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OGRAPHY
칼 뉴포트. 2017. 딥 워크: 강렬한 몰입 최고의 성과. https://www.yes24.com/Product/Goods/38286918.
———. 2019. 디지털 미니멀리즘. Translated by 김태훈. https://www.yes24.com/Product/Goods/74031339.
———. 2024. 슬로우 워크 - 덜 일함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내는 법. Translated by 이은경.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33736138.
———. n.d. “칼 뉴포트 Cal Newport - 딥워크.” In Wikipedia. Accessed May 16, 2024.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Cal_Newport&oldid=1223997854.
히스토리
저: 칼 뉴포트 Cal Newport
(칼 뉴포트 n.d.)
- 칼 뉴포트
- Calvin C. Newport is an American nonfiction author and full professor of computer science at Georgetown University.
딥워크: 강렬한 몰입 최고의 성과
(칼 뉴포트 2017)
- 칼 뉴포트
- 아마존 비즈니스 최고의 책[월스트리트 저널] 베스트셀러 [800 CEO READ] 베스트셀러 애덤 그랜트, 대니얼 핑크, 세스 고딘 등 경영계 구루들의 강력 추천!산만한 세상에서 길을 잃지 않고 제대로 일하는 법생산성과 의미를 모두 얻는 스마트한 ‘업(業)…
머리말 : 탁월한 성과의 비밀
1 부 왜 딥 워크인가
1 대체 불가능한 전문가가 되는 법
- 기계와의 경쟁에서 살아남는 세 그룹
- 신경제에서 승자가 되는 법
- 어려운 일을 빠르게 익힌다
- 탁월한 성과를 낸다
- 딥 워크 없이 성공하는 사람은 누구일까?
2 몰입과 집중을 방해하는 세상
- 현대인의 주의를 빼앗는 세 가지 트렌드
- 몰입의 효과를 간과하기 쉬운 이유
- 산만한 회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분주함은 생산성과 동의어가 아니다
- 인터넷 숭배
- 딥 워크의 경쟁력
3 집중하는 삶이 최선의 삶이다
- 두뇌는 우리가 관심을 기울이는 대로 형성된다ㅡ신경과학적 관점
- 몰입의 즐거움ㅡ심리학적 관점
- 일과 삶에 의미를 부여한다ㅡ철학적 관점 |깊이에의 헌신
2 부 딥 워크를 실행하는 네 가지 규칙
1 몰두하라 ― 딥 워크 습관을 개발하는 전략
- 딥 워크를 일상에 접목하는 네 가지 방식
- 주의 집중을 극대화하는 딥 워크 의식
- 마음가짐부터 달라지는 몰입의 환경
- 함께 딥 워크 하기
- 딥 워크를 위한 4DX 방법론
- 일과가 끝나면 일에 신경을 꺼라
2 무료함을 받아들여라 ― 산만함을 극복하는 훈련
- 인터넷을 현명하게 활용하는 법
- 데드라인의 힘
- 생산적 명상 훈련
- 집중력을 높이는 암기 훈련
3 소셜 미디어를 끊어라 ― 디지털 미니멀리즘
- 네트워크 도구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 당신의 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히 탐색하라
- SNS 차단 실험
- 재미를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지 마라
4 피상적 작업을 차단하라 ― 딥 워크를 위한 시간을 확보하는 법
- 하루의 계획을 분 단위로 세워라
- 과제의 깊이를 파악하라
- 피상적 작업의 비율을 줄여라
- 5 시 30 분까지 일을 마쳐라
- 연락하기 어려운 사람이 되라
맺음말
디지털 미니멀리즘
(칼 뉴포트 2019)
- 칼 뉴포트 김태훈
- Digital Minimalism
『딥 워크』를 뛰어넘는 삶의 원칙 폭주하는 디지털 시대에 나만의 속도로 살아가기
하루라도 스마트폰 없이 지내라고 하면 우리는 금단 증상을 느낄 게 분명하다. 손안에 쏙 들어온 스마트폰은 이제 우리 뇌까지 점령하고 있으며, 우리를 항상 연결 상태로 만들어주는 인터넷은 충동적인 접촉과 연락의 생태계를 만들어내고 있다. 시도 때도 없이 울리는 알림음과 무한으로 연결되어 있는 온라인 세상과 정보들에 휩싸여 정작 몰입해야 하는 것에 시간을 투자할 수 없고, 우리로 하여금 늘 만성피로에 시달리게 한다. 베스트셀러『딥 워크』의 저자이자 컴퓨터공학자인 칼 뉴포트는 우리를 좀먹고 있는 디지털 과잉 환경에서 우리가 기술과 맺은 관계를 근본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방법으로 ‘디지털 미니멀리즘’을 제시한다.
뉴포트는 농부부터 실리콘 밸리의 프로그래머까지 수많은 디지털 미니멀리스트들이 어떻게 소셜 미디어와 맺은 관계를 재고하고, 오프라인 세계의 즐거움을 재발견하며, 고독에 잠기는 시간을 통해 자신의 내면과 재회하는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뒤이어 그는 수많은 사람들이 기술에 압도당하지 않고 생활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도록 도와준 30일간의 ‘디지털 정돈’ 과정과 함께 이를 삶에 적용할 수 있는 전략들을 구체적인 실천지침들을 제시해준다.
머리말
Part 1 왜 디지털 미니멀리즘인가?
chapter 1 폭주하는 디지털
- 우리는 원한 적이 없다
- 티셔츠 차림의 담배 장사꾼
- 폭주하는 디지털
chapter 2 디지털 미니멀리즘
- 기술 활용에도 철학이 필요하다
- 디지털 미니멀리즘의 원칙
- 원칙 1을 위한 논거: 소로의 신경제학
- 원칙 2를 위한 논거: 보상 곡선
- 원칙 3을 위한 논거: 아미시 해커의 교훈
- 오랜 조언에 대한 새로운 시선
chapter 3 디지털 정돈
- 디지털 미니멀리스트가 된다는 것
- 1단계: 기술 활용 규칙 설정
- 2단계: 30일에 걸친 중단
- 3단계: 기술 재도입
Part 2 디지털 미니멀리즘 실천 전략 세우기
chapter 4 혼자만의 시간을 사수하라
- 고독이 나라를 구하다
- 고독의 가치
- 고독 결핍
- 외부와 연결된 오두막
- 실천 지침 휴대전화를 집에 둬라
- 실천 지침 오래 산책하라
- 실천 지침 자신에게 편지를 써라
chapter 5 ‘좋아요’를 누르지 마라
- 최고의 대결
- 사회적 동물
- 소셜 미디어의 역설
- 대화의 회복
- 실천 지침 ‘좋아요’를 누르지 마라
- 실천 지침 문자메시지를 한꺼번에 처리하라
- 실천 지침 대화 시간을 마련하라
chapter 6 여가의 질을 높여라
- 여가와 좋은 삶
- 베넷 원칙
- 공예와 만족감
- 고농도 소통
- 여가 르네상스
- 실천 지침 매주 뭔가를 고치거나 만들어라
- 실천 지침 저급한 여가를 위한 시간을 정하라
- 실천 지침 모임에 들어가라
- 실천 지침 여가 계획을 세워라
chapter 7 주의를 빼앗기지 마라
- 다윗과 골리앗 2.0
- 실천 지침 소셜 미디어 앱을 삭제하라
- 실천 지침 휴대기기를 단일 목적으로 활용하라
- 실천 지침 소셜 미디어를 프로처럼 활용하라
- 실천 지침 슬로 미디어를 받아들여라
- 실천 지침 스마트폰을 버려라
결론
책 속으로
인터넷 시대가 제공하는 도구, 오락, 딴짓이 우리가 시간을 보내는 양상이나 감정을 느끼는 양상을 좌우하도록 놔둬서는 안 된다. 그 대신 단계를 밟아서 기술로부터 좋은 점을 누리는 한편 나쁜 점을 피해야 한다. 그러려면 우리의 바람과 가치관이 다시 일상적 경험을 주도하게 만드는 동시에 원초적 충동과 실리콘 밸리의 사업 모델이 지금처럼 주도적 역할을 하지 못하게 막는 철학이 필요하다. 신기술을 받아들이되 그 대가가 앤드루 설리번이 경고한 비인간화라면 거부하는 철학, 단기적인 만족보다 장기적인 의미를 중시하는 철학이 필요하다. --- 「머리말」 중에서
소셜 미디어 피드백이 예측할 수 없는 강화의 속성을 지닌 유일한 온라인 활동은 아니다. 많은 사람은 구체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콘텐츠 웹사이트를 방문했다가, 일기예보를 보러 신문사 사이트에 들어갔다가 30분이 지난 뒤에도 아무 생각 없이 링크들을 따라가고, 여러 헤드라인을 훑은 경험이 있다. 이런 행동도 예측할 수 없는 피드백으로 촉발된다. 대다수 기사는 무위로 끝나지만 어떤 기사는 정의로운 분노든 웃음이든 강렬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자극적인 헤드라인이나 흥미로운 링크를 누르는 것은 슬롯머신의 손잡이를 당기는 일과 같다. --- 「Chapter 1 폭주하는 디지털」 중에서
2부에서 밝힐 요점 중 하나는 많은 주의 경제 기업이 양자택일의 관점, 즉 사용하든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다는 관점으로 그들 서비스를 바라보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은 당신에게 중요한 일부 기능을 들어 그들 생태계로 이끌리게 만든다. 그렇게 일단 ‘사용자’가 되면 그들은 주의를 잡아끄는 기법을 활용해 여러 통합된 옵션으로 당신을 압도한다. 그 목적은 당신이 애초 목적을 훌쩍 넘어서 계속 그들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 「Chapter 3 디지털 정돈」 중에서
대다수 성인은 아이세대처럼 종일 접속 상태를 유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다소 가벼운 양상이라고 해도 고독 결핍이 여러 연령 집단에서 흔해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결과가 우려스럽다. 나는 독자들과 소통하면서 많은 사람이 일상에 스며든 낮은 수준의 불안을 그냥 받아들이며 산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들은 그 원인으로 2009년에 발생한 불황이나 2016년의 논쟁적인 대선 같은 외부 문제나 성인으로서 당연히 겪는 스트레스를 든다. 그러나 혼자 생각하는 시간의 긍정적인 혜택과 함께 고독 결핍에 시달리는 집단에게 나타나는 악영향을 알고 나면 좀더 간단한 설명이 가능해진다. 거기에 따르면 우리가 인간으로서 행복을 누리려면 고독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근래에 우리는 알지 못하는 사이에 이 필수 요소를 우리 삶에서 체계적으로 줄여가고 있다. --- 「Chapter 4 혼자만의 시간을 사수하라」 중에서
디지털 미니멀리즘을 성공적으로 실현하려면 이 문제를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공허를 메울 확실한 방법을 찾기 전에 저급한 디지털 딴짓을 그만두면 쓸데없이 불쾌감에 시달리거나 아예 디지털 미니멀리즘을 실현하는 데 실패하게 된다. 성공적인 디지털 미니멀리스트들은 대개 자유 시간에 하는 일을 바꾸면서 변화를 시작한다. 즉, 나쁜 디지털 습관을 버리기 전에 양질의 여가를 보낼 방법부터 찾는다. 실제로 많은 디지털 미니멀리스트는 여가 시간을 알차게 보내는 데 집중한 이후 일상에서 배제할 수 없을 것 같았던 디지털 습관이 갑자기 사소하게 느껴지는 현상을 경험한다. 공허를 메우고 나면 그것을 회피하려는 딴짓이 필요 없게 된다. --- 「Chapter 6 여가의 질을 높여라」 중에서
출판사 리뷰
언제까지 산만한 맥시멀리스트로 살 것인가? 더 적게 일하고 더 많이 누리는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스스로 통제력을 잃은 채 온라인에서 의미 없는 시간을 흘려보내고 싶어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우리는 일을 하면서도 하루에도 수십 번씩 SNS를 확인하거나 포털사이트 화면을 새로고침하고 싶은 욕구가 샘솟는 것을 느낀다. 그 결과 성취를 이루는 데 필요한 지속적인 시간은 무의미한 부스러기들로 쪼개진다. 아무 생각 없이 디지털 기기를 쓰는 데 소모하는 시간을 양질의 여가로 대체할 수 있다면 우리는 적은 시간에 많은 일을 해내는 것은 물론, 삶의 균형까지 잡을 수 있지 않을까?
그런데 문제는 알림 기능을 끄거나, 가끔 디지털 안식일을 갖는 수준의 상식적인 방법으로는 중독성 있는 작은 스크린의 유혹을 이겨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스마트폰을 버리거나 모든 디지털 기술을 차단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하다. 나에게 맞는 기술을 활용하되, 어떤 기술을 어떻게, 왜, 어떤 조건에서 활용할지 설정하고 그것을 일상화해야 하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리에게는 깊은 가치에 뿌리를 둔 성숙한 기술 활용 철학이 필요하다. 이 철학은 어떤 도구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 명확한 답을 제공할 뿐 아니라 다른 모든 것을 확고하게 무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술 과부하에 걸린 현재 상황에서 잘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위한 탁월한 철학이 바로 ‘디지털 미니멀리즘’이다.
어떤 도구를, 왜, 어떻게 활용할지 ‘내가’ 결정한다! 30일의 디지털 정돈 프로젝트가 가져다준 놀라운 변화
뉴포트는 기술이 우리를 이용하도록 놔두는 것이 아니라, 기술이 우리 목표와 가치관을 뒷받침하게 하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이를 위해 뉴포트는 1부 전체에 걸쳐 디지털 미니멀리즘의 개념과 토대를 설명하고, 이미 자신만의 속도로 살아가는 수많은 디지털 미니멀리스트의 사례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뉴포트는 디지털 기기와 서비스 이용에 따른 득실과 디지털 기술을 삶에 최적화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준다.
1부의 마지막장에서는 저자가 1,600명을 대상으로 직접 실시한 실험을 근거로 만든 ‘디지털 정돈’ 과정을 소개하며 독자 스스로 디지털 정돈 작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이끈다. 확실한 전략과 빠지기 쉬운 함정을 정리하여 개개인에게 맞는 디지털 미니멀리즘 실천 방법을 제시해준다. 동시에 다양한 직업의, 다양한 환경 속에 살아가는 디지털 미니멀리스트의 사례들을 통해 기술을 계획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단순한 삶의 효율성뿐 아니라 상당한 만족감까지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2부에서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미니멀리즘 생활방식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한다. 실천을 위한 확실한 전술을 열다섯 가지의 실천지침으로 정리해 각 장에 수록해 ‘디지털 미니멀리즘’을 일상화하는 전략을 알려준다.
칼 뉴포트 『디지털 미니멀리즘』 인터뷰
책의 내용과 저자의 해외 인터뷰 내용을 재구성하였습니다.
Q1_ 업무 역량을 극대화하는 몰입 전략을 담은 《딥 워크》에 이어 《디지털 미니멀리즘》을 출간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디지털 미니멀리즘’이라는 개념을 통해 온라인에 제한적으로 로그인하면서 질 높은 오프라인의 삶에 집중하는 방법을 알리고 싶었습니다. 궁극적으로 제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디지털 또는 반디지털의 사회적 이슈가 아닙니다. 오히려 어떻게 하면 과잉 정보 시대에 자신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싶었습니다.
Q2_ 《디지털 미니멀리즘》에서 “우리는 로그인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디지털 라이프로 연결되는 삶을 살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어떤 의미인지 더 알고 싶습니다. 아이폰 사용자의 경우 아이맥, 아이패드와 연동이 되는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또 새로운 사이트에 접속할 때 페이스북 계정을 통한 소셜 로그인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그 결과 네트워크 회사는 방대한 양의 개인정보를 확보하게 되고, 유저에게 맞는 앱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며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맞춤형 앱을 소비하게 됩니다. 아주 자연스러운 ‘디지털 생태계’의 원리이지요. 그런데 그걸 인지하지 못하는 환경 속에 계속 있다 보면 디지털 중독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는 것입니다.
Q3_ 일단 부정적인 건 소셜미디어 중독 수준이 예상보다 높다는 것이다. 소셜미디어의 사용 행태는 마치 카지노의 슬롯머신과 같다. 카지노에 가서 슬롯머신을 하게 되면 무의식적으로 바를 내리듯, 사람들은 핸드폰을 통해 소셜미디어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새로 고침’을 하고 쉽게 클릭하게 된다. 물론 긍정적인 해결점도 발견했다. 디지털 라이프를 한번에 ‘로그아웃’할 수는 없지만 한 번이라도 의미 있는 아날로그적 경험을 하면 디지털 환경에서 벗어나는 데 그렇게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Q4_ 본인의 디지털 라이프는 어떠한가? 사실 책을 쓰기 전부터 디지털 사용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미니멀리스트였다. 일할 때 꼭 필요한 용도로만 노트북 검색을 하고 최대한 스마트폰은 멀리 둔다. 이번 책을 작업하면서 더 치열하고 농도 짙은 취미 생활을 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그 덕에(?) 가족들이 내 서툰 기타 연주를 들어야 하는 스트레스가 생겼지만.
Q5_ 디지털 미니멀리즘을 실천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하나 꼽자면? 정기적으로 휴대전화 없이 외출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다. 물론 처음은 어렵지만 하루에 10분, 15분씩 늘려가는 것을 추천한다. 로그아웃된 삶이 주는 적당한 고립은 사색의 시간을 선물할 것이다. 하루에 가장 집중해야 하는 시간을 정해, 그 시간 동안은 이메일, SNS, 온라인 뉴스 검색 등 모든 디지털 활동을 중단하는 것도 많은 사례자에게 호응을 받은 방법이다. 적절한 강제성으로 시작하지만 2주만 지나도 본인 스스로 몰입하는 즐거움에 빠질 것이다.
Q6_ 디지털 미니멀리즘이 주는 가장 큰 가치는 무엇인가? 디지털기기에서 잠시 멀어짐으로써 자기 삶에서 주도성을 갖게 된다. 무엇보다 스마트폰, 이메일로 비즈니스와 개인 업무를 봐야 하는 요즘 시대에 100% 아날로그의 삶은 불가능하다. 결국 디지털로 얻은 정보를 어떻게 프로답게 내 것으로 만드는지가 가장 중요하다.
느린 생산성: 슬로우 워크 - 덜 일함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내는 법
(칼 뉴포트 2024)
- 칼 뉴포트 이은경
- Slow Productivity
칼 뉴포트는 지식 노동에는 그에 걸맞은 ‘생산성’의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력하게 주장하며, ‘슬로우 생산성(느린 생산성)‘을 해법으로 제안한다. 그는 단순히 새로운 일의 철학을 주장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철저한 과학적 증거로 이를 뒷받침하며, 실제로 일을 줄이고 자기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업무 기법들을 이 책 한 권에 빼곡이 담아냈다.
들어가는 말
As I soon discovered, this growing anti-productivity sentiment wasn’t confined only to my readers. Between the spring of 2020 and the summer of 2021, a period spanning less than a year and a half, at least four major books were published that took direct aim at popular notions of productivity. These included Celeste Headlee’s Do Nothing, Anne Helen Petersen’s Can’t Even, Devon Price’s Laziness Does Not Exist, and Oliver Burkeman’s delightfully sardonic Four Thousand Weeks. This exhaustion with work was also reflected in multiple waves of heavily reported social trends that crested one after another during the pandemic. First there was the so-called Great Resignation. Though this phenomenon encompassed retreats from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many different economic sectors, among these many sub-narratives was a clear trend among knowledge workers to downgrade the demands of their careers. The Great Resignation was then followed by the rise of quiet quitting, in which a younger cohort of workers began to aggressively push back on their employers’ demands for productivity.
곧 알게 된 사실이지만, 이러한 반생산성 정서는 비단 제 독자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2020년 봄부터 2021년 여름까지 1년 반이 채 되지 않는 기간 동안 생산성에 대한 대중의 관념을 직접 겨냥한 주요 도서가 최소 4권 이상 출간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셀레스트 헤들리의 / 아무것도 하지 마라/, 앤 헬렌 피터슨의 / 할 수 없다/, 데본 프라이스의 / 게으름은 존재하지 않는다/, 올리버 버크먼의 유쾌하게 냉소적인 / 4천 주/가 포함되었습니다. 이러한 일에 대한 피로감은 팬데믹 기간 동안 연이어 보도된 여러 가지 사회 트렌드에도 반영되었습니다. 먼저 이른바 ‘위대한 사직’이 있었습니다. 이 현상은 다양한 경제 부문에서 노동력 참여의 후퇴를 포괄하는 것이었지만, 그 하위 서사 중에는 지식 근로자들 사이에서 자신의 경력에 대한 요구를 하향 조정하는 분명한 경향이 있었습니다. 대퇴직에 이어 젊은 층의 근로자들이 고용주의 생산성 요구에 적극적으로 반발하는 조용한 퇴직이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PART 01 근거
CHAPTER 1 유사생산성의 흥망 The Rise and Fall of Pseudo-Productivity
- ‘생산성’이란 무엇을 의미할까?
- 왜 우리는 이토록 탈진했을까?
- 더 바람직한 접근법이 있을까?
CHAPTER 2 슬로우 생산성 Do Fewer Things
- 느림 혁명
- 더 나은 대안을 찾아서
- 새로운 철학
PART 02 원칙들
CHAPTER 3 업무량을 줄인다 Slower Alternative
- 슬로우 생산성의 첫 번째 원칙
- 지식 노동자는 왜 업무량을 줄여야 할까?
- 핵심 과제: 중대한 업무 제한하기
- 미션 제한하기
- 프로젝트 제한하기
- 일일 목표 제한하기
- 핵심 과제: 사소한 업무 제한하기
- 오토파일럿 스케줄을 설정하자
- 동기화하자
- 다른 사람들이 더 많이 일하게 하자
- 태스크 생성기를 회피하자
- 돈을 쓰자
- 양육과 가사를 줄일 수 없는 부모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 핵심 과제: ‘푸시’ 대신 ‘풀’
- 풀 시스템 시뮬레이션 1단계: 보류와 진행
- 풀 시스템 시뮬레이션 2단계: 접수 절차
- 풀 시스템 시뮬레이션 3단계: 목록 정리
CHAPTER 4 자연스러운 속도로 일한다 Work at a Natural Pace
- 슬로우 생산성의 두 번째 원칙
- 지식 노동자는 왜 자연스러운 속도를 되찾아야 할까?
- 여유를 가지자
- 5년짜리 계획을 세우자
- 프로젝트 일정을 두 배로 늘리자
- 하루 일정을 간소화하자
- 자기 자신을 용서하자
- 계절성을 받아들이자
- 슬로우 시즌을 계획하자
- 연간 노동 기간을 줄이자
- ‘소소한 계절성’을 실천하자
- 빠르고 정신없이 일해야 하는 사람들
- 시인처럼 일하자
- 공간과 일을 연결하자
- 멋스럽기보다는 낯선 편이 좋다
- 의식은 주의를 끌어야 한다
CHAPTER 5 퀄리티에 집착한다 Obsess Over Quality
- 슬로우 생산성의 세 번째 원칙
- 지식 노동자는 왜 퀄리티에 집착해야 할까?
- 취향을 연마하자
- 영화광이 되자
- 뜻이 맞는 사람들을 모아 모임을 시작하자
- 고급 노트를 구입하자
- 완벽주의는 문제가 없을까?
- 자기 자신에게 내기를 걸자
- 아이들이 잠든 후에 글을 쓰자
- 급여를 줄이자
- 일정을 발표하자
- 투자자를 유치하자
결론
Glossary
유사생산성 : pseudo-productivity
반생산성 : anti-productivity
로그
2024-12-19 뉴포트 책을 간단히 보려고 한다.
딥워크
-
딥워크는 칼 뉴포트의 저서로, 강렬한 몰입과 최고의 성과를 목표로 하는 직업적 활동을 말합니다. 이 책에서는 딥워크와 피상적 작업의 차이를 설명하며, 어떻게 몰입을 유지하고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룹니다.
-
딥워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 인지능력을 한계까지 밀어붙이는 완전한 집중 상태에서 수행되는 직업적 활동입니다.
-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능력을 향상시키며, 따라하기 어렵습니다.
- 피상적 작업은 지적 노력이 필요하지 않고 종종 다른 곳에 정신을 팔면서 수행하는 부수적 작업입니다. 이러한 작업은 새로운 가치를 많이 창출하지 않으며, 따라하기 쉽습니다12.
-
딥워크는 몰입을 통해 탁월한 성과를 이뤄냅니다. 저자는 딥워크를 실행하는 네 가지 규칙을 제시합니다:
- 몰두하라: 딥워크 습관을 개발하는 방법으로, 의지력을 최소화하고 온전한 집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무료함을 받아들여라: 산만함을 극복하고 집중력을 기르기 위해 훈련이 필요합니다.
- 집중하는 삶이 최선의 삶이다: 몰입은 행복감을 낳으며, 딥워크를 통해 최고의 성과를 내기 위해 필요합니다
기초
슬로우 푸드 운동 : 전통적인 음식 문화를 통해 현대의 빠른 음식 문화에 대안을 제시하며, 환경주의와 세계화 논쟁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슬로우 운동 : 슬로우 시티, 슬로우 메디신, 슬로우 스쿨링, 슬로우 미디어, 슬로우 시네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슬로우 운동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슬로우 생산성 : 현대의 과도한 업무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더 적은 일을 하면서도 더 높은 품질의 결과를 추구하는 철학을 제안합니다.
전통적 지식 노동자 사례 : 제인 오스틴, 아이작 뉴턴 등 전통적 지식 노동자들의 사례를 통해 슬로우 생산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앤드류 와일스의 사례 : 와일스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풀기 위해 다른 모든 일을 줄이고 집중했습니다. 그는 관련 없는 연구를 중단하고, 집에서 일하며, 이미 완료된 연구를 작은 논문으로 나누어 발표했습니다.
임무 제한 : 와일스는 주요 목표를 줄여 집중력을 높였습니다. 이는 큰 목표를 줄이고, 구체적인 규칙과 습관을 통해 실현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제한 : 와일스는 하루에 하나의 주요 프로젝트에만 집중했습니다. 이는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었습니다.
작은 일의 통제 : 작은 일들이 큰 목표를 방해하지 않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생산성을 높이고, 더 큰 목표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프로 소프트웨어 사용 : Jenny Blake는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유료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행정 업무를 줄였습니다.
전문가 고용 : 회계사, 웹 컨설턴트, 변호사 등 전문가를 고용하여 일상 업무를 위임함으로써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장기적 투자 : 초기 비용이 들지만, 장기적으로는 큰 성과를 내기 위해 작은 업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의 어려움 :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운 부모들에게도 이 원칙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긴 시간의 중요성 : Lin-Manuel Miranda의 예를 통해 중요한 프로젝트에 더 긴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창의성과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5년 계획 세우기 :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단기적인 실패나 지연을 견디며 꾸준히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프로젝트 타임라인 두 배로 늘리기 : 초기 계획보다 두 배의 시간을 할당하여 더 여유롭고 지속 가능한 작업 속도를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일일 작업 간소화 : 하루의 작업량을 줄이고, 회의 시간을 절반 이하로 제한하여 더 자연스러운 작업 속도를 유지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Jack Kerouac의 작업 과정 : Kerouac는 소설을 완성하기 위해 여러 해 동안 여러 초안을 작성하며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의 작업은 즉흥적이지 않았으며, 매우 신중하고 공들인 과정이었습니다.
Mary Oliver의 작업 방식 : 시인 Mary Oliver는 자연 속에서 영감을 얻으며 천천히 작업하는 방식을 유지했습니다. 그녀의 시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 작업 방식이 그녀의 성공에 기여했습니다.
작업 환경의 중요성 : 작업 환경이 작업의 질과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in-Manuel Miranda는 역사적인 장소에서 작업하며 영감을 얻었고, Neil Gaiman은 숲 속의 작은 오두막에서 작업했습니다.
낯선 환경의 효과 : 익숙한 환경은 집중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Peter Benchley와 Maya Angelou는 낯선 환경에서 작업하여 더 나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시장과 개인의 속도 : 시장은 개인의 속도 조절에 관심이 없으며, 자신의 능력을 활용해 일정의 통제력을 얻어야 합니다.
품질에 대한 집착 : 품질에 대한 집착은 느림을 요구하고 가능하게 하며, 이는 더 지속 가능한 생활 방식을 가능하게 합니다.
취향의 중요성 : 창작 과정에서 ‘취향’이 중요하며, 이는 품질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분야에서 영감 얻기 : 자신의 분야 외의 다른 분야에서 영감을 얻는 것이 창작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자 유치 : 존 카펜터 감독이 1977년 런던 영화제에서 무스타파 아카드를 만나 30만 달러 투자를 유치하여 영화 “할로윈”을 제작하게 된 과정이 설명됩니다.
영화 성공 : “할로윈”은 1978년 봄에 21일 동안 촬영되었으며, 4,50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리며 독립 영화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영화가 되었습니다.
투자의 중요성 : 투자자의 신뢰를 얻는 것이 프로젝트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느린 생산성 : 존 맥피의 느린 생산성 철학이 소개되며, 이는 더 나은 작업 방식을 찾는 것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됩니다.
조용한 퇴사 : Cal Newport의 “The Year in Quiet Quitting” 에세이에서 조용한 퇴사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다룹니다.
Ian Fleming과 Goldeneye: Ian Fleming의 Goldeneye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atthew Parker의 책과 여러 출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Jack Kerouac : Jack Kerouac의 1959년 Steve Allen 쇼 인터뷰 클립이 온라인에서 제공됩니다1.
Mary Oliver 인터뷰 : Mary Oliver가 Krista Tippett와의 인터뷰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이 자신을 구원했다고 말합니다2.
가짜 생산성 : 가짜 생산성의 부작용과 대안, 그리고 기술과의 관계를 다룹니다.
리듬과 계절성 : 일의 리듬과 계절성을 받아들이는 방법, 짧은 근무 연도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슬로우 생산성 : 슬로우 생산성의 장점과 주요 원칙, 그리고 이를 실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작업 공간 : 작업 공간의 중요성과 이를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슬로우 생산성 : 현대의 과도한 업무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더 적은 일을 하면서도 더 높은 품질의 결과를 추구하는 철학을 제안합니다.
슬로우 푸드 운동 : 전통적인 음식 문화를 통해 현대의 빠른 음식 문화에 대안을 제시하며, 환경주의와 세계화 논쟁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제인 오스틴 :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