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이기상. 2004. 이 땅에서 우리말로 철학하기 - 살림지식총서. 살림. https://www.yes24.com/product/goods/392605.
———. 2006. 존재와 시간 - 인간은 죽음을 향한 존재 - 마르틴 하이데거. 살림출판사. https://www.yes24.com/product/goods/3058327.
———. n.d.-a.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과 우리말 철학사전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11, 2025. https://blog.naver.com/saiculture/222268486826.
———. n.d.-b.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 12. 도구, 손안에 . : 네이버블로그.” Accessed April 10, 2025. https://blog.naver.com/saiculture/222259344432.
우리사상연구소, and 이기상. 2007. 우리말 철학사전 1 과학 인간 존재. 지식산업사. https://www.yes24.com/product/goods/210137.
Related Notes
- @정양모 성서학자 사제 예수 공부 다석학회
- @장회익 #자연철학 #온생명 #스승
- @김종철 @장회익 @이현주: #새들은과외수업을받지않는다 - #생태학 #온생명
- @박찬국 철학자 니체 하이데거 서양철학
History
- 앎의 만남
이기상 (李基相)
가톨릭대학 신학부를 졸업하고 벨기에 루뱅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했고, 독일 뮌헨 예수회 철학대학에서 철학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4년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우리사상연구소’ 소장이다.
1992년 열암학술상을 수상했고, 1994년 한국출판문화상 번역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1991), 『하이데거의 존재와 현상』(1992), 『철학노트』(2002),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2003), 『쉽게 풀어쓴 하이데거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그 영향』(2010), 『콘텐츠와 문화철학』(2009), 『지구촌시대와 문화콘텐츠』(2009) 외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F. W. 폰 헤르만의 『하이데거의 예술철학』(1997),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1998)과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2001) 외 여러 권이 있다.
블로그
블로그 대문 알음앓이
caption=“<span class=“figure-number”>Figure 1: 알음앓이 대문” width=“100%” >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과 우리말 철학사전 : 네이버 블로그
(이기상 n.d.-a) 이기상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 12. 도구, 손안에 .. : 네이버블로그
(이기상 n.d.-b)
저서
이 땅에서 우리말로 철학하기 - 살림지식총서
(이기상 2004) 이기상 2004
- 경기도사이버도서관에 있다.
이 땅에서 우리말로 철학하기는 몸으로 부대끼며 사는 삶의 세계에 바탕한 우리의 고유한 철학을 세워보려는 시도이다. 이 땅에서 우리말로 철학하여 우리의 역사와 문화, 현재의 삶의 세계와 문법을 우리의 철학으로 체계화시켜서 제시하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딛고 있는 것.
우리말 철학사전: 1 과학 인간 존재
(우리사상연구소 and 이기상 2007) 우리사상연구소 and 이기상 2007
우리에게 결여된 것은 ‘주체적인 사유자세’였다. 한마디로 철학함이 없이, 유행되는 철학이론들만을 수입해서 앵무새처럼 되뇌이며 팔았을 뿐이다” 최근 {}우리말 철학사전{}을 펴낸 우리사상연구소(소장 성염)의 문제의식은 치열하다. {}철학사전{}은 철학도에게 가장 필수적인 도구임에도 우리 말로 주체적으로 사유하여 정리한 철학사전이 없었다는 반성은 대표적이다.
하이데거 - 존재와 시간
(이기상 2006) 마르틴 하이데거 and 이기상 2006
- 경기도사이버도서관에 있다.
책소개
고전들을 시대의 흐름에 맞게 복원한 ‘e시대의 절대 사상’ 시리즈의 한 권. 고전의 내용이 지나치게 주관적으로 해석되어 전달되는 위험을 피할 수 있도록 그 분야에 대해 가장 정통하면서도 오랜 연구 업적을 쌓은 학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응축시켜 새로운 고전의 길을 열고자 했다. 마치 한 편의 잘 짜여진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보듯, 고전이 탄생할 수 있었던 시대적 배경과 작가의 주변 환경, 그리고 고전에 담긴 지혜를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했고, 난해한 전문 용어나 개념어들은 최대한 알기 쉽게 설명하였다.
이 책은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철학서이자 어렵기로도 악명 높은 『존재와 시간』을 쓴 하이데거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존재와 시간』에서 2500년의 서양철학사를 해체하고 재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서양 철학에 대한 밑그림이 없이는 한 페이지도 넘기기 어렵다. 하이데거 철학의 권위자이자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의 회장이기도 한 이기상 교수는 『존재와 시간』의 난해한 개념들을 일상적인 우리말로 쉽게 설명하면서, 하이데거의 철학이 21세기에 더욱 유효한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들어가는 글
1부 시대·작가·사상
- 1장 하이데거 철학과의 만남
- 2장 하이데거와 20세기
2부 『존재와 시간』: 존재를 둘러싼 거인들의 싸움
- 1장 존재의 의미와 존재물음의 필요성
- 2장 존재의 의미를 묻는 방법
- 3장 인간에 대한 새로운 규정
- 4장 과학, 일상, 실존의 세계
- 5장 세계 시간과 현존재의 시간성
- 6장 진리에 대한 새로운 해석
- 7장 의의와 영향
3부 관련서 및 연보
|2025-04-11 Fri 06:16|
@user 아래 내용에서 하이데거의 준비성이란게 실제 있는 말이야?
도구 선택 기준에서 그는 “숙달의 리듬”을 강조한다 . 대장장이의 망치처럼 도구가 신체의 연장선이 되어야 진정한 창작이 가능하다는 믿음이다. 이는 하이데거의 “준비성(ready-to-hand)” 개념과 맥을 같이하며, 기술과 인간의 경계를 흐리는 실천적 철학을 보여준다
@assistant 하이데거의 철학에서 “준비성”은 실제로 존재하는 개념입니다. 그러나 “준비성”이라는 용어는 정확히 하이데거의 철학에서 사용된 것은 아닙니다. 하이데거는 “기성사실성(ready-to-hand)“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도구가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합니다. 이는 도구가 사용자의 신체 연장선이 되어 창작이 가능하다는 의미와 맥을 같이합니다[1][4].
따라서, “준비성”이라는 용어는 정확한 번역이 아니며, 하이데거의 철학에서는 “기성사실성”이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 Citations: [1] https://brunch.co.kr/@@enjc/11 [2] https://diephilosophin.tistory.com/280 [3] https://blog.naver.com/erykah/223258741693 [4] https://brunch.co.kr/@cometonaugh/145 [5] https://blog.naver.com/1019milk/222240464109
@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