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형선 #생태학 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 살아남은 동물들의 비밀

(최형선 2011)

  • 치타, 캥거루, 코끼리, 박쥐, 고래 등 친숙한 동물들에게는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한 비밀이 숨어 있다. 사막, 바다, 초원 등지에서 늘 평화롭게 지내는 듯 보이는 동물들. 하지만 이들은 수천만 년 전부터 극한의 어려움과 생존 경쟁 속에서 진화에 진화를 거듭해 가까스로 살아남은 것이다.

책소개

지구 생태계 대표 동물들의 아름다운 진화 이야기

치타 얼굴에는 왜 까만 줄이 있을까? 고래는 왜 바다로 들어갔을까? 치타, 캥거루, 코끼리, 박쥐, 고래 등 친숙한 동물들에게는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한 비밀이 숨어 있다! 사막, 바다, 초원 등지에서 늘 평화롭게 지내는 듯 보이는 동물들. 하지만 이들은 수천만 년 전부터 극한의 어려움과 생존 경쟁 속에서 진화에 진화를 거듭해 가까스로 살아남은 것이다. 이 책은 여덟 종의 지구 생태계 대표 동물들이 어떻게 다양한 환경 속에서 자신만의 생존 방식을 찾아냈고 나아가 공존의 기쁨을 함께 누리게 되었는지 보여준다.

목차

여는 글_ 가까스로 살아남은 것들의 아름다움

1 치타 얼굴에는 왜 까만 줄이 있을까 잔꾀를 부리지 못하는 치타 / 자신을 올바로 파악한 치타 / 치타는 외로움을 잊고 달린다 / 치타에게 가장 위협적인 존재

2 줄기러기는 에베레스트를 넘는다 고향길이 아무리 험하다 해도 / 낮은 고도로 우회하지 않는다 / 에베레스트를 넘는 가지 비법 / 리더의 지혜가 무리를 살린다 / 극한을 날며 노래를 부른다

3 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 낙타의 엉뚱한 생존 전략 / 사막의 열기를 피하지 않는다 / 달릴 줄 알지만 달리지 않는다 / 낙타는 그냥 견디는 것이 아니다

4 일본원숭이의 넉넉한 마음 문화를 즐기는 일본원숭이 / 연장자 우선하는 평화로운 무리 / 공동 육아 펼치는 생태 공동체 / 어려운 환경을 함께 이겨 낸다 / 다양성 인정하는 조화로운 삶

5 박쥐는 진정한 '기회주의자' 천만 년을 이어온 박쥐 / 일할 때와 쉴 때를 아는 박쥐 / 종이 넘는 박쥐의 공생 / 헝그리 정신의 대명사, 박쥐 / 박쥐는 훌륭한 바나나 농사꾼

6 캥거루, 험한 세상의 엄마 노릇 캥거루 삼형제의 주머니 동거 / 캥거루 어미의 지극정성 모성애 / 과잉보호는 경쟁력을 앗아간다

7 코끼리는 생태계의 건축가 초대형 동물은 어디로 갔을까 / 코끼리의 사뿐한 발걸음 / 생태계 돕는 코끼리의 사생활 / 지혜로운 암컷들의 무리 / 코끼리 생명에 중요한 이빨

8 고래는 왜 바다로 들어갔을까 고래는 발굽 동물이었다 / 고래의 진화는 장엄한 드라마 / 고래는 모두 돌고래처럼 똑똑할까

용어 설명

출판사 리뷰

동물원에 간다고 동물을 이해할 수 있을까 -생태와 진화로 풀면 동물이 새롭게 보인다

이 책에는 여덟 종의 동물이 등장한다. 치타, 기러기, 낙타, 원숭이, 박쥐, 캥거루, 코끼리, 고래. 모두 익숙한 동물들이다. 우리는 이 동물들에 대해 충분히 안다고 생각한다. 치타는 100미터를 3초에 달린다, 기러기는 철새다, 낙타는 사막에 산다, 원숭이 엉덩이는 빨갛다, 박쥐는 동굴에 거꾸로 매달려 지낸다…. 그런 당신에게 이 책은 묻는다. 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 선문답 같다. 낙타는 당연히 사막에 사는 동물이 아니던가.

결론부터 말하면, 낙타가 처음부터 사막에 산 것은 아니다. 화석 자료에 따르면, 4500만 년 전 지구에 나타난 낙타는 수천만 년 동안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번성했다. 그리고 180만 년 전 빙하기에, 알래스카와 시베리아 사이의 베링해협이 베링육교로 연결되자 낙타는 이주를 감행했다. 아시아 서쪽까지, 일부는 아프리카까지. 낙타는 아메리카들소, 아시아에서 넘어온 마스토돈 등 거센 동물들과의 경쟁에서 밀린 것이 분명해 보인다. 사막에 사는 이유도 그래서일까. 아프리카에서 대형 초식동물은 먹이가 풍부한 사바나 초원에서 무리지어 산다. 사막 같은 극한의 환경에서는 낙타 같은 몸집 큰 동물을 찾아보기 어렵다. 하지만 낙타는 먹고 먹히는 초원을 떠나 사막으로 갔다. 그게 낙타의 생존법이었다. 모래사막에 서 있는 낙타의 의연한 모습은, 그리하여 오늘도 시인들의 시심(詩心)을 자극한다.

낙타는 어떻게 사막에서 살 수 있을까. 결코 그냥 견디는 것이 아니다. 익히 알고 있듯이 낙타는 혹 속의 지방을 분해해서 영양분으로 쓸 수 있다. 하지만 이 정도 대비책으로는 사막에서 살 수 없다. 낙타는 우선 다리가 길다. 사막 지표면 쪽 온도는 60∼70도. 낙타 몸통 쪽은 10도 정도 더 낮다. 발바닥에는 지방으로 된 쿠션이 있다. 모래에 빠지지 않는 이유다. 코에는 근육이 있다. 코를 닫으면 모래바람을 막을 수 있다. 귓속 털도 같은 역할을 한다. 울어도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 눈물은 코와 연결된 관을 통해 도로 몸으로 들어가 수분 낭비가 없다. 털은 열을 막는다. 털을 깎으면 수분의 50퍼센트가 땀으로 증발된다. 더욱 놀라운 것은 체온과 수분까지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다. 낙타는 체온이 41도가 넘어야 땀을 흘린다. 적혈구는 길쭉한 모양으로 탈수 상태에서도 혈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책은 이처럼 수천만 년 전부터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여 오늘에 이른 동물들의 발자취를 보여주고, 익숙한 동물들의 아주 작은 부분까지 환경에 맞춰졌다는 것을 꼼꼼히 짚어준다. 치타는 포식 동물이지만 이빨과 얼굴이 너무 작아 속도만으로 승부를 지어야 했고, 줄기러기는 번식을 위해 에베레스트를 일 년에 두 번이나 넘는다. 박쥐는 1천 종류가 넘어서 먹이부터 사는 방식까지 정말 다양하다. 이들의 새로운 모습은 친구의 진심을 알게 된 것 같은 감동으로 다가온다.

저 : 최형선 작가 파일

동물의 생존전략을 연구하는 생태학자. 온갖 위기에도 좌절하지 않고 살아남은 동물의 생존전략을 연구하고, 그들에게서 배울 점을 찾는 생태학자. 이화여자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생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델라웨어 대학 미생물생태학교실에서 연구했으며 이화여대, 성균관대 등에서 20여 년간 생태학과 환경학을 가르쳤다. 대안주말학교인 '알트루사 재미있는 학교' 교장선생님으로 여러 해 활동했고, 환경부 중앙자문위원 및 물 정책 포럼 공동위원장, 서울고등검찰청 항고심사위원으로 일하기도 했다. 한국YWCA연합회 생명운동팀장으로 54개 지역YWCA의 생명운동을 이끄는 한편, 환경부 갈등관리 심의위원을 맡았다. 현재 성균관대 초빙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며, 땅과 생명을 살리는 생명정의운동,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과 함께 선한 사회공동체를 이루는 일에 관심과 정성을 기울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 『펭귄이 날개로 날 수 있다면』, 『퇴근길 인문학 수업:멈춤』(공저), 『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 『동물들아 힘을 내!』, 『어린이 생태학』(전 2권), 『첫걸음 동물백과』, 『생태학 이야기』 등이 있으며 『어린이를 위한 자연백과사전』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로 2012년 제30회 과학기술도서상 저술상을 수상했다.

Related-Notes

References

최형선. 2011. #생태학 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 살아남은 동물들의 비밀. 부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4799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