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4 Tue 10:19]
강현석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방법 전공으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Post-Doc. 과정을 이수했으며 Department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에서 연구원(Honorary Fellow)을 역임하였다. 한국대학교육 협의회 고등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 순천대학교 교수를 거쳐 교육부 정책자 문 위원, 대학설립심사위원,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심의위원 및 위원장 등으로 활 동하였다. 현재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 교육학회 및 한국교 육과정학회 부회장, 한국내러티브 교육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내러티브와 교육 - 삶, 앎, 그리고 가르침
(강현석 2023a)
- 강현석
- 이 책은 인간을 내러티브적 존재로 보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의 방향과 모습을 고민한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경험을 내러티브 형식으로 구조화하고, 유의미하게 구성한 이야기에 비추어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지각하고 인식하고 도덕적으로 선택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점을 우리가 수용한다면 우리가 실제 맥락에서 실천하는 교육의 모습도 새롭게 바라볼 필요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근본적인 취지하에서 이 책은 ‘내러티브와 교육’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의 모습을 새롭게 그려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도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하여 본 저서는 크게 세 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내러티브를 기초로 교육을 새롭게 바라보기 위해 내러티브가 무엇이며 왜 중요한지를 살펴본 후, 이에 기초하여 인간의 문제, 지식의 문제, 구체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문제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책소개
이 책은 인간을 내러티브적 존재로 보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의 방향과 모습을 고민한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경험을 내러티브 형식으로 구조화하고, 유의미하게 구성한 이야기에 비추어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지각하고 인식하고 도덕적으로 선택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점을 우리가 수용한다면 우리가 실제 맥락에서 실천하는 교육의 모습도 새롭게 바라볼 필요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근본적인 취지하에서 이 책은 ‘내러티브와 교육’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의 모습을 새롭게 그려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도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하여 본 저서는 크게 세 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내러티브를 기초로 교육을 새롭게 바라보기 위해 내러티브가 무엇이며 왜 중요한지를 살펴본 후, 이에 기초하여 인간의 문제, 지식의 문제, 구체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문제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목차 서문
제1부 - 왜 내러티브인가
제1장-내러티브란 무엇인가
- 내러티브의 의미
- 내러티브와 인간
- 내러티브와 지식: 내러티브 지식과 내러티브 인식론
- 내러티브와 교육
제2장-내러티브 등장 배경
- 학문적 배경
- 문화구성주의
- 내러티브 전회
제3장-내러티브의 확장: 사고양식과 지식의 구조
- 사고양식으로서 내러티브
- 지식의 구조로서 내러티브
제2부 - 내러티브와 인간
제4장-내러티브 이전의 인간관
- 기본 전제: 인간의 마음에 대한 관점
- 주체 개념으로 본 인간관
- 교육받은 인간의 특징
- 인간 마음에 대한 연구로 본 인간관
제5장-내러티브와 인간 존재
- 내러티브 관점에서 본 인간 존재
- 내러티브와 시간성
- 행위를 설명하는 내러티브
제6장-의미 구성 존재로서 인간: 내러티브 자아
- 기존의 자아관과 변화하는 자아관
- 내러티브 자아 구성
제3부 - 내러티브와 지식
제7장-내러티브 이전의 지식관
- 과거 지식 분류
- 근대적 지식관: 정초주의, 실증경험주의
제8장-내러티브와 새로운 지식관
- 지식을 바라보는 변화의 징후들
- 인간 마음을 새롭게 보기
-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에서 바라보는 새로운 지식
제9장-내러티브 인식론의 전개
- 내러티브 인식론의 대두: Bruner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 내러티브적 앎의 성격
- 내러티브적 앎의 이론적 위치
- 내러티브 인식론
제4부 - 내러티브와 교육의 과정
제10장-내러티브 이전의 교육 양태
- 도관을 통한 전달식 교육 모형: Conduit Metaphor
- 기존의 수업이론
- 중간언어 교육: 중간언어 접근
제11장-내러티브와 교수학: Folk Pedagogy와 교수 설계
- 지식의 교수-학습의 변화 토대
- Folk Pedagogy로의 전환
- Narrative Pedagogy로의 혁신적 변환
- 내러티브 학습
- 브루너의 내러티브 수업이론
제12장-내러티브 기반 교육 혁신
- 내러티브 사고와 교육: 전달이 아닌 구성하는 교육
- 내러티브 교수와 교육과정으로의 대전환
- 내러티브 기반 페다고지: 내러티브 인식론으로 수업 바라보기
- 내러티브 자아와 자아정체성 교육이 중요하다
제13장-마무리와 미래 과제
- 현재 문제: 입시로 뒤틀린 한국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 내러티브 역량 교육: 인간사회의 미래와 내러티브 역량
- 내러티브 기반 미래 구성: 창의, 상상력
- Folk Pedagogy에 기반한 역량 교수 실천 재구조화
- 진정한 내러티브 자기성 교육
참고문헌 찾아보기 접어보기
스토리와 뇌는 어떻게 협력하는가 - 네러티브 신경과학
(폴 암스트롱 2024)
- 폴 암스트롱 강현석 and 노진규 and 신광미
- 우리의 뇌는 어떻게 이야기를 하고 따라갈 수 있게 해줄까? 그리고 이야기는 우리의 정신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암스트롱(Paul B. Armstrong)은 『이야기와 뇌(Stories and the Brain)』에서 이야기를 구성하고 교환하는 데 수반되는 인지
- Stories and the Brain - The Neuroscience of Narrative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실천: 전이 가능한 이해의 촉진 전략
(강현석 2021)
- 강현석 신광미
- 목차 제1장 개념 기반 탐구의 기초 제2장 개념 기반 탐구 제3장 개념 기반 탐구의 계획 제4장 관계 맺기 제5장 집중하기 제6장 조사하기 제7장 조직 및 정리하기 제8장 일반화하기 제9장 전이하기 제10장 성찰하기 제11장 결론
Carla Marschall,Rachel French and Rachel French 2021 신광미
책소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실천』의 제1부(제1장과 제2장)에서는 탐구 기반 학습과 개념 기반 학습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탐구 기반 학습과 개념 기반 학습이 가지고 올 수 있는 이점과 과제를 고려하여 탐구 유형에 대해 설명한다. 제2장은 이해를 가르치는 귀납적 탐구의 한 형태로서 개념 기반 탐구를 정의하고 그 특징을 설명한다. 각 탐구 단계에 대한 설명과 함께 탐구 모델이 제시되고 있다. 제2부(제3장)에서는 각 단계를 하나로 모아서 한 단원 안에서 탐구 모델을 구현하는 방법을 보여 준다. 단원 계획 과정에 초점을 맞춘 이 장에서는 개념적 사고를 탐구에 통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제3부(제4장~제10장)에서는 탐구 모델의 각 단계를 독자에게 안내하고 있다.
목차
제1장 개념 기반 탐구의 기초 제2장 개념 기반 탐구 제3장 개념 기반 탐구의 계획 제4장 관계 맺기 제5장 집중하기 제6장 조사하기 제7장 조직 및 정리하기 제8장 일반화하기 제9장 전이하기 제10장 성찰하기 제11장 결론
저 : Carla Marschall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실천』의 저자이다.
저 : Rachel French
남미, 아프리카, 유럽, 오세아니아주의 학교에서 일한 국제적 경험이 많은 교육자이다. 린 에릭슨, 오리스 래닝과 함께 발표도 하고 교사 훈력도 하는 독입 컨설턴트이다.
역 : 신광미
Johns Hopkins University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석사 졸업 미국 메릴랜드 K-12 ELL 교사, IB 워크숍 리더 (현재) 경북대 대학원 교육학 박사 과정 부산 남성초등학교 국제교육부 본부장
교육의 인지 지도 넓히기: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교육적 응용 - 개념 지시체 인지언어학
(강현석 2023b)
- 강현석
- 단순히 교육을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와 메타포를 활용할 수 있다거나 이 양자를 통하여 교육이라는 개념(지시체)을 잘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넘어서서 교육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교육의 인지언어학’을 제안하고자 한다
신교육목표분류학의 이론과 실천
(강현석 2024)
- 강현석
- 한국의 교육과정과 교실 수업의 큰 문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과 설정, 성취기준 재구성, 단원 및 수업 목표의 설정, 평가 기준 및 방법, 평가 문항의 출제 및 채점, 루브릭의 작성 등에서 여전히 1956년에 제시된 Bloom 등의 교육목표분류학에 의존하고
책소개
한국의 교육과정과 교실 수업의 큰 문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과 설정, 성취기준 재구성, 단원 및 수업 목표의 설정, 평가 기준 및 방법, 평가 문항의 출제 및 채점, 루브릭의 작성 등에서 여전히 1956년에 제시된 Bloom 등의 교육목표분류학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직도 68년 전의 것을 사용하고 있는 형국이다. 1956년 이후로 학습자의 학습과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들(주로 학습이론이나 심리이론 등)이 매우 다양하게 출현하였으며, 지금에도 매우 진전된 이론들(인지이론, 구성주의, 뇌기반 학습이론, 학습과학, 복잡계 접근, 신경과학 등)이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1956년의 구체제를 넘어서야 할 시점이다. 교육목표분류학은 주지하다시피 주로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자들)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많은 비판을 받고 있어서 이제 새로운 분류학이 등장하고 있다. 이 책은 교육과정-수업-평가를 혁신하고자 하는 교육자들에게 많은 혜택을 안겨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저자 서문 / 3
Ⅰ. 신교육목표분류학의 대두
제1장 교육목표분류학의 필요성과 가치: Bloom의 분류학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 15
- 교육목표분류학의 역사: Bloom의 분류학의 사용에 대한 간략한 역사 16
- 과거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 요약 21
- 교육목표분류학의 가치 26
제2장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의 문제점 29
- 원리의 교육적 문제 31
- 원리의 중립성 문제 31
- 정보, 내용, 지식의 구분 32
- 유목의 구인타당도, 유목의 모호성, 위계의 비타당성 32
- 유목의 변화 33
- 일차원적 단일성 34
제3장 구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대응: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대안적 연구들 37
- 과거, 현재, 그리고 변화 37
- Bloom의 분류학에 대한 개정의 노력: 하나의 단서 40
- 한국에서의 선행연구 44
Ⅱ. 신교육목표분류학의 이론과 다양한 버전
제4장 신교육목표분류학의 이론 49
- 교육목표에 대한 새로운 관점 49
- 신분류학의 이론적 기초: 인지 구성주의와 신행동 모형 50
- 다양한 교육목표분류학과 사례 53
제5장 Hauenstein의 분류학(1998) 55
- 개요 55
- 특징 55
- 활용상의 이점 56
제6장 Anderson의 분류학(2001) 67
- 개요 67
- 특징 67
- 분류학 표 활용 방법 68
제7장 Marzano의 분류학(2001) 77
- 개요 77
- 특징 78
- 활용상의 이점 81
제8장 Marzano & Kendall의 분류학(2007) 87
- 개요 87
- 특징 114
- 활용상의 이점 117
제9장 Marzano & Kendall의 신교육목표분류학(2008) 119
- 개요 119
- 특징 149
- 활용상의 이점 151
Ⅲ. 신교육목표분류학의 실천
제10장 Anderson의 분류학의 수업 실제 적용 155
- 지식 차원 155
- 인지과정 차원 157
- 활용의 실제 159
제11장 Hauenstein의 분류학의 수업 실제 적용 193
- 행동 영역 193
- 인지적 영역 195
- 정의적 영역 197
- 심동적 영역 198
- 활용의 실제 200
제12장 Marzano & Kendall의 분류학(Ⅰ)의 수업의 실제 적용 205
- 지식 영역 205
- 처리 수준 206
- 활용의 실제 208
제13장 Marzano & Kendall의 분류학(Ⅱ)의 수업 실제 적용 231
- 인출 232
- 이해 235
- 분석 237
- 지식 활용 242
- 메타인지 체제 246
- 자기 체제 250
제14장 암기, 이해, 발견의 분류학과 실천 255
- 암기 256
- 이해 261
- 발견 274
- 교과별 문항과 목표 285
제15장 미래 학습성과 분류학과 실천: 초교과적 학습성과를 중심으로 311
- 교육에서 계획적 변화의 대상으로서 인간 행동 영역과 수준: Hauenstein 분류 틀의 재구성 311
- 초교과적 학습 성과의 정의 317
- 학습목표 유형: McTighe(2013) 연구 기반 319
- 수행 영역 및 수행 지표 322
- 범교과적 학습 성과(효과)에 대한 평가 327
- 초석 과제 328
Ⅳ. 교육과정 실천의 혁신 적용
제16장 백워드 설계의 적용 345
- 백워드 설계의 특징과 단계 345
- 백워드 설계와의 관련성 349
- 백워드 설계의 적용 352
제17장 과정중심 수행평가의 적용 363
- 과정중심 수행평가의 배경과 절차 363
- 과정중심 수행평가와의 관련성 368
- 과정중심 수행평가에의 적용 371
제18장 IB의 적용 379
- IB 프로그램의 유형과 특징 379
- IB 프로그램과의 관련성 392
- IB에의 적용 401
Ⅴ. 교육과정과 교사 전문성
제19장 교육과정 재구성 417
-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심화 및 재구성 417
- 단원 설계 418
- 교육과정 매핑: 장기적 전이 목표를 지향하는 3세대 매핑 419
제20장 수업 설계의 전환 423
- 수업 설계의 조건 423
- 수업 목표 진술 424
제21장 평가의 재구성 427
- 평가기준 보완 427
- 평가문항, 루브릭의 고도화 427
- 수행평가, 서, 논술형 확장 428
제22장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연계성: 초교과적 교육효과를 중심으로 431
- 대두 배경 431
- 이론적 중요성 432
- 학교 현장의 현황과 문제점 437
- 교과 적용 방안 439
제23장 신교육목표분류학 활성화: 행동 유목 고도화로 심층적 학습 전환 445
-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도입 가능성 445
- 수업과 평가의 변화 가능성 446
- 신행동분류학 활성화 447
참고문헌 450 찾아보기 454
출판사 리뷰
한국의 교육과정과 교실 수업의 큰 문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과 설정, 성취기준 재구성, 단원 및 수업 목표의 설정, 평가 기준 및 방법, 평가 문항의 출제 및 채점, 루브릭의 작성 등에서 여전히 1956년에 제시된 Bloom 등의 교육목표분류학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직도 68년 전의 것을 사용하고 있는 형국이다. 1956년 이후로 학습자의 학습과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들(주로 학습이론이나 심리이론 등)이 매우 다양하게 출현하였으며, 지금에도 매우 진전된 이론들(인지이론, 구성주의, 뇌기반 학습이론, 학습과학, 복잡계 접근, 신경과학 등)이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1956년의 구체제를 넘어서야 할 시점이다. 교육목표분류학은 주지하다시피 주로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자들)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많은 비판을 받고 있어서 이제 새로운 분류학이 등장하고 있다. 이 책은 교육과정-수업-평가를 혁신하고자 하는 교육자들에게 많은 혜택을 안겨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교육 활동이 목표로 삼아야 하는 바를 분명하게 해준다는 점이다. 무릇 모든 교육활동은 그 추구하는 바가 분명해야 한다. 목표분류학은 이 문제를 명쾌하게 해결해준다.
둘째, 교사에게 구체적인 정보와 안내를 제공해준다. 교사가 하는 일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핵심적인 일은 교과를 가르쳐서 학습자의 행동을 가치로운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일을 교육과정 기준 분석과 해석, 수업 기준 설정, 평가 기준을 통해 가능하도록 해준다.
셋째, 교육과정 기준을 다양하고도 폭넓게 이해하도록 해준다. 현재 한국의 국가교육과정 수준에서는 교과별 단원 성취기준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물론 교사의 입장에서는 교과 수업목표 작성 시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편이다.
넷째,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기준들 간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세 가지 수준의 연계성이 높아야 교육의 일관성과 예측가능성, 질 제고와 관리가 가능해진다.
다섯째, 진정한 이해, 심층적 학습, 역량기반 교육이 효과적으로 실천될 수 있다. 목표분류학에서 강조하는 것은 학습자의 행동 수준이며, 이 수준들이 무엇을 의미하며, 학습과 평가 시에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를 분명하게 할 것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백워드 설계에서 강조하는 전이 가능한 이해(transferable understanding), 심층적 학습, 역량기반 교육도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2024-12-24
@user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해서 소개해줘
@assistant 교육목표분류학(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은 교육에서 학습자의 목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정의하는 이론적 틀입니다. 이는 교육과정 설계, 수업 계획, 평가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음은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간략한 소개입니다:
1.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 (1956)
-
인지적 영역 (Cognitive Domain):
- 지식 (Knowledge): 사실, 용어, 방법 등을 기억하는 능력.
- 이해 (Comprehension): 정보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
- 응용 (Application):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
- 분석 (Analysis): 정보를 구성 요소로 나누고 관계를 분석하는 능력.
- 종합 (Synthesis): 새로운 전체를 구성하거나 창조하는 능력.
- 평가 (Evaluation): 정보의 가치나 유효성을 판단하는 능력.
-
정의적 영역 (Affective Domain):
- 수용 (Receiving): 새로운 가치나 태도를 받아들이는 단계.
- 반응 (Responding): 받아들인 가치에 반응하는 단계.
- 가치화 (Valuing):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고 행동에 옮기는 단계.
- 조직화 (Organization): 여러 가치를 조직하고 통합하는 단계.
- 성격화 (Characterization): 가치가 개인의 성격으로 자리잡는 단계.
-
심동적 영역 (Psychomotor Domain):
- 지각 (Perception): 감각을 통해 정보를 인식하는 능력.
- 준비 (Set): 행동을 위한 신체적 준비 상태.
- 유도적 반응 (Guided Response): 지시나 모델을 따라 행동하는 단계.
- 기계적 반응 (Mechanism): 반복을 통해 자동화된 행동.
- 복잡한 반응 (Complex Overt Response): 고도로 복잡한 신체적 행동.
- 적응 (Adaptation): 새로운 상황에 맞게 행동을 조정하는 능력.
- 창조 (Origination): 새로운 신체적 행동을 창조하는 능력.
2. 신교육목표분류학
-
Anderson과 Krathwohl의 개정판 (2001):
- Bloom의 분류학을 개정하여 '인지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으로 나누었습니다.
- 인지과정 차원: 기억, 이해, 적용, 분석, 평가, 창조.
- 지식 차원: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
-
Marzano와 Kendall의 분류학 (2007, 2008):
- 지식 영역: 정보 획득, 지식 통합, 지식 확장.
- 처리 수준: 인출, 이해, 분석, 지식 활용, 메타인지, 자기 체제.
3. 교육목표분류학의 중요성
- 교육과정 설계: 교육과정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여 학습자의 학습 경로를 체계적으로 계획할 수 있습니다.
- 수업 계획: 교사의 수업 설계를 돕고, 학습자의 학습 목표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 평가: 학습자의 성취도를 평가할 때, 목표에 맞는 평가 방법을 선택하고, 학습자의 발전 단계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 학습자 중심 교육: 학습자의 필요와 발달 단계에 맞춘 교육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교육목표분류학은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이 분류학은 교육자들이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교육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user 위의 모든 정보를 기준으로 강현석 교수의 교육 이론은?
@assistant 강현석 교수의 교육 이론은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내러티브 중심의 교육
- 인간을 내러티브적 존재로 인식: 강현석 교수는 인간을 내러티브적 존재로 보고, 인간의 경험을 내러티브 형식으로 구조화하고 의미를 구성하는 존재로 이해합니다. 이는 교육에서도 반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내러티브와 교육의 관계: 교육의 목적과 방법을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보며,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학습과 성장을 이루도록 돕는 교육을 강조합니다.
2. 교육목표분류학의 혁신
- Bloom의 분류학 비판: 1956년 Bloom 등의 교육목표분류학이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만들어졌으며, 현재의 학습 이론과 맞지 않는다고 비판합니다.
- 신교육목표분류학 제안: 인지 구성주의와 신행동 모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육목표분류학을 제안합니다. 이는 학습자의 심층적 학습과 역량 기반 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3. 교육과정과 수업의 혁신
- 교육과정 재구성: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심화하고 재구성하여, 학습자의 전이 가능한 이해와 심층적 학습을 촉진합니다.
- 수업 설계의 전환: 수업 목표를 진술하고, 학습자의 행동 수준을 고려한 수업 설계를 강조합니다.
- 평가의 재구성: 평가 기준을 보완하고, 평가 문항과 루브릭을 고도화하여 학습자의 진정한 이해와 역량을 평가합니다.
4. 교육의 인지 지도 넓히기
- 인지언어학적 접근: 내러티브와 메타포를 활용하여 교육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더 잘 이해하고, 교육의 인지 지도를 넓히는 전략을 제안합니다.
5. 교육의 실천적 접근
- 개념 기반 탐구학습: 학습자가 개념을 기반으로 탐구하고, 이를 통해 지식을 구성하는 학습 방법을 제안합니다.
- 백워드 설계: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백워드 설계(Backward Design)를 적용합니다.
- 과정중심 수행평가: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중심으로 평가하여, 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합니다.
6. 미래 학습성과 분류학
- 초교과적 학습 성과: 교과를 넘어서는 학습 성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연계하여,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합니다.
7. 교육의 사회적 역할
- 내러티브 역량 교육: 입시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창의성과 상상력을 키우는 내러티브 역량 교육을 강조합니다.
강현석 교수의 교육 이론은 전통적인 교육 방법과 목표를 넘어서, 학습자의 내러티브적 존재와 인지적 발달을 중심으로 한 혁신적인 교육 방식을 제안합니다. 이는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고, 심층적이고 전이 가능한 이해를 촉진하는 교육을 목표로 합니다.
@user 교육목표준류학과 피아제 또는 페퍼트의 구성주의와의 관계는?
@assistant 교육목표분류학과 피아제(Jean Piaget) 또는 페퍼트(Seymour Papert)의 구성주의(constructivism) 사이에는 몇 가지 중요한 관계가 있습니다:
1. 학습자 중심 교육
- 교육목표분류학: Bloom의 분류학을 포함한 교육목표분류학은 학습자의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하며, 학습자가 특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평가합니다. 이는 학습자의 능력과 발달 단계에 맞춘 교육을 강조합니다.
- 구성주의: 피아제와 페퍼트의 구성주의는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고, 이해를 형성하는 과정을 중시합니다. 학습자는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하며, 교사는 이 과정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인지 발달 단계
- 교육목표분류학: Bloom의 분류학은 인지적 영역에서 지식, 이해, 응용, 분석, 종합, 평가 등의 단계를 제시합니다. 이는 학습자의 인지적 발달 단계에 맞춘 교육 목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피아제의 구성주의: 피아제는 인지 발달 단계를 제시하여, 학습자가 각 단계에서 어떻게 사고하고 학습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이는 교육목표분류학에서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맞는 목표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기초가 됩니다.
3. 학습과 평가
- 교육목표분류학: 목표분류학은 학습자의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이는 학습자의 행동 변화를 측정하고, 학습 목표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 페퍼트의 구성주의: 페퍼트는 학습이 개인적이고 창조적인 과정이라고 보았으며,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을 반성하고, 이를 통해 지식을 구성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는 평가에서도 학습자의 자기평가와 반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4. 교육과정 설계
- 교육목표분류학: 교육과정 설계에서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학습자의 학습 경로를 체계적으로 계획하는 데 사용됩니다.
- 구성주의: 피아제와 페퍼트는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는 교육과정 설계에서 학습자의 경험과 탐구를 중심으로 한 활동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5. 교육의 목적
- 교육목표분류학: 학습자의 행동 변화와 성취를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입니다.
- 구성주의: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교육이 단순히 지식 전달이 아닌, 학습자의 개인적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6. 교육 방법
- 교육목표분류학: 교육 방법은 학습자의 목표 달성을 위해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접근을 강조합니다.
- 구성주의: 학습자가 직접 경험하고, 탐구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하는 것을 중시합니다. 이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결론적으로, 교육목표분류학과 피아제 또는 페퍼트의 구성주의는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가집니다. 교육목표분류학은 학습자의 행동 변화와 성취를 목표로 하며, 구성주의는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을 중시합니다. 이 두 이론은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맞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user 교육목표분류학과 관련된 용어들에 대해서 영한 용어집을 만들어줘
@assistant 다음은 교육목표분류학과 관련된 주요 용어들의 영한 용어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