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OGRAPHY

“철학책 읽기의 즐거움 – 정대현의 『한국현대철학 – 그 주제적 지형도』.” n.d. 네이버 블로그 [알음앓이] 하는 사람들의 공간. Accessed April 28, 2025. https://blog.naver.com/saiculture/222182689162.

정대현. 2016. 한국 현대 철학 - 주제별 철학자. https://www.yes24.com/product/goods/29379972.

History

한국 현대 철학 - 주제별 철학자

(정대현 2016) 정대현 2016

대학에서 30년 넘게 언어철학, 심리철학, 형이상학을 가르치고 연구해온 저자의 오랜 탐구의 결과로서, 동시대 활동하는 거의 모든 한국 철학자의 성취를 총망라한 최초의 시도이다. 저자는 ‘철학하기’란 무엇이며 한국의 현대 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철학책 읽기의 즐거움 – 정대현의 『한국현대철학 – 그 주제적 지형도』

(“철학책 읽기의 즐거움 – 정대현의 『한국현대철학 – 그 주제적 지형도』” n.d.)

한국현대철학-그 주제적 지형도 1976-2010

한국현대철학자1976-201040인 주제 웹
1부 인간: 연대성
인간조건: 고통1손봉호의 고통 철학links
2함석헌의 씨알 민중론links
3허라금의 여성주의links
인간 정체성4이기상의 사건적 존재links
5김선희의 신체적 인격links
철학으로서의 인문학6강영안의 주체 인문학links
7김상환의 내월 인문학links
유학의 현대성8한형조의 최소 유학links
9이승환의 격물궁리 철학links
2부 윤리: 사회성
인간규범10황경식의 통합 윤리links
11박은정의 인간학으로서의 법학links
민주화-산업화12윤평중의 산업화 철학: 자유 인간론links
13김상봉의 민주화 철학: 슬픔 인간론links
한반도 분단14송두율의 경계인 언어links
15백낙청의 분단 체제links
생태와 기술16한면희의 생태 철학: 인도적 생태주의links
17홍성욱의 기술 철학: 행위자 연결망links
3부 문화: 인간이 만드는 세계
문화철학18이종관의 현상학적 문화론links
19이진우의 정치적 문화론links
역사의 이해20이한구의 역사 실재론links
21김기봉의 역사 구성론links
문학과 철학22철학 문학: 정현종․김애란․이주향links
23김현의 문학 철학links
예술: 구체적 보편성24박이문의 양상 예술 철학links
25오종환의 현대 미학links
4부 언어: 공동체적 실재성
언어: 의미와 소통26일상 언어 철학links
27소통 행위 철학links
지식과 과학28김기현의 지식 자연화links
29장회익의 과학적 지식links
이성과 합리성30김우창의 심미적 이성links
31남경희의 정치적 이성links
철학사의 철학성32백종현 칸트의 철학성links
33이남인 후설의 철학성links
5부 존재: 그래도 이것을
실재34김재권의 환원적 물리주의links
35이좌용의 보편자 실재론links
진리와 논리36정인교의 직관주의 논리links
37김준걸의 부사적 수리 철학links
양상철학38최성호의 성향 철학links
39선우환의 양상 철학links
마음40한자경의 불교 철학: 비우는 마음links
41김영정의 인지 철학: 헤아리는 마음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