 칠레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1954년부터 영국과 미국으로 유학하여 생물학을 연구했다. 1958년 하버드대학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에서 근무했다. 1960년 산티아고의 칠레대학으로 돌아온 마뚜라나는 두 개의 과업을 맡게 되었다. 하나는 의대생들에게 일반 생물학을 강의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신경생리학과 신경해부학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었다.

한편에서는 의대생들에게 지구상의 살아있는 체계들의 특징과 기원을 강의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개구리의 형태 시각에 관한 연구 결과들을 새의 형태와 색지각 연구에 적용하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질문을 분명히 하게 되었다고 마뚜라나는 『자기생성과 인지』의 서문에서 회고한다. 첫 번째 질문은 ‘살아있음의 조직은 무엇인가?’이며, 두 번째 질문은 ‘지각현상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이다.

살아있음의 조직이란 무엇인가?

강의 시간에 의대생들로부터 ‘살아있음의 조직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마뚜라나는 자신이 명쾌한 답변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쓴다. 살아있는 체계의 특징들을 나열하는 것으로 살아있는 체계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을까? 대학 교수로서 마뚜라나는 재생산, 유전, 성장, 진화, 적응 같은 살아있는 체계의 특징들을 나열하고 설명할 수 있었지만, 그 목록이 언제 끝날지 알 수 없었다. 그리고 그 끝을 알기 위해서라도 살아있는 체계가 갖는 불변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마뚜라나는 ‘목적’이나 ‘기능’, ‘사용’처럼 외부적인 것에 준거하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살아있는 체계의 특수성과 자율성을 적절히 기술할 수 있는 언어를 찾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69년에 처음으로, “살아있는 체계란 자신의 구성요소를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기본적인 순환성을 통해 단위체들로 정의되는 체계”라고 마뚜라나는 정식화했다.

지각현상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마뚜라나는 1950년대 후반에 미국의 인지과학자 제리 레트빈과 개구리 시각에 관한 몇 편의 논문을 함께 썼다. 이후 다른 연구자들과 색지각 연구를 이어갔고 점차 신경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신경계 활동을 외부 세계가 아니라 신경계 그 자체에 의해서 결정된 것으로 다루는 그런 새로운 접근이 필요했다. 또 신경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경계를 닫힌 체계로 간주해야 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고, 지각을 외부 실재에 대한 파악이 아니라 외부 실재에 대한 ‘특정화[구체화]’(specification)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는 흔히 외부의 정보가 신경계에 입력되어 행동으로 출력되는 것으로 인지와 행동 과정을 이해한다. 그러나 마뚜라나는 “폐쇄적 신경망으로서의 신경계에는 입력과 출력이 없다”(292쪽)고 말한다. 입력과 출력은 오직 외부 관찰자가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마뚜라나에 따르면 “유기체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얻는가?”라는 질문은 “유기체는 스스로가 존재하는 매질(medium)에서 적절하게 작동하는 구조를 어떻게 갖게 되었는가?”라는 질문으로 바뀌어야 한다.

「인지생물학」(1970)의 탄생

『자기생성과 인지』의 본문은 크게 두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1편은 「인지생물학」(1970)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1969년 3월 시카고에서 열린 한 심포지엄에서 마뚜라나가 발표한 글을 확장한 것이다. 이때 마뚜라나는 살아있는 체계의 조직에 대한 탐구와 지각현상에 대한 탐구가 결국 동일한 현상에 대한 것임을 발견했다고 쓴다. 다시 말해서, “인지와 살아있는 체계의 작동은 같은 것이다.”

아직 ‘자기생성’ 개념을 발명하기 전이었던 마뚜라나는 이 글에서 ‘순환조직’, ‘자기준거체계’ 같은 개념들로 살아있는 체계를 설명한다. 마뚜라나는 「인지생물학」의 집필은 자신이 어떤 초월적 경험에 이르는 길이었다고 쓰면서 이를 다음과 같이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물질은 정신의 창조(담론 영역에서의 관찰자의 존재 양식)이며, 정신은 바로 그것이 창조하는 물질의 창조라는 발견에 이르는 길이었다. 이러한 점은 역설이 아니라, 인지영역에 있는 우리 존재의 표현이며 이 영역 안에서 인지의 내용은 인지 그 자체이다.”(29쪽)

말해진 모든 것은 어떤 관찰자가 말한 것이다

『자기생성과 인지』의 1편 「인지생물학」이 던지는 핵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과정으로서의 인지란 무엇인가?
  2. 인지는 어떻게 수행되는가?

이 글에 따르면 인지는 반드시 생물학적 현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인지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는 곧 관찰자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연결된다. “말해진 모든 것은 어떤 관찰자가 말한 것이다”라는 유명한 문장은 우리가 인지를 하나의 생물학적 현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지를 규명하고 있는 관찰자와 관찰자의 역할까지 설명에 포함시켜야 함을 지적한다. 그리고 관찰자 또한 살아있는 체계라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관찰자를 포함하여 살아있는 체계는 자기생성적 순환조직이고 이 순환조직이 상호작용 영역들을 구체화한다. 살아있는 체계가 인지적 상호작용에 진입할 때, 살아있는 체계의 내적 상태(가령, 동물의 신경계의 기능)는 스스로의 인지영역을 확장하면서 살아있는 조직을 유지하는 순환방식에 종속된다.

「자기생성 : 살아있음의 실현」(1973)의 탄생

『자기생성과 인지』 2편에 수록된 논문의 제목은 「자기생성 : 살아있음의 실현」(1973)으로, 움베르또 마뚜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가 함께 쓴 것이다. 살아있는 체계의 조직을 설명하는 용어로서 ‘순환조직’이라는 낱말이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느낀 두 사람은 돈키호테에 관한 한 논문에서 착안하여 ‘자기생성’(autopoiesis)이라는,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여러 학문 분야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인 개념을 발명하였다. 자기생성 개념은 사회학, 인공지능 이론, 조직이론, 가족치료 같은 많은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마뚜라나에 따르면 「자기생성」은 「인지생물학」의 한 절인 ‘살아있는 체계’의 내용을 확장한 것이다. 마뚜라나는 「자기생성」의 목표가 “자기생성이 살아있는 체계의 조직을 특성화하는 데 있어서 필요충분조건이라는 점, 그리고 적절한 역사적 우연성들이 주어진다면 우리가 살아있는 체계를 물리적 공간 내의 자기생성체계로 특징짓는 과정에 의해서 모든 생물학적 현상학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30쪽)고 설명한다.

살아있는 체계들은 자기생성기계이고, 자기생성기계들은 자율적이다

『자기생성과 인지』의 2편 「자기생성」의 핵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모든 살아있는 체계에 공통된 조직은 무엇인가?
  2. 살아있는 체계들은 어떤 종류의 기계인가?
  3. 재생산이나 진화를 포함하는 살아있는 체계들의 현상학이 어떻게 자체의 단위체적 조직에 의해서 결정되는가?

마뚜라나에 따르면 환경과 유기체의 관계에 대한 질문에 분명하게 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살아있는 것들에 대한 명확하고 정밀한 관념과 정의가 필요하다. 2편「자기생성」은 1편 「인지생물학」에서 설명한 살아있는 조직의 재귀적 ‘순환성’이야말로 단위체를 살아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유기체가 이 순환성에 종속되어 변화하는 환경과의 연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항상 변화를 허용하면서도 자신의 지속성을 확보해낸다고 설명한다. 마뚜라나와 바렐라에 따르면 살아있는 체계를 구별하는 것은 순환적이고 자기생성적인 조직의 형태이다.

자기생성 이론은 몸과 마음의 데카르트적 이분법을 극복한다

『자기생성과 인지』의 이론적 의의로 크게 두 가지가 언급되곤 한다. 하나는 인지과정을 생물학적 과정으로 간주하는 근본적인 관점 전환을 이루어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관찰자의 발견이다.

물리학자이자 시스템 이론가인 프리초프 카프라는 저서 『생명의 그물』에서 마뚜라나와 바렐라의 인지이론이 살아있는 체계의 모든 현상학을 하나의 총체로 보는 포괄적 이론이라고 평하면서 이들의 이론적 성취가 마음, 물질, 생명을 최초로 통합하여 데카르트적 이분법을 실질적으로 극복하는 것이라고 소개한다. 서양의 철학과 과학의 전통에서 몸과 마음이 분리되어 있다는 생각은 오래된 것이다. 이 전통에서 정신과 몸은 정신이 몸을 지배하는 위계 관계 속에 있다.

그러나 『자기생성과 인지』는 모든 수준의 살아있는 체계에 적용 가능한, 살아있는 것들의 본성에 대한 일관된 과학적 정의와 프레임을 제공하여 생물학적 과정으로서 정신과 물질, 과정과 구조는 떼려야 뗄 수 없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논증한다. 나아가 마뚜라나와 바렐라는 유전자나, 종, 사회/집단 등에 대한 목적론적인 강조가 이론체계 안에서 개체의 소멸을 정당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형태를 갖춘 무목적 체계로서의 개체의 자율성에 대한 분명한 정의를 통해서 강조점을 다시금 개체로 돌려놓는다. 위르겐 하버마스는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문예출판사, 1994)에서 자기생성 이론이 주체-객체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종래의 전통 형이상학 사유를 대체하며, 비-존재론적 체계의 메타 생물학적 사유를 제기한다고 본다.

관찰자와 급진적 구성주의

관찰자의 발견은 실재와 객관성의 문제를 제기한다. 실재는 아는 자의 마음속에 반영된, 관찰자로부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객체의 세계가 아니다. “말해진 모든 것은 관찰자가 말한 것”이기 때문이다. 모든 과학적 설명체계가 불가피하게 관찰자의 입장을 포함한다면, 모든 인식 행위는 지각과 외부 실재의 지점 간의 대응이 아니라 관찰자의 구성에 반드시 의존하는 것이다.

관찰자의 존재론에서 언어가 수행하는 역할에 주목하여 언어를 살아있음과 인식을 통일하는 인식론이 출현하는 메커니즘으로 간주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에 따라 우리가 인간을 생물학과 문화의 재귀적 관계에 기반하는 단위체로 간주할 수 있다면, 언어 구사하기(languaging)는 비로소 인간이 학습하는 근거, 우리가 하나의 세계를 앞에 내놓으면서, 학습의 재귀적 연결고리 속에서 공동 조정된 행동에 대한 공동 조정된 행동을 구축하게 해주는 근거로 출현한다. 따라서 관찰자에 대한 관점은 구성적 존재론의 수용을 요구하며 실재에 대한 근본적인 관점의 변화를 이끌어 존재론적·철학적 변화를 동반한다. 관찰자의 발견은 인공지능학자, 생물학자, 심리학자, 커뮤니케이션 과학자들로 이루어진 학제간 연구인 급진적 구성주의의 중심축이 되었다. 그리고 『자기생성과 인지』는 이 학파의 중심 문서로 자리매김하였다.

움베르또 R. 마뚜라나(1928~2021)와 프란시스코 J. 바렐라(1946~2001)의 활동

마뚜라나는 우리의 인지과정이 세계에 대한 지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하면서 실재가 객관적으로 외부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담론의 관계영역에서 관찰자들의 기술행위에 의한 감각지각적-작동적-관계적 공통의 구성물이라는 테제를 일생 동안 해명했다. 그의 설명체계는 살아있는 체계(자기생성), 언어와 인지(언어생물학과 인지생물학), 인간다움(사랑의 생물학), 문화(문화생물학)까지 포괄한다. 마뚜라나는 씨메나 다빌라 야네쓰와 함께 2000년에 칠레 산티아고에서 〈마뜨리스티카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이 연구소는 이후 문화생물학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삶의 방식과 관계적 본성을 연구하는 학교가 되었다.

프란시스코 바렐라 역시 마뚜라나와 함께 생물학에 도입된 자기생성 개념의 공동 창시자로서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이후로는 자기생성 이론과 그 이론 너머로 확장되는 쟁점과 개념을 탐구했다. 1987년에 과학과 불교 간의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마음과 생명연구소〉(Mind and Life Institute)를 설립하여 두 영역 간의 연결고리로서 마음과학(mind sciences), 명상수행 등의 주제를 다루도록 지원했다. 1991년에 출간된 저서 『몸의 인지과학』(김영사, 2013)에서는 행화주의적 인지과학(enactive cognitive science)을 탐구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했다. 이 책에서 그는 중관불교를 끌어들여 인간의 정신현상에 접근할 때 서구 과학이 직면하게 되는 몸과 마음의 이원적 딜레마를 적극적으로 극복하고자 했다. 1988년부터 〈프랑스국립과학연구원〉의 연구 책임자로서 신경현상학이라고 명명한 새로운 분야와 의식연구에 모든 에너지를 집중했다. 그의 일생과 저작 목록은 에반 톰슨이 쓴 「생명과 마음 : 오토포이에시스로부터 신경현상학까지」(『윤리적 노하우』, 139~175쪽)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뚜라나와 바렐라는 프리초프 카프라의 『생명의 그물』에서 산티아고 인지학파로 언급된다. 공동으로 작업한 자기생성이론 이후로 바렐라는 의식과 인지적 자율성에 집중하여 개체의 신경계를 실재의 유의미한 생산자로 보려고 한 반면 마뚜라나는 사회 또는 문화와 같이 더 큰 규모의 단위의 기반을 이루는 것으로서의 자기생성적 조직을 해명하는 경로를 따르면서 둘은 서로 양립하기 어려운 연구의 길을 걸어갔다.

한편 이들의 자기생성 개념은 1980년대 초부터 큰 인기를 얻기 시작했고, 학계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자율적 형태의 실재를 산출하는 과정의 대명사가 되었다. 이 개념은 시스템 사상, 가족치료, 사회학, 미디어연구, 과학학, 인식론, 심리학, 법학, 언어학에까지 널리 통용되는 유행하는 개념이 되었다.

추천평

베른하르트 푀르크젠 (미디어학자, 『불확실성의 확실성』의 지은이)

『자기생성과 인지』의 1편 「인지생물학」은 철학의 역사에서 새로운 출발을 표상하며, 오늘날 구성주의로 알려진 학파의 핵심적인 문헌이 되었다. 이 글은 생물학적 관점에서 인지 과정을 연구할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며, 그로써 한때 철학의 중심 영역이었던 지식 이론, 즉 인식론은 과학 분야로 전환된다.

프리초프 카프라 (물리학자, 시스템 이론가, 『생명의 그물』의 지은이)

이제 우리는 300년 이상 서양의 과학과 철학을 괴롭혀 온 데카르트적 정신과 물질의 구분을 극복하는 과학 이론의 윤곽을 갖게 되었다. 데카르트의 믿음처럼 마음과 물질은 더는 별개의 실체가 아니라 생명 현상의 두 가지 상호보완적 측면, 즉 과정과 구조를 나타낸다. 가장 단순한 세포부터 시작하여 모든 수준의 생명체에서 정신과 물질, 과정과 구조는 떼려야 뗄 수 없이 연결되어 있다. 최초로 마음, 물질, 생명을 통합하는 과학이론이 등장했고 이것이 움베르또 마뚜라나의 가장 큰 업적이다.

앎의 나무 - 인간 인지능력의 생물학적 뿌리

(움베르또 마뚜라나 and 프란시스코 바렐라 1987)

  • 움베르또 마뚜라나 and 프란시스코 바렐라 최호영
  • 신경생물학자 움베르또 마뚜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가 삶과 앎의 근본과정에 관한 자신들의 체계관(Systembild)을 담은 책. 이 체계관은 생물학의 세계관뿐 아니라 우리의 전통적인 세계관까지 뒤엎고 있다. 다윈주의의 영향을 받은 과거 생물학에 따르면 생물이란 환경에 되도록 완벽하게 적응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따라서 생물은 객관적인 바깥세계에 노예처럼 얽매여 있다. 그러나 마뚜라나와 바렐라가 주장하는 체계생물학에서 ‘객관적’ 실재란 존재하지 않는다. 생명체는 ― 따라서 또한 인간은 ― 삶에 필요한 근본조건들만 채운다면 이미 있는 것들에 그저 반응하는 대신 스스로 자유롭게 자기 세계를 만들어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체는 겉보기에 객관적인 실재의 창조에 결정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이 과정을 환히 밝히는 것이 바로 지은이들의 연구목표다. 인류 역사 속에서 특히 현인과 신비주의자와 철학자들이 주장해 온 주체와 객체의 통일, 나눌 수 없는 존재의 전체성이 이제 여기서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증명된다.
  • The Tree of Knowledge: The Biological Roots of Human Understanding

책소개

신경생물학자 움베르또 마뚜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가 삶과 앎의 근본과정에 관한 자신들의 체계관(Systembild)을 담은 책.

이 체계관은 생물학의 세계관뿐 아니라 우리의 전통적인 세계관까지 뒤엎고 있다. 다윈주의의 영향을 받은 과거 생물학에 따르면 생물이란 환경에 되도록 완벽하게 적응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따라서 생물은 객관적인 바깥세계에 노예처럼 얽매여 있다. 그러나 마뚜라나와 바렐라가 주장하는 체계생물학에서 ‘객관적’ 실재란 존재하지 않는다. 생명체는 ― 따라서 또한 인간은 ― 삶에 필요한 근본조건들만 채운다면 이미 있는 것들에 그저 반응하는 대신 스스로 자유롭게 자기 세계를 만들어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체는 겉보기에 객관적인 실재의 창조에 결정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이 과정을 환히 밝히는 것이 바로 지은이들의 연구목표다. 인류 역사 속에서 특히 현인과 신비주의자와 철학자들이 주장해 온 주체와 객체의 통일, 나눌 수 없는 존재의 전체성이 이제 여기서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증명된다.

머리말

1 앎을 알기

2 생명체의 조직

3 역사: 생식과 유전

4 ‘메타세포체’의 삶

5 생물의 자연표류

6 행동의 영역

7 신경계와 인식

8 사회적 현상

9 언어적 영역과 인간의 의식

10 앎의 나무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후기

옮긴이의 말

용어풀이

찾아보기

출판사 리뷰

『앎의 나무』, 구성주의의 고전

칠레의 생물학자이자 철학자인 마뚜라나(Maturana)와 바렐라(Varela)가 함께 쓴 『앎의 나무』는 요즘 여러 학문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구성주의(constructivism)의 고전이라 할 수 있다. 구성주의란 지식 또는 진리가 객관적 실재(reality)의 반영이라기보다 인식자(knower)가 구성해낸 것이라고 보는 인식론적 입장이다.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인식 주체의 속성이 반영된 지식을 주관적이고 따라서 열등한 지식으로 보며 지식에서 주체의 속성을 최대한 제거해야만 비로소 ‘객관적 진리’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런 객관주의적 과학관(objectivist view of sciences)에 반대하는 구성주의자들은 이른바 ‘객관적 진리’의 주체적 성립조건에 대한 성찰이 포함되어야 비로소 온전한 지식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그런 뜻에서 성찰적인 과학관(reflexive view of sciences)을 주창한다.

생물은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자기생성적 자율적 체계다!

인식자의 속성이란 관점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규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이트는 인식자의 무의식적 조건을 문제 삼았으며 맑스는 인식자의 계급적 조건을,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적 조건을, 여성주의자들은 성적 조건을 문제 삼았다. 이와 달리 생물학자인 지은이들의 관심은 인식자의 생물학적 조건을 규명하는 데 있다. 지은이들은 생물이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자기생성체계’(autopoietic system)라고 본다. 자기생성체계는 자기 작업을 통해 자기를 정의하고 실현하므로 자율적인 체계다. 바렐라에 따르면 어떤 체계를 컴퓨터처럼 타율적 체계 또는 통제된 체계로 볼 때 체계와 상호작용하는 우리의 근본 범주는 ‘명령’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잘못’이다. 반면에 자율적 체계로 볼 때 근본 범주는 ‘대화’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이해의 단절’이다. 다윈주의의 영향을 받은 과거 생물학에서는 생물을 환경에 적응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매우 수동적인 존재로 보았다. 그러나 지은이들은 생물이 자기생성의 역동성을 바탕으로 각 종마다 독특한 자기의 환경을 산출(bring forth)하며 이것이 바로 생물학적 인지활동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지은이들은 생명현상과 인지현상에 대한 자신들의 견해를 최신 체계이론과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개념들을 사용해 구체화하고 있다. 예컨대 생물의 ‘자연표류’(natural drift)를 통한 계통발생, 생물과 환경의 ‘공진화’(co-evolution), 생물과 신경계의 ‘작업적 폐쇄성’(operational closure), 생물들 사이의 ‘구조접속’(structural coupling)을 통한 사회적 현상의 출현, 재귀적 행동조정을 통한 언어의 출현 등등. 언뜻 보기에 생경한 개념들이지만, 이것들은 그저 새로운 단어가 아니라 ‘객관적’ 세계를 가정하는 고정관념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켜 사고의 새로운 차원과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런 모든 것들을 통해 지은이들이 말하고자 하는 근본명제는 인식 주체와 객체의 나뉠 수 없는 통일성이다. 지은이들의 표현을 빌리자면 “함이 곧 앎이며 앎이 곧 함이다.”

2024-12-20

@user 움베르또 마뚜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에 대해서 알려줘

@assistant 움베르토 마투라나(Humberto Maturana)와 프란시스코 바렐라(Francisco Varela)는 생물학, 신경과학, 철학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한 학자들입니다. 다음은 그들의 주요 개념과 업적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움베르토 마뚜라나:

  • 생물학적 자기생성(Autopoiesis): 마투라나는 생명체가 스스로를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능력을 설명하기 위해 자기생성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이는 생명체가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도 독립적으로 자신을 구성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신경과학: 그는 신경과학에서도 중요한 연구를 했으며, 특히 시각 인식과 관련된 연구로 유명합니다.

프란시스코 바렐라:

  • 인지과학: 바렐라는 인지과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인지과학을 생물학적, 심리학적, 철학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했습니다.
  • 현상학적 접근: 바렐라는 현상학을 인지과학에 도입하여, 경험의 주관적 측면을 연구하는 방법론을 제안했습니다.
  • 자기생성와 인지: 바렐라는 마투라나와 함께 자기생성 개념을 확장하여 인지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이는 인지적 과정이 단순히 정보 처리가 아니라, 생명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다는 관점을 제시합니다.

공동 작업:

  • *마투라나와 바렐라는 함께 '자기생성와 인지'라는 책을 저술*하여, 생명체의 인지 과정이 어떻게 자기생성적 구조와 관련이 있는지 설명했습니다. 이 책은 생명과학, 인지과학, 철학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두 학자는 생명체의 인지와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전통적인 정보 처리 모델을 넘어서, 생명체가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스스로를 유지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습니다.

@user 두 분 중에 먼저 돌아가신 분이 있었는데?

@assistant 프란시스코 바렐라(Francisco Varela)는 2001년에 54세의 나이로 돌아가셨습니다. 따라서, 두 학자 중 먼저 돌아가신 분은 바렐라입니다.

@user 마뚜라나는 살아계시고?

@assistant 아니요, 움베르토 마투라나(Humberto Maturana)는 2021년 5월 6일에 92세의 나이로 돌아가셨습니다. 따라서, 두 학자 모두 현재는 생존하지 않습니다.

@user 그래. 대표적인 저서들을 소개해줘.

@assistant 움베르토 마투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대표적인 저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움베르토 마투라나:

  • "Autopoiesis and Cognition: The Realization of the Living" (1980) - 마투라나와 바렐라가 공동 저술한 이 책은 자기생성 개념을 소개하고, 생명체의 인지 과정을 설명합니다.
  • "The Tree of Knowledge: The Biological Roots of Human Understanding" (1987) - 이 책은 생명체의 인지와 지식의 기원을 탐구하며, 인간의 이해를 생물학적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프란시스코 바렐라:

  • "The Embodied Mind: Cognitive Science and Human Experience" (1991) - 바렐라, 에번 톰슨(Evan Thompson), 그리고 일레나 로시(Eleanor Rosch)와 공동 저술한 이 책은 인지과학을 현상학적 접근으로 통합하여, 인지 과정을 신체적 경험과 연결시킵니다.
  • "Ethical Know-How: Action, Wisdom, and Cognition" (1999) - 이 책은 윤리적 행동과 지혜를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탐구합니다.

공동 저서:

  • "Autopoiesis and Cognition: The Realization of the Living" (1980)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책은 두 학자가 함께 쓴 저서로, 자기생성와 인지의 관계를 다룹니다.

이 저서들은 생명과학, 인지과학, 철학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생명체의 인지와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습니다.

@user 한글로 제목도 알려줄래?

@assistant 물론입니다. 다음은 움베르토 마투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대표적인 저서들의 한글 제목입니다:

움베르토 마투라나:

  • "자기생성와 인지: 생명의 실현" (1980) - 마투라나와 바렐라가 공동 저술한 이 책은 자기생성 개념을 소개하고, 생명체의 인지 과정을 설명합니다.
  • "지식의 나무: 인간 이해의 생물학적 뿌리" (1987) - 이 책은 생명체의 인지와 지식의 기원을 탐구하며, 인간의 이해를 생물학적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프란시스코 바렐라:

  • "구현된 마음: 인지과학과 인간 경험" (1991) - 바렐라, 에번 톰슨(Evan Thompson), 그리고 일레나 로시(Eleanor Rosch)와 공동 저술한 이 책은 인지과학을 현상학적 접근으로 통합하여, 인지 과정을 신체적 경험과 연결시킵니다.
  • "윤리적 노하우: 행동, 지혜, 인지" (1999) - 이 책은 윤리적 행동과 지혜를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탐구합니다.

공동 저서:

  • "자기생성와 인지: 생명의 실현" (1980)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책은 두 학자가 함께 쓴 저서로, 자기생성와 인지의 관계를 다룹니다.

이 저서들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간되었거나, 번역 예정인 경우도 있습니다.

@user 공동저술한 책들이 1980년대 작품이라 이후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을 것 같아. 이후에 관련 주제의 대표적 연구자와 저서를 소개해줘

@assistant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자기생성와 인지에 대한 연구는 이후에도 많은 학자들에 의해 발전되고 확장되었습니다. 다음은 그들의 연구를 이어가거나 관련된 주제를 탐구한 대표적인 연구자와 저서들입니다:

에번 톰슨(Evan Thompson):

  • "Mind in Life: Biology, Phenomenology, and the Sciences of Mind" (2007) - 이 책은 생명체의 인지와 현상학적 경험을 통합적으로 탐구하며,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자기생성 개념을 확장합니다.

알바 노에(Alva Noë):

  • "Action in Perception" (2004) - 이 책은 인지과학과 철학을 통합하여, 인지 과정이 단순히 정보 처리가 아니라, 행동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다는 관점을 제시합니다.

안토니오 다마시오(Antonio Damasio):

  • "Descartes' Error: Emotion, Reason, and the Human Brain" (1994) - 다마시오는 감정과 이성의 관계를 탐구하며, 인지 과정에서 신체적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마크 존슨(Mark Johnson):

  • "The Body in the Mind: The Bodily Basis of Meaning, Imagination, and Reason" (1987) - 이 책은 인지과학과 철학을 통합하여, 의미, 상상력, 이성의 기초가 신체적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합니다.

프란시스코 호프마이스터(Francisco J. Varela)와 그의 동료들:

  • "The View from Within: First-person Approaches to the Study of Consciousness" (1997) - 이 책은 바렐라와 그의 동료들이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의식 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자기생성와 인지에 대한 연구는 인지과학, 신경과학, 철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자들은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인지 과정의 생물학적, 신체적, 환경적 측면을 더욱 깊이 탐구하고 있습니다.

@user 자기생성 이론과 니클라스

#관련노트

References

움베르또 마뚜라나, and 프란시스코 바렐라. 1980. 자기생성과 인지 : 살아있음의 실현. Translated by 정현주. https://m.yes24.com/Goods/Detail/123382621.

———. 1987. 앎의 나무 - 인간 인지능력의 생물학적 뿌리. Translated by 최호영. https://www.yes24.com/Product/Goods/2535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