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OGRAPHY

에릭 호퍼. 1951. 맹신자들 - 대중운동의 본질에 관한 125가지 단상. Translated by 이민아.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8896400.

———. 1955. 영혼의 연금술 - 인간의 열정에 관한 아포리즘. Translated by 정지호.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245842.

———. 1973. 인간의 조건 - 인간과 자연에 대한 아포리즘.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245838.

———. 1983. 길 위의 철학자. Translated by 방대수.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186232.

History

저 에릭 호퍼(독일어: Eric Hoffer, 1902년 7월 25일 ~ 1983년 5월 21일)

미국에서 떠돌이 노동자 생활로 평생을 보낸 사회철학자다. 1902년에 미국 뉴욕 브롱크스(Bronx)에서 독일계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18살에 아버지를 잃었고 이 때 로스엔젤레스 로 가서 노동자 생활을 하기도 했다. 노동자 생활을 하면서 틈틈이 독서를 하였고 인간에 대한 통찰이 돋보이는 아포리즘식의 글을 쓰기도 했다. 이러한 에릭 호퍼의 글은 미국 사회에서 반향을 일으켰다. 미국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때는 자유훈장이 수여되었다.

맹신자들 - 대중운동의 본질에 관한 125가지 단상

(에릭 호퍼 1951)

책소개

맹신자의 심리를 날카롭게 파헤친 이 시대의 고전! 무엇이 인간을 광신적 극단주의로 몰고 가는가?

나치즘과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광풍이 휩쓸고 간 1940년대 샌프란시스코의 부두 노동자 에릭 호퍼는 일하는 틈틈이 철학 논문을 썼다. 왜 어떤 이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모두 벗어던지고 국가, 교회, 정당 따위의 집단에 광적으로 매달리는가? 호퍼의 첫 번째 저서이자 대표작인 『맹신자들』은 종교운동, 사회혁명운동, 민족운동 등 여러 대중운동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속성을 밝히기 위한 시도이다. 호퍼는 초기 기독교에서 현대의 공산주의, 나치즘, 민족주의까지를 아우르며 광신 현상과 대중운동을 철저하게 연구했다. 개인이 광신자가 되는 과정을 추적한 그의 책은 이후 종교적·이념적 근본주의자, 테러리스트, 자살폭탄자의 심리를 규명한 고전이 되었으며 오늘날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여전히 유효한 논의거리를 던지고 있다.

예수는 기독교 신자가 아니었고 마르크스는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었지만, 신념에 주린 대중은 그렇지 않다. 어떤 주의(ism)나 이념(ideology)에 사로잡힌 사람에게 인생과 우주는 하나의 단순한 공식과 같다. 자신이 절대적 진리를 소유했다는 확신은 누군가를 배타적으로 규정하면서 극악무도한 폭력을 낳기도 한다. 미국의 사회철학자 에릭 호퍼가 믿음이 너무나 두터워 더 이상 의심하지 않는 자, 맹신자(숭고한 대의에 기꺼이 목숨을 바치고자 하는 광신적 신념가)의 마음을 낱낱이 해부한다.

서문

1부 대중운동의 매력

1장 변화를 향한 갈망

2장 자기부정을 향한 갈망

3장 대중운동의 호환성

2부 잠재적 전향자

4장 인간사에서 불명예스러운 자들의 역할

5장 가난한 사람

  • 신생 빈민
  • 극빈자
  • 자유를 얻은 빈민
  • 창조적인 빈민 똘똘 뭉치는 빈민

6장 부적응자

7장 이기적인 사람

8장 무한한 기회를 눈앞에 둔 야심가

9장 소수자

10장 권태에 빠진 사람

11장 죄인

3부 단결과 자기희생

12장 머리말

13장 자기희생을 촉진하는 요인

  • 집단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경향
  • 연극성
  • 현실 비하
  • “아직 오지 않은 것”
  • 강령
  • 광신
  • 대중운동과 군대
  • 14장 단결의 동인
  • 증오
  • 모방
  • 설득과 강압
  • 지도자
  • 행동
  • 의심
  • 단결의 효과

4부 시작과 끝

15장 지식인

16장 광신자

17장 현실에 발 디딘 행동가

18장 좋은 대중운동 나쁜 대중운동

  • 역동기 대중운동의 빈곤함
  • 역동기의 기간을 결정하는 몇 가지 요인
  • 유익한 대중운동

출판사 리뷰

눈이 멀고 귀가 먼 믿음, 맹신 현상을 해부하다! 독학한 부두 노동자의 아포리즘

1940년대 샌프란시스코의 부두 노동자 에릭 호퍼는 일하는 틈틈이 글을 썼다. 대공황의 반작용으로 파시즘, 나치즘, 공산주의 등 전체주의 체제가 발흥하는 시기를 보내며 써내려간 아포리즘이었다. 1951년 ‘독학한 부두 노동자’의 첫 책은 발표되었고, 그는 이 저서로 큰 명성을 얻었다. 책이 출간된 당시 전 세계는 제2차 세계대전과 히틀러, 스탈린의 충격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했고, 냉전의 물결이 막 일어나던 차였다. 나치와 스탈린의 추종자에게는 어떠한 심리적 동기가 있을까? 나아가 어떤 이들은 왜 자기 자신을 벗어던지고 국가나 교회, 정당 따위의 집단에 광적으로 몰두할까? 호퍼는 도발적인 분석으로 광신 현상의 심리적 요인과 대중운동의 본질을 추적한다.

이 책은 여러 대중운동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다룬다. 호퍼는 모든 유형의 헌신과 신념, 권력 의지, 단결과 자기희생에는 어떤 획일적인 속성이 있다고 말한다. 광신적 기독교 신자, 광신적 이슬람교 신자, 광신적 민족주의자, 광신적 공산주의자, 광신적 나치가 서로 다른 것은 분명하지만, ‘광신’이라는 점에서 한 부류로 취급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책에서 다루는 ‘대중운동’은 반체제 저항운동뿐만 아니라 인간이 집단을 만들어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모든 운동을 아우른다. 초기 기독교 운동, 종교개혁 운동, 프랑스 혁명, 러시아 혁명, 나치즘, 일본의 근대화, 시오니즘 운동 등을 포괄하는 의미다.

태동기 대중운동에 참여하는 많은 이들은 자신의 삶이 순식간에 극적으로 변한다는 전망에 이끌리기 쉽다. 대중운동의 지도자도 이러한 대중의 열망을 꿰뚫어보고 보잘것없는 현재를 극복하면 영광스러운 미래가 기다리고 있다고 대중을 선동한다. 이러한 장밋빛 미래에 이끌리는 이는 주로 좌절한 사람이다. 현재의 자신을 경멸하는 좌절한 사람은 자기의 삶이 통째로 바뀌는 급진적인 변화를 선호한다. 변화를 갈망하는 이러한 좌절한 이들의 심리 상태 때문에 모든 초기의(태동기) 대중운동은 좌절한 사람들한테 호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호퍼는 말한다.

그에 따르면 자신이 쓸모없다는 자기혐오에 사로잡힌 사람일수록 자신에게서 벗어나 좀 더 완전하고 숭고해 보이는 무언가를 추종하기가 쉽다. 숭고한 대의에 에너지를 쏟음으로써 자신의 하찮은 삶, 망가진 인생으로부터 도피하는 것이다. 실로 좌절한 사람에게는 자신이 열정적으로 매달릴 어떤 대상이 필요한 것이므로 그것이 종교든 사회혁명운동이든 민족운동이든 가리지 않는다. 따라서 호퍼에 따르면 광신적 공산주의자가 광신적 애국주의자나 광신적 가톨릭 신도로 바뀌는 일은 이치에 맞다. 맹신자에게는 대의명분이나 이상이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자신이 얼마나 열정적으로 매달릴 수 있느냐 여부에 있다.

따라서 사람이 어떤 신념이나 대의를 위해 목숨을 거는 일이 아주 터무니없는 것은 아니다. 자기혐오에 사로잡힌 사람은 자신을 거부하고 하나의 조직에 완전하게 하나된다. 그는 교회나 국가, 정당 같은 신성한 조직의 품 안에 있을 때 비로소 열정과 힘을 경험한다. 그러므로 조직이나 대의를 위해 목숨을 희생하는 일은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는 일이다. 조직이 그리는 영광스러운 미래를 위해 폭력을 동원해야 한다면 더 없이 무자비해질 수도 있다. 이렇듯 개인이 광신자가 되는 과정을 영리하게 추적한 호퍼의 책은 시공을 초월하여 극단적 테러리스트, 자살폭탄자의 심리를 이해하는 지침서가 되고 있다.

불확실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호퍼의 목소리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 책은 단순히 대중운동론을 다루는 책이 아니다. 인간 내면과 행동을 명석하고 압축적으로 분석해낸 심리서이자, 대중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동기와 심리, 참여자의 유형과 내면 등을 추적한 사회철학서이기도 하다. 특히 군대, 증오, 설득과 강압, 지식인, 소수자 등을 논하는 호퍼의 혜안은 아주 빛난다. 호퍼는 마지막 장에서 대중운동의 발단과 성숙기까지를 살피며, 대중운동이 제대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세 유형의 사람이 발전 단계에 따라 각각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말한다. 대중운동의 토대를 닦는 것은 지식인, 대중운동을 실현하는 것은 광신자, 대중운동을 굳건히 다지는 것은 실천적인 행동가라야 한다고. 나치즘이 재앙으로 끝난 것은 히틀러라는 광신적 지도자가 성숙기까지를 이끌었기 때문이다.

호퍼는 좋은 지도자의 예로 링컨, 간디, F. D. 루스벨트, 처칠 같은 지도자를 꼽는다. 이들은 히틀러, 스탈린, 루터, 칼뱅과는 달리, 좌절한 영혼을 대중운동의 재료로 삼지 않았다. 이들 “지도자의 자신감은 인간에 대한 믿음에서 나오며, 자신이 인류를 명예롭게 대하지 않는 한, 아무도 명예로울 수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초기(역동기 혹은 활성기) 대중운동을 촉발하고 주도하는 맹신자들에게 호퍼는 일종의 혐오감을 가지고 접근하는 듯하지만, 대중운동이 정체된 사회를 각성하고 혁신하는 요인이 된다고 강조한다.

역동기 대중운동은 본래의 목적이 얼마나 숭고했건 간에 크든 작든 해악을 남긴다. 호퍼는 역동기 대중운동이 지나치게 긴 것은 좋지 않으며 바람직한 지도자는 간디와 같이 역동기를 언제 끝내야 하는지 간파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대중운동의 목표는 숭고할 필요가 없다. “신사의 나라라는 잉글랜드의 이상”, “은퇴자의 연금 생활이라는 프랑스의 이상”은 구체적이고 제한적이다. 모호한 목표는 극단주의가 탄생하는 여지를 만들기 때문이다.

육체노동자로 일하며 평생 책 읽고 글 쓰는 일을 쉬지 않았던 호퍼는 “평범하고 일상적인 사건이 역사를 만든다”고 믿었다. 자신의 독자적인 개성과 정체성을 포기하고 권위에 복종하는 것을 호퍼는 경계했다. 그는 “자신의 귀보다는 눈을 더 신뢰”하는 사람이었다. 이미 정해진 행동 강령을 맹종하는 것이 아닌 자기의 판단과 경험을 바탕으로 자기만의 삶의 기획하는 이였다. 불확실한 세상에서 점점 더 많은 이들이 자신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줄 ‘절대 진리’나 ‘기적’을 찾고 있다. 격렬한 변화의 시대에 호퍼의 목소리가 여전히 의미 있는 까닭이다.

“광신자의 심리와 태동기 대중운동의 역동성을 끌고 가는 힘이 무엇인지를 꿰뚫어보고자 한다면, 이 책을 읽어라.” ―《월스트리트저널》

“얼음 같은 기지로 빛나며 …… 지독할 정도로 정확한 분석이 빼곡한 『맹신자들』은 이성을 깨우는 강력한 책이다.” ―《 뉴욕타임스》

“대중운동의 본질을 독창적이고 명석하게 탐구한 이 책은 우리 시대 사회사상에 이바지한다.” ―아서 슐레진저 2세 (역사학자)

“정치적 광신 현상을 엄밀하게 논하는 탁월한 책.” ―《뉴요커》

“호퍼의 저작은 우리 시대 가장 도발적인 책의 반열에 든다.”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영혼의 연금술: 인간의 열정에 관한 아포리즘

(에릭 호퍼 1955)

  • The Passionate State of Mind - 1955
  • 에릭 호퍼 정지호
  • 인간의 유일무이성과 인간의 역사에서 적응 불능자가 하는 역할 등 그의 인생에 걸처 사색해 온 많은 주제들을 다룬 아포리즘 모음집

책의 내용

280개의 아포리즘은 영혼의 연금술로 빚어낸 빛나는 보석들!

1955년에 출간된 이 책에 수록된 아포리즘은 모두 280개에 이른다. 아포리즘 하나하나가 떠돌이 노동자 시절부터 《맹신자들》을 펴낼 때까지 20여 년간 노동과 독서와 사색으로 빚어낸 결과물이다. 그래서 하나하나가 자신의 사상을 형성하는 주춧돌일 뿐만 아니라, 영혼의 연금술로 빚어낸 빛나는 보석들이다.

‘한 열정이 다른 열정으로 바뀔 때 동반되는 혼란은, 그 방향이 정반대로 진행되더라도 보통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심하지는 않다. 모든 열정적인 정신 안에는 기본적으로 유사한 구조가 있다. 죄인에서 성자로 변신하는 사람이나, 호색가에서 금욕주의자로 변신하는 사람이나, 둘 다 급격한 변화를 겪지 않는다.’(영혼의 연금술 10)

인간의 열정은 기본적으로 지금과는 다른 인간이 되려는 욕망에서 출발한다. 사회 부적응자의 자기혐오나 자기부정은 자기로부터 도피인 셈이다. 몽테뉴조차 “자기를 증오하고 경멸하는 것은 다른 피조물에서는 볼 수 없는 인간 특유의 병”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이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불만을 찾아내자마자, 급격한 변화를 요구하는 강한 열정에 사로잡히는 것이다. 적당한 대의명분과 목적이 주어지면 자신과 자신이 소속된 집단을 통째로 바꾸기 위해 강한 에너지를 발휘한다. 명분과 대상이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래서 열정적인 사람들은 종교운동이건 사회운동이건 민족운동이건 가리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이 광신적 공산주의에서 광신적 민족주의자나 종교적 광신자로 바뀌는 일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자신이 무엇인가에 고통받고 있을 때, 무엇인가를 위해 고통받고 있는 거라고 굳게 믿을 수 있는 것은 약자의 재능이다. 이들은 달아날 때도 사람들에게 길을 알려주고 있다고 믿고, 열기를 느낄 때도 빛이 보인다고 생각하며, 사람들이 자신을 기피할 때도 선택받았다고 확신한다.’(영혼의 연금술 49)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파나티시즘에 빠져들고, 또 맹목적으로 대중운동에 뛰어드는가? 에릭 호퍼는 인간의 자기애, 사회적 약자, 개척자, 인간의 열정에 초점을 맞추고 그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 있다. 그가 던지는 아포리즘 하나하나는 인간의 존재와 현실사회의 근원에 맞닿아 있다. 그래서 종교적이고, 정치적이고, 예술적이고, 철학적인 의미로 읽히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 에릭 호퍼는 대중운동에 뛰어드는 사람은 자기를 모르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자기를 모르기 때문에 자신의 잠재력이나 업적에 대한 냉철한 인식이 결여돼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존심이 없는 상태에서 가공의 자기, 지도자, 거룩한 대의, 집단적인 조직과 자기 자신을 일체화시키면서 자부심을 키우게 된다. 이때의 자부심은 본래 자기 자신의 일부가 아닌 것으로 그 안에 두려움과 옹졸함이 있으며, 민감하고 타협할 줄도 모른다. 자부심의 핵심은 바로 자기 거부이기 때문이다.

대중운동의 맹신자들은 죄의식, 좌절감, 자기혐오에 사로잡힌 채 대의와 대상을 추종하는 동기에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묻어버리게 된다. 자신의 무의미한 생에 의미를 부여해 줄 것으로 여겨지는 대중운동에 열광적으로 투신하는 것이다. 에릭 호퍼는 이처럼 불완전하고 불확실한 자기로부터 도피하려는 열정이야말로 퇴행적 대중운동을 이끄는 힘의 원천이라고 단언한다.

인간의 조건

(에릭 호퍼 1973) 인간의 조건 - 인간과 자연에 대한 아포리즘

  • Reflections on the Human Condition

  • 에릭 호퍼

  • 1973

    에릭 호퍼의 생애 두 번째 아포리즘집인 《인간의 조건》은 《영혼의 연금술》과 비교해 아포리즘의 개수는 적지만 다루는 주제는 훨씬 다양하다. 모두 183개의 아포리즘으로 이루어진 《인간의 조건》은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출간된 자신의 저서들이 다루는 주제가 모두 집약되어 있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 트러블메이커의 본질, 인간 창조성의 원천, 인간의 본성 등이다.

1 용과 악마 사이에서

인간이 완전한 존재가 되려고 시도하면서, 또 스스로의 의지로 자연을 극복하려고 노력하면서 자연과 적이 되었다. 이처럼 ‘외부의 자연’을 극복하기 위한 과학기술이 발달할수록, 역설적이게도 인간은 ‘내부의 자연‘과 대치상황에 빠졌다. 즉 악마 혹은 용과의 투쟁이 시작된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내면에 있는 가장 인간적인 것과 가장 비인간적인 것 사이의 긴장관계를 이용하여 창조적인 노력으로 영혼을 팽팽하게 당겨주어야만 악마에 대항할 수 있는 법이다.

2 사고뭉치

억압받고 상처받은 자들이 운 좋고 자유로운 자들보다 유리한 입장에 있다. 이들은 인생의 목적을 모색할 필요도 없고, 기회를 허비했다고 비탄에 잠길 필요도 없다. 불만과 터무니없는 희망은 이들을 키워주는 자양분이다. 게다가 어떤 치수에도 딱 맞는 영웅의 옷이 마련되어 있고, 개인적인 실패를 정당화해주는 불멸의 구실도 있다. 억압받는 자들이 과연 자유를 위해 싸울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이들은 자부심과 권력을 위해, 즉 다른 사람을 억압하는 권력을 가지기 위해 싸운다.

3 창조자

창조적 과정에 내재해 있는 고유성으로 인해 종종 작가나 예술가들은 자기야말로 우주의 중심이며 우주의 힘이 만들어내는 운명의 전달자라고 생각한다. 이 때문에 이들은 우연의 일치나 예감, 징후에 매료된다. 이런 생각은 상당한 자기 연출 능력이 필요한 일종의 자만심이며, 철없는 지성에 고유하게 내재된 능력이다. 알량한 독창성을 발휘하는 데 도대체 얼마나 많은 거짓이 필요한 것일까?

4 예언자

절대 권력은 사람을 예측 가능한 생명체로 전락시킬 수 있다. 인간적 변수를 항수로 바꾸어놓는 것이다. 스탈린과 히틀러 같은 영혼의 기술자는 역사를 엄밀한 과학, 즉 동물학의 한 분야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스탈린이나 히틀러 같은 인물이 자신의 예측을 실현해버리는 권력을 손에 쥐고 있다는 이유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 때, 일반 사람들의 생활은 예측할 수 없게 된다.

5 인간

집단적 수치심이라는 것이 과연 존재할 수 있을까? 집단적 분노는 있다. 집단적 자부심도, 집단적 의기양양함도 있다. 그러나 집단적 수치심은 없다. 다른 사람들과 연대할 때 우리는 거의 여지없이 자기보다 나은 자와 결탁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과 죄를 지으면 참담한 기분을 느끼지 않게 된다. 목차

지은이 : 에릭 호퍼

평생을 떠돌이 노동자 생활로 일관한 미국의 사회철학자. 정규 교육을 받지 않고 독서와 사색만으로 독자적인 사상을 구축해 세계적인 사상가의 반열에 올랐다. 1902년 미국 뉴욕의 브롱크스에서 독일계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나 그곳에서 성장했다. 사고의 후유증으로 7세 때 시력을 잃어 학교를 다니지 못했지만 15세 때 기적적으로 시력을 회복했다. 18세때 가구 제조공이었던 부친이 돌아가시고 로스앤젤레스로 건너가 떠돌이 노동자의 삶을 살았다. 28세 때 자살을 시도했지만 실패로 돌아간 이후 10년 동안 전국 각지를 돌며 떠돌이 방랑자의 삶을 이어갔다. 1951년(49세)에 자신의 대표작『맹신자들The True Believer』를 발표해 미국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세계적인 명성도 얻게 되었다. 떠돌이 노동자로서의 삶과 광적인 독서량 그리고 깊은 사색을 통해 얻어진 인간의 본성에 대한 통찰과 사회에 대한 냉철한 현실 인식은 전후 미국 사회의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1983년 사망하였으며, 그해 미국 대통령의 자유훈장이 수여되었다.

옮긴이 : 정지호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일본어와 영어를 공부했고, 성균관대학교 번역대학원에서 번역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일본어와 영어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에릭 호퍼의 아포리즘 모음집 《영혼의 연금술》과 《인간의 조건》 그리고 에릭 호퍼의 다른 저서《시작과 변화를 바라보며》, 《우리 시대를 살아가며》, 《부두에서 일하며 사색하며》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기획의도

인간과 자연의 근원적 본질과 조화에 대한 성찰!

“나는 전문적인 철학자는 아니다. 추상적인 것을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하나의 잎과 가지가 나무의 줄기에서 출발하듯이 나의 사상도 생활 속에서 길러진 것들이다.”

에릭 호퍼가 어느 인터뷰에서 밝힌 말이다. 그가 아포리즘으로 표현한 것은 살아있는 철학이다. 생활 속에서 온몸으로 한 뜸 한 뜸 자신의 혼과 사상을 담은 아포리즘을 직조해내기 때문이다. 독서, 메모, 일기, 사색의 과정을 거치면서 한 문장이 아포리즘으로 다듬어지고, 이것들이 모이면 하나의 주제에 대한 에세이 형식의 책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에릭 호퍼는 《인간의 조건》을 집필한 1964년부터 1972년까지 UC버클리에서 강의를 맡지 않는 조건으로 일주일에 한 번씩 학생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당시 대학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던 격심한 학생운동으로 들끓을 때였다. 이런 캠퍼스 분위기 속에서 자기인식이 결여된 채 ‘말로 먹고사는’ 대학 구성원들을 지켜보면서 그들에게 강한 반감을 느꼈다. 그래서 인간의 기원과 본성에 대한 그의 고찰은 더욱 심화되었고, 한 인간이 갖추어야 할 기본조건에 대한 탐구도 계속되었다. 에릭 호퍼는 《영혼의 연금술》에서 얼음같이 차가운 위트와 경구로 인간의 ‘지칠 줄 모르는 악의와 잔인함’에 대해 철저하게 탐구한 반면, 18년 뒤에 출간된《인간의 조건》에서는 자신의 지적성장을 반영하듯 인간과 자연의 근원적 본질과 조화에 대한 깊은 성찰을 보여주고 있다.

‘자연은 완전하지만 인간은 절대로 그렇지 못하다. 완전한 개미, 완전한 꿀벌은 있지만 인간은 영원히 미완성이다. 미완성의 동물인 동시에 미완성의 인간인 것이다. 인간이 다른 생명체와 구별되는 점도 이런 치유할 수 없는 불완전함이다.’(인간의 조건 1)

에릭 호퍼는 다른 생물과 달리 인간은 자연의 실수에서 비롯된 미완성의 피조물이라고 말한다. 인간이 자연의 불변적 법칙에서 탈출하고, 자연의 가장 강력한 적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자기 완성의 과정을 밟아왔기 때문이라고 설파한다. 인간의 창조성의 원천도 그 불완전성에 있고, 인간은 자신에게 부족한 것을 보충하기 위해 창조력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호퍼는 인간 본성을 탐구하면서 인간 내면의 비열함을 나타내는 증거들을 만나게 됐다고 술회한다. 인간의 기원을 생각해 볼 때, 놀라운 일이란 소중한 가치의 근원을 이루는 사악함이 아니라, 오히려 지칠 줄 모르는 악의와 잔인함을 자선과 사랑, 천국에 이르는 이상으로 바꿔주는 영혼의 연금술이라고 지적한다. 그리고 완전한 인간이 될 때까지, 인간은 모두 어느 정도 악마이며, 인간의 모습으로 가장한 야수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인격적으로 성장하고 성숙하려면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 첫째, 인간의 동정심에 의지해야 한다고 말한다. 인간이 고매한 이상에 헌신할 때 생기는 무자비함과 인간의 본성에 내재된 잔인한 충동을 완화하는 것은 정의의 원칙이나 선악의 구별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의 격렬한 열정을 다스리는 데 필요한 것은 ‘우리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선과 악의 부단한 왕래’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힘, 즉 동정심이라고 설명한다. 둘째, 개인과 사회가 높은 창의성을 유지하려면 ‘여유로움’을 잊지 말아야 하고, 또 개인의 재능과 창의성에 수반하는 어려움을 냉철하게 인식하고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즉 여유로움과 동정심이야말로 우리의 인간적인 성장과 성숙을 돕는 필수요소라는 것이다

길 위의 철학자 - 자서전

(에릭 호퍼 1983)

  • Truth Imagined
  • 에릭 호퍼 방대수

로그

2025-03-14 W10

@user 에릭 호퍼 철학자에 대해서 소개해줘. 그리고 그의 대표저작들도 알려줘

@assistant 에릭 호퍼는 1902년 뉴욕 브롱크스에서 독일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미국의 사회철학자입니다. 그는 어린 시절 사고로 시력을 잃었으나 15세에 회복하고, 이후 끊임없이 독서와 사색을 통해 독자적인 사상을 구축했습니다. 정규 교육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철학적 사고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 『맹신자들(The True Believer)』(1951): 대중 운동의 속성을 탐구한 책으로, 나치즘과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유럽 상황과 맞물려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 『마음의 열정적 상태와 그 밖의 잠언(The Passionate State of Mind and Other Aphorisms)』(1955)
  • 『변화의 시련(The Ordeal of Change)』(1963)
  • 『우리 시대의 기질(The Temper of Our Time)』(1967)
  • 『인간 상황의 고찰(Reflections on the Human Condition)』(1973)
  • 『에릭 호퍼, 길 위의 철학자(Truth Imagined)』(1983)

에릭 호퍼는 1983년 사망했으며, 그해 미국 대통령의 자유훈장이 수여되었습니다. 2001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에릭 호퍼 문학상’이 제정되었습니다[1][2][3].

@user

#책꼽문#인용#문장수집

몽둥이로 다스리고 돈 한푼 주지 않고 …

[2025-06-05 Thu 22:51]

힣아…

quote

그녀가 누구인지 알고 난 뒤 그는 술에 흠뻑 취한 채 자신은 가장 더러운 쓰레기라고 떠벌리고 다녔다. 술이 깬 뒤 그는 그 처녀의 집으로 찾아가 무릎을 꿇고는, 자신은 보잘것없는 쓰레기이지만 자신의 아내가 되어 달라고 했다. 그리고 이 결혼이 성사되지 않으면 자신은 더 이상 살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그래서 그녀는 그와 결혼했고 철봉으로 그를 다스렸다. 그에게는 한 푼도 주지 않고 땀 흘려 일하고 저축하게 했다. 그래서 그들은 50년 만에 큰 재산을 모으게 되었다.

― 길 위의 철학자, 에릭 호퍼 [크레마 예스24 eBook] http://m.yes24.com/Goods/Detail/12245840

Screenshot_20250522_100903_Edge 에릭호퍼 시가

[2025-05-25 Sun 19:39]

아포리즘

영혼의 연금술 1955

13:55 @에릭호퍼 영혼의연금술 아포리즘 1

[2025-06-18 Wed 14:02]

1

There is most passions a shrinking away from ourselves. The passionate pursuer has the earmarks of a fugitive.

Passions usually have their roots in that which is blemished, crippled, incomplete and insecure whithin us. The passionate attitude is less a response to stimuli from without than an emanation of an inner dissatisfaction.

2

quote 2

A poignant dissatisfaction, whatever be its cause, is at bottom a dissatisfaction with ourselves. It is surprising how much hardship and humiliation a man will endure without bitterness when he has not the least doubt about his worth or when he is so integrated with others that he is not aware of a separate self. 영혼의 연금술 | 에릭 호퍼 [크레마 예스24 eBook] http://m.yes24.com/Goods/Detail/12245842

인간의 조건 1973

1

quote

Nature attains perfection, but man never does. There is a perfect ant, a perfect bee, but man is perpetually unfinished. He is both an unfinished animal and an unfinished man. It is this incurable unfinishedness which sets man apart from other living things. For, in the attempt to finish himself, man becomes a creator. Moreover, the incurable unfinishedness keeps man perpetually immature, perpetually capable of learning and growing.

자연은 완성을 이루지만, 인간은 결코 완성되지 않는다. 완벽한 개미가 있고, 완벽한 벌이 있지만, 인간은 끊임없이 미완성 상태에 있다. 그는 미완성된 동물이자 미완성된 인간이다. 이 치유할 수 없는 미완성성이 인간을 다른 생명체와 구별 짓는다. 왜냐하면, 자신을 완성하려는 시도 속에서 인간은 창조자가 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치유할 수 없는 미완성성은 인간을 영원히 미성숙하게 만들며,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할 수 있게 한다.

2

[2025-06-28 Sat 13:41] 번역은 어렵다. 원문이 살지 않는다. 때론 그렇다.

quote

There is something unhuman about perfection. The performance of the expert strikes us as instinctual or mechanical. It is a paradox that, although the striving to master a skill is supremely human, the total mastery of a skill approaches the nonhuman. They who would make man perfect end up dehumanizing him.

완벽함에는 어딘가 비인간적인 면이 있다. 전문가의 행위(performance)는 본능적이거나 기계적인 면이 돋보인다. 역설적이게도, 기술을 숙달하려는 노력은 지극히 인간적이지만, 기술의 완전한 터득은 비인간적인 상태로 나아가는 것이다. 인간을 완전한 존재로 만들려는 자들은 결국 인간을 비인간적인 존재로 전락시킨다.

― 인간의 조건, 에릭 호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