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박승억. 2022. 학문이 서로 돕는다는 것 : 현상학적 학문이론과 일반체계이론의 이중주. 성균관대학교출판부. https://books.google.co.kr/books?id=w8T2zgEACAAJ.

“박승억 - 철학 현상학 체계이론 학문이론.” n.d. Accessed July 17, 2024. https://www.yes24.com/24/AuthorFile/Author/134231.

#관련

박승억 - 철학 현상학 체계이론 학문이론

(“박승억 - 철학 현상학 체계이론 학문이론” n.d.)

성균관대학교 철학과에서 현상학과 학문 이론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트리어대학교 박사후 연구원과 청주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철학연구회 논문상’, ‘한국연구재단 창의연구 논문상’ 등을 수상했다. 첨단 기술과 인문학의 관계, 철학이 현실적인 삶의 문제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 중이다. 대표 업적은 「혐오의 이중성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2021), 「다양성 사회의 갈등 양상에 관한 현상학적 성찰」(2019), 『가치 전쟁』(2020) 등이 있다.

학문이 서로 돕는다는 것 : 현상학적 학문이론과 일반체계이론의 이중주

(박승억 2022)

머리말 - 보편학 에 대한 열망

제1부 - 학문이론 으로서의 현상학 과 일반체계이론

후설과 베르탈란피

시대 전환기의 학문 상황

지식 분류의 문제와 학문이론

심리학주의와의 대결과 그 학문이론적 함축

논리학과 인식론: 메타이론으로서 학문이론의 토대

메타이론으로서 존재론의 문제와 일반체계이론

메타이론의 토대로서 수학의 기초 문제

학문이론의 형식적 근거: 다양체론과 형식 존재론

영역 존재론과 일반체계이론 그리고 에를랑겐 프로그램

보편학과 개별 과학: 부분 세계와 전체 세계의 위상적 딜레마

지향성의 구문론과 의미론

체계이론의 구문론과 의미론

제2부 - 학문 간 협력의 조건들과 보편 학문이론의 가능성

환원주의의 문제

과학의 전문성과 융합 연구의 필요성

학문 발전의 동역학적 구조: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본 학문 체계의 변화

학문 발전의 양상과 구조적 여건들

지식 개념의 변화와 학문 간 협력의 조건들

학문 융합의 양상들: 쉬운 융합과 어려운 융합

사례연구: 온톨로지와 후설의 존재론적 기획

제3부 - 학문 간 협력을 위한 학문이론의 이념

기술적(descriptive) 융합과 규범적(normative) 융합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

방법론의 현실 적합성과 상대주의의 문제

기술(technology)과 탐구 영역의 혼종

학문적 탐구에 있어서 객관성의 문제

방법론의 문제: 현상학적 판단중지의 방법론적 확장

디지털 시대와 대학의 역할

학문 간 협력을 위한 교양교육의 문제

맺음말 - 보편 학문이론의 이념

주ㆍ참고문헌ㆍ찾아보기

용어 사전 정리 대기

매타이론 13,76,83~86,89,100 107, 111, 123,128,320 부진제성의 원리 119 문화과학 232~233 미들웨어 262 다양체론 64, 97~99,101, 104~106, 109, 220 대상론 76, 98-99, 109, 124 , 282 대칭성 8,221 데카르트, 르네 29, 40~41, 47, 56-58, 62, 66, 68,94, 209,214 325 데이터 과학 196, 258, 296, 300 304 디지털 플랫폼 164,295 바 방법론의 차이 201, 232, 234 ~237 253,261 버추얼 리얼리티 86~87 베이컨,프랜시스 43~47,319 범주화 204,243 보편학 5, 9, 38,40, 64-65,90 104. 121.202,279~280,282 284 복잡적응계 157,179 본질주의 188, 204~205 본질직관 111, 243,274 부분세계 120, 121, 123, 133 145~146 부분전체론 142 분트, 빌헬름 21-22, 48,56,61. 70,77,212,247 불변량 13, 117, 137~138, 242 브렌타노, 프란츠 22, 66,68-71, 74,76,124 비고츠키,레프 247-253 라 라플라시즘 157 라카토쉬.임레 48-~49 리오타르, 장-폴 183~184, 193 리케르트, 하인리히 230~234, 261 마 마이농,알렉시우스 22,124~128 메타바시스의 오류 57,332 메타버스 86~87 16:57 미엔나서클 비유 클리트기하하 92~95, 103 11 미트겐슈다인, 루트비히 60 80~81 실중주의 26,60,78, 80,82,173 182~183,234,285 실재론 89,127,270 실험 21, 26, 30, 35, 37, 42,48,56 61,69~70,77,172,198,210~212 235, 241, 258-260, 266, 270 272~273, 278, 283, 285~290 294 사 사대 자체로 273 상대주의 50, 182~184, 246~247 249~250, 252, 256,277 상위 온볼모지 219-221 생기된 29~31 생환세계 137~138, 146,222, 249. 251-252 수리는리하 106 수학의 기초분제 37,54,74, 86 89~91 슈뢰딩거, 에르빈 131, 153, 155 157 슐릭,모리츠 26,32, 60-61, 80 신경과학 175, 199, 207-212, 258. 262 신정윤리 40, 163, 167,207-210. 212, 235~236, 255 심리학주의 21, 25-26, 55-57, 61~65,72~73, 182 아 아리스토텔레스 6, 9, 30,34,259 양적 연구 방법 238~241 열린체계 290 영역 존재론 80,82,85,98-99 107, 109~114 , 117, 142, 151, 156 204-206, 214,220~221 에를랑겐 프로그램 13, 109, 114, 116, 120, 135,242 온톨로지 213-214, 218-223 235-236 요소심리학 247, 249 유기체론 143,157 위상적 구조 142, 205 윌슨, 에드워드 5-7, 12, 151-157 159, 163-164, 233-234, 257-258, 266 16:58 의미론적 다양성 122, 138, 145, 159 의미론적 체험 222 이론들에 관한 이론 83 이성의 목적론 52 이오니아의 꿈 5, 151 일반체계이론 10, 12, 32, 52~53 76, 83, 85~86, 90, 108~109, 114 118-119, 121, 138, 140, 143, 303 집합론의 역리 37,96 질적연구방법 238~241, 247, 267 차 칠하의 정체성 위기 35, 59 체계 진화 175~177, 180, 206, 210 체계철학 84 317,325 카 칸토르, 게오르크 22,95-96, 101 쿤,토마스 38,48~50, 161, 173. 175, 177, 181, 184,188, 191, 자기조직화 174~175 자연주의 61, 63 전문가 시스템 295~303,310~312 전문화 110, 163, 166~167, 169, 191, 193, 234, 319~320, 325 전체론적 143, 156~157, 199, 317~318 287~288 클라인, 펠릭스 13, 91, 114~117. 120, 242 정신과학 35, 77~79, 82, 190, 223 233,257,261~262,276 제1철학 6, 9, 11, 13, 40,57, 82 지식의 상업화 193 지식의 전문화 163, 169, 234 지향성 10-11, 22, 31, 66, 69, 98 133, 136~138, 146, 151, 158, 160 202,251~252,327

통섭 5, 7, 153~155, 159, 163-164 233, 257 통약불가능성 49, 173 통일과학 8, 12,32, 130 튜링 테스트 214, 216 16:58

환경과학 39~40 환원주의 7~9, 12-14, 29-30, 32, 77, 82, 122-123, 127, 130-131, 142, 145~147, 151, 153-159, 164, 174, 210, 212, 234, 256-257, 281 휴. 데이비드 78,127 힐베르트, 데이비드 97, 104, 106 파이어아벤트, 풀 49-50 판단중지 253, 274, 277-279, 282-283 포스트모던 6, 50, 183-184, 247, 256.273 포퍼. 칼 47-48, 51, 172~173, 175 285,289 플라톤주의자 72, 74, 89 플랫폼 98-99, 112, 146, 162, 164, 166. 181, 197, 209-210, 212, 264, 290, 294~295,304

기타

NBIC 융합 191, 229

하이데거, 마르틴 24, 213, 245 하위온톨로지 219-221 학문이론 13-14,43, 48, 51~55, 65, 76, 85~86, 88,98~99, 106~107 109-110, 113, 119~120, 123, 201, 205~206, 220~221, 223, 230 235, 267~268,279, 284,319 321, 327 현상학적 환원 281~285,287~289 형식 존재론 13, 82, 98-99, 107. 111~114, 220-221 홀런드, 존 158, 178-179

용어집

[2024-12-22 Sun 11:37]

@user 위의 목차에서 핵심 단어들로 영한 용어집을 만들어줘.

@assistant

  • 학문이론 (學問理論, Academic Theory): 학문의 본질, 목적,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이론.
  • 현상학 (現象學, Phenomenology): 에드문트 후설에 의해 발전된 철학적 방법론으로,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는 학문.
  • 일반체계이론 (一般體系理論, General System Theory): 루드비히 폰 베르탈란피가 제안한 이론으로, 모든 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원리를 연구.
  • 보편학 (普遍學, Universal Science): 모든 학문 분야를 포괄하는 보편적 학문 체계.
  • 지식 분류 (知識分類, Classification of Knowledge): 지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정리하는 작업.
  • 심리학주의 (心理學主義, Psychologism): 논리나 수학의 법칙을 심리학적 현상으로 설명하려는 경향.
  • 논리학 (論理學, Logic): 사고와 추론의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
  • 인식론 (認識論, Epistemology): 지식의 본질, 기원, 범위를 탐구하는 철학 분야.
  • 메타이론 (메타理論, Meta-theory): 이론에 대한 이론, 즉 이론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하는 이론.
  • 존재론 (存在論, Ontology): 존재의 본질과 구조를 연구하는 철학 분야.
  • 수학의 기초 문제 (數學의 基礎問題, Foundations of Mathematics): 수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탐구하는 문제.
  • 형식적 근거 (形式的根據, Formal Grounds): 형식 논리나 수학적 구조에 기반한 이론적 근거.
  • 다양체론 (多樣體論, Manifold Theory): 다양한 구조와 그 관계를 연구하는 수학적 이론.
  • 영역 존재론 (領域存在論, Regional Ontology): 특정 영역이나 분야에 국한된 존재론.
  • 에를랑겐 프로그램 (Erlangen Program): 기하학의 분류와 변환 이론을 체계화한 프로그램.
  • 지향성의 구문론과 의미론 (指向性의 句法論과 意味論, Syntax and Semantics of Intentionality): 의식의 지향성에 관한 구문적 및 의미적 분석.
  • 환원주의 (還元主義, Reductionism): 복잡한 현상을 더 단순한 구성 요소로 설명하려는 접근법.
  • 융합 연구 (融合硏究, Interdisciplinary Research): 여러 학문 분야가 협력하여 연구하는 방식.
  • 동역학적 구조 (動力學的構造, Dynamic Structure):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작용을 고려한 구조.
  • 양적 연구 방법 (量的硏究方法,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숫자와 통계를 사용한 연구 방법.
  • 질적 연구 방법 (質的硏究方法,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비숫자적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 방법.
  • 객관성 (客觀性, Objectivity): 주관적 편견 없이 사실에 근거한 판단이나 관찰.
  • 판단중지 (判斷中止, Epoche): 현상학에서 주관적 판단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방법.
  • 교양교육 (敎養敎育, Liberal Education): 폭넓은 지식과 사고력을 기르는 교육.

#+end_src

이 용어집은 주어진 목차에서 핵심 단어들을 추출하여 영어와 한글로 정리한 것입니다.

@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