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이야기지?

[2023-05-08 Mon 09:32] 재배포 시스템

참으로 위대한 생각을 하고 있다. 감격스럽다. 생각해보니 우분투도 별나라 이야기다. 더 친화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모두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리눅스에서 선택은 하모니카여야 한다. 이렇게 되면 모든 일이 쉬워 진다. 하모니카로 포스팅을 하고 모든 정보를 기록해야 한다. 그래야 노출도 쉽고 의미 전달이 쉬울 것이다.

단, 하모니카를 꼭 써야 하나?! 이 자체가 문제다. 나는 리눅스를 사용하기에 필요한 것이다. 맥과 윈도우 사용자에게도 Emacs 환경은 제공되어야 한다. 맥은 동일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게 바로 NIX 다. 하모니카를 설치하면 시나몬 기반 데스크톱 환경이 있다. 여기서 타일링 윈도우 매니저는 이야기할 필요도 없다. 그냥 내가 쓰는 것이고 이 부분은 따로 이야기할 것이다. 시나몬은 맥과 유사한 구성이라고 한다. 아무튼 시작점을 맞춘 것이다.

그 다음 NIX 를 클론하고 설치하면 하모니카와 맥에 동일한 Emacs 환경이 구축이 된다. 다른 패키지는 다 옵션으로 빼고 내가 제공하는 Emacs 환경에 집중하자. 맥에서는 각자 사용하는 스타일이 있을 테니까 딱 Emacs 시스템만 주면 된다.

윈도우에서는 Emacs 할아버지가 알려준 설치 방법을 가지고 정리하면 된다. 환경 변수 사용자 계정에 무관하게 사용하도록 하는게 탈이 적다. 윈도우 사용자에게 수작업을 요구하면 문제를 낳는다. 그냥 설치는 설치일 뿐이다. Emacs 도 컴파일 할 필요가 없게 해야 한다. 패키지는 버전을 맞추고 어느 정도 제한을 해서 배포할 필요가 있다.

아래에 링크를 달아 놓는다. 참고가 될 자료들이다. 일단, 하모니카 USB 를 만들었다. 하모니카 홈페이지에 보니 부팅 디스크 제작 관련 팁이 잘 나와 있더라. 벤토리라는 툴을 배웠다. 아주 좋구만. 이걸로 하면 될 것 같다. 듀얼 부팅으로 하면 되니까. 한번 다른 디스크에 설치해 보자. 민트에서 보자!

#관련노트

2024-12-24

@user 재배포 시스템으로서 Guix Nix Ansible을 비교해줘

@assistant Guix, Nix, 그리고 Ansible은 각각의 방식으로 시스템 재배포를 관리하는 도구들입니다. 여기 간단한 비교를 드리겠습니다:

Guix:

  • 장점:
    • GNU 프로젝트의 일부로, 자유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둡니다.
    • 선언적 패키지 관리 시스템으로, 재현 가능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 롤백 기능이 있어 시스템 변경 후 문제가 발생하면 이전 상태로 쉽게 돌아갈 수 있습니다.
  • 단점:
    • 패키지 수가 Nix에 비해 적습니다.
    • 커뮤니티와 문서가 Nix만큼 풍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Nix:

  • 장점:
    • 매우 큰 패키지 컬렉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 선언적 패키지 관리와 환경 재현 가능성.
    • 강력한 롤백 기능과 실험적인 환경 구성이 가능합니다.
  • 단점:
    • 학습 곡선이 가파를 수 있습니다.
    • 설치와 설정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Ansible:

  • 장점:
    • 설정 관리 도구로, 시스템을 재배포하는 데 사용됩니다.
    • YAML 형식의 플레이북을 사용하여 읽기 쉬운 설정 파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에이전트리스 방식으로, 다양한 시스템에서 쉽게 사용 가능합니다.
  • 단점:
    • 선언적이지 않으며, 상태를 관리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 롤백 기능이 기본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요약 *:

  • *Guix와 Nix*는 패키지 관리와 시스템 재배포를 위한 선언적 접근 방식을 제공하며, 특히 재현 가능성과 롤백 기능이 강력합니다. 하지만 둘 다 학습 곡선이 있고, Guix는 자유 소프트웨어에 더 중점을 둡니다.
  • *Ansible*은 설정 관리 도구로, 시스템 재배포를 위한 도구로 사용되며, 읽기 쉬운 설정 파일과 에이전트리스 방식이 장점입니다. 그러나 선언적이지 않고, 롤백 기능이 기본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각 도구는 그 목적과 사용 사례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특정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