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
- #모음: #애매한 #용어 #사전 그런 것이지
- 지식은 말로 떠들고 싶은 그 것. 혼자 떠들더라도. 앎은 말로 떠들 수 없는 가슴이 얼얼하고 코 끝이 시큰해지는 그 무언가. 감동 그 것.
- 기록
키워드 ‘앎’
- @사이먼윈체스터: #지식의탄생 - 생각이필요없는시대 앎의의미 (2024-09-23)
- @마뚜라나 @바렐라 #자기생성 #인지 #앎의나무 #구성주의 (2024-12-20)
- @힣: #인생도구: #앎 #지식 #몰입 #행복 #자기목적성 #운명애 (2024-03-21)
- @힣: #갈매기의꿈 #상처받지않는영혼 #무지의앎 #모닝페이지 (2024-09-22)
- 지식 앎 삶 - 적절한 단어를 찾아서 (2024-11-26)
- #LLM: 생각의필요없는시대 앎의의미 (2024-12-10)
- 지식 앎 몰입 행복에 이르는 길 : 인생도구 (2024-03-21)
키워드 ‘지식’
- @BorisBuliga d12frosted vulpea 오그롬 이맥스 지식관리 (2022-08-29)
- @김학래 #온톨로지 #지식그래프 #시맨틱웹 (2024-02-14)
- @사이토다카시 #온톨로지 #알고리즘 기록 정보 지식 세계 (2024-04-02)
- @니런버그: #지식의기초 #과학철학사 #분류학 (2024-04-11)
- #지식생산성: #제텔카스텐 #세컨드브레인 통합 (2024-05-21)
- @피터버크 지식의사회사 폴리매스 (2024-05-23)
- @젠스알브레히트 파이썬 텍스트분석 지식그래프 blueprint (2024-06-04)
- @마크왓슨 #개인지식관리 #시맨틱웹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구루 (2024-06-23)
- @다치바나다카시 #독서론 #지의세계 #지식커리큘럼 #자기역사 #자서전 (2024-06-29)
- @호프스태터: #GEB #괴델에셔바흐 #지식사상통합 (2024-07-13)
- #개인지식그래프 - Personal Knowledge Graphs (2024-07-20)
- @한상기: #지식론 #인식론 - #입문서 (2024-07-21)
- @짐웨버 지식그래프 그래프데이터베이스 - Neo4j (2024-07-25)
- @에릭헌터 분류란 무엇인가 #지식구조 (2024-07-25)
- #구글 #지식그래프 (2024-07-30)
- @사이먼윈체스터: #지식의탄생 - 생각이필요없는시대 앎의의미 (2024-09-23)
- @joyHong #지식그래프 #LLM #추론 (2024-10-04)
- @유영만 지식생태학자 #코나투스 #일생이론 #인공지능 #백신 (2024-10-16)
- @헥터레베스크 Hector Levesque #지식표현 #추론분야 #인공지능 #석학 (2024-11-11)
- @그레고리@gregory AI프롬프트 구루 지식그래프 유튜버 (2024-12-02)
- @에드워드윌슨 #통섭 지식학문통합 #창의성-기원 (2024-12-10)
- @홍전일 바람소리 - 미래 코딩 글쓰기 지식 독서노트 (2025-02-10)
- @JackBaty Baty.net 지식관리 구루 사진작가 조직모드 (2025-03-09)
- @KarlVoit #novoid 메맥스 지식관리 분류학 이맥스 조직모드 구루 (2025-03-31)
- @에이브러햄플렉스너 쓸모없는 지식의 쓸모 - 세상을 바꾼 과학자들의 순수학문 예찬 (2025-04-05)
- @ahyatt AndrewHyatt ekg llm calc 이맥스 지식그래프 구루 (2025-04-15)
- §siyuan WYSIWYG 지식관리 노션 오픈소스 앱 (2025-04-16)
- @살림출판사 #지식 #총서 600권 (2025-04-22)
- @설동준 #캣츠랩 #인공지능 #지식과학습 #교육공학 (2025-04-22)
- @g4rden §Rhizome 가든 작가 지식 보관소 (2025-04-30)
- @나카무라유지로 술어집 - 지식의 방법 - 현대철학 개념어 40개 키워드 (2025-05-09)
- 솔로 지식 마스터를 위한 인공지능 (2024-06-27)
- @힣: AI 시대에 왜 우리 개인은 더 지식에 목마른가 (2022-03-30)
- 데이터베이스 vs 파일 - #노트 #개인지식관리 #규칙 (2023-02-23)
- #지식구조화: #온오프라인 #사전 - 필요할까 (2023-09-08)
- #유튜브 #자막 #스크립트 #자동번역 §지식베이스 #학습 (2023-09-27)
- #조직모드: #이맥스 #개인지식관리 #제텔카스텐 (2023-11-10)
- #개인지식관리 #요구사항 (2024-01-16)
- @ #지식구조화 #십진분류 #카테고리 - #언어철학 #수리논리학 #수학기초론 (2024-03-21)
- @힣: #인생도구: #앎 #지식 #몰입 #행복 #자기목적성 #운명애 (2024-03-21)
- @힣: #개인지식관리 #역사 (2024-03-28)
- #개인지식관리 용어 PKA PKB PKC PKI PKM PKO (2024-07-04)
- #지식공학: 인공지능과 #개인지식관리 관계 (2024-07-04)
- #PD수첩: PF 폭탄과 공실 지옥 – 위기의 지식산업센터 - 부동산 투기 (2024-08-11)
- #실시간공동편집: #조테로 #오메가티 #지식통합 (2024-11-11)
- 지식 앎 삶 - 적절한 단어를 찾아서 (2024-11-26)
- #LLM: 이타주의 이기주의 모호성 - 지식소유 인공지능 디지털노트 가추법 (2024-12-09)
- @힣: #모국어 #거북이 #지식도구 #REPL도구 #쉽다는것 (2024-12-16)
- @힣: 지식의 커리큘럼 - 체계이론 보편학 파이데이아 (2024-12-22)
- GraphRAG: 지식그래프 검색증강생성 (2025-02-14)
- 텍스트 힙스터 - 지식 유희자를 위한 놀이터 (2025-02-23)
- @힣: #LLM 힣의 접근법 분석: 디지털가든 지식관리 철학 (2025-04-10)
- @힣 #AI노트 #지식도구 #핵심: 질문과 답변 - 불완전함 (2025-05-08)
- 지식 앎 몰입 행복에 이르는 길 : 인생도구 (2024-03-21)
- #PKM: 디지털 지식 관리 도구 이맥스 (2024-03-28)
- #LLM: 단계별 학습 지식 구조화 - #코딩테스트 #파이썬 (2025-05-12)
로그
2024-11-26
@user 앎이란 무엇인가
@assistant 앎(앎)은 한국어 단어로, ‘안다’ 또는 ‘알다’의 명사형입니다. 즉, 앎은 지식이나 이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그의 앎은 매우 깊다”는 그의 지식이 깊다는 뜻입니다.
다만, ‘앎’이라는 단어는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되지는 않으며, 주로 문학적이거나 철학적인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user 무엇인가를 영어로 어떻게 번역하는가? 철학적인 질문인데
@assistant 철학적인 질문으로서 “앎이란 무엇인가?”를 영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What is knowledge?”
또는 더 철학적인 맥락에서:
“What is the nature of knowing?”
이 질문은 지식의 본질이나 앎의 의미에 대한 탐구를 포함합니다.
@user 지식과 앎은 어떻게 다른가
@assistant 지식(knowledge)과 앎(knowing)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지만, 철학적 관점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
지식 (Knowledge):
- 지식은 사실, 정보, 기술, 이론 등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지식은 학습, 경험, 연구 등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을 의미합니다.
- 지식은 객관적이고, 공유 가능하며, 문서화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학적 사실, 역사적 사건, 수학 공식 등이 지식에 해당합니다.
-
앎 (Knowing):
- 앎은 지식을 넘어서는 개념으로, 지식을 이해하고, 인식하고, 경험하는 행위나 상태를 의미합니다. 앎은 지식을 단순히 소유하는 것 이상으로, 그 지식을 어떻게 사용하고, 해석하고, 적용하는지에 대한 능력을 포함합니다.
- 앎은 주관적일 수 있으며, 개인의 경험, 직관, 통찰 등에 의해 형성됩니다. 앎은 지식의 활용이나 이해의 깊이를 나타내며, 지식을 통해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는지에 대한 문제입니다.
간단히 말해, 지식은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이나 정보이고, 앎은 그 지식을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한 능력입니다. 예를 들어, 수학 공식을 외우는 것은 지식이지만, 그 공식을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것은 앎의 영역에 속합니다.
철학적으로는, 지식은 정적이고 객관적인 반면, 앎은 동적이고 주관적인 요소가 더 강합니다. 앎은 지식의 활용과 이해를 통해 개인의 인식과 경험을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user
|2025-04-06 Sun 21:42|
@user living 을 ‘삶’이라고 번역할 수 있는가?
@assistant “Living”을 “삶”으로 번역할 수 있지만, 문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Living”은 일반적으로 “살고 있는 상태”나 “생활”을 의미할 때 “삶”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living”이 특정한 활동이나 방식으로 살아가는 것을 의미할 때는 “생활 방식”이나 “생활 양식”으로 번역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imple living”은 “간소한 생활 방식”으로 번역됩니다[1][2].
따라서, “living”을 “삶”으로 번역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문맥에 맞는 번역이 중요합니다.
- Citations: [1] https://www.lingq.com/en/learn-korean-online/translate/ko/%EC%82%B6%EC%97%90/ [2] https://brunch.co.kr/@kevin-kim/92 [3] https://blog.naver.com/toyon_kim/222423856341 [4] https://firstkoreanchurch.org/Home/MessageDetail/1183 [5] https://www.youtube.com/watch?v=UrGTNLKl-e4
@user ‘삶’을 영어로 바꾸려면 무엇이 적당할까?
@assistant “삶”을 영어로 번역할 때는 “life”가 적당합니다. 이는 “삶”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표현으로, 인생이나 삶의 방식 등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1]. 예를 들어, “삶의 질”은 “quality of life”로 번역됩니다[5].
- Citations: [1] https://dictionary.cambridge.org/ko/%EC%82%AC%EC%A0%84/%EC%98%81%EC%96%B4-%ED%95%9C%EA%B5%AD%EC%96%B4/life [2] https://www.kmarket365.com/me/prod_detail.asp?prod_code=mys248 [3] https://blog.naver.com/e_muffin/221597007704 [4] https://www.youtube.com/watch?v=J3mbv9k_dXY [5] https://context.reverso.net/translation/korean-english/%EB%86%92%EC%9D%80+%EC%82%B6%EC%9D%98+%EC%A7%88%EC%9D%84
@user ‘앎’은 Knowing이고 ‘삶’은 Living이나 Life가 적당할 것 같은데, 나는 철학적인 의미로서 ‘삶’을 ‘사는 것’의 의미로 living이라고 표현하고 싶은데 이게 적당할까?
@assistant “삶”을 철학적인 의미로 “사는 것”의 의미로 “living”으로 표현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Living”은 일반적으로 “살고 있는 상태”나 “생활”을 의미하지만, 문맥에 따라 철학적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맥락에서 “living”은 “삶을 살아가는 것”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다만, 문맥에 따라 “life”가 더 적절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하는 문장의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Citations: [1] https://widebs.tistory.com/entry/%EC%9D%98%EB%AF%B8%EC%9D%98-%EC%B2%A0%ED%95%99-%EC%82%B6%EC%9D%98-%EC%9D%98%EB%AF%B8%EB%A5%BC-%EC%B0%BE%EB%8A%94-%EB%B0%A9%EB%B2%95 [2] https://ko.wikipedia.org/wiki/%EC%82%B6%EC%9D%98_%EC%9D%98%EB%AF%B8 [3] https://blog.naver.com/nrpark-/222250114557 [4] https://brunch.co.kr/@@14Rb/120 [5] https://brunch.co.kr/@@7SPO/2
@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