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히스토리
- 네트워크 10GbE 연결 검토
- #인공지능 워크로드를 위한 PC클러스터 구성
관련메타
BIBLIOGRAPHY
#스위치: 컨트롤러 연결 및 점보프레임 검증 10G
- 스위치: NEXTU 8x10G SFP L3 Fiber Managed Switch
- 이더넷: 10G MT27500 Family [ConnectX-3]
- 매니지먼트 192.168.2.1 admin admin
3208SFPL3-10G
- 스하판 L3 8포트10G SFP+ 이더넷 스위치
- 다운로드 복사
- L3 8Port 1G/10GX SFP+ Managed 스위치허브 /1G/2.5G/10G SFP+ 8포트 / MSTP(멀티링),RSTP , L3 라우팅 Static, OSPF,RIP,BGP, SNMP,QOS,VLAN,DHCP Server 기능 지원 /
NEXTU 8x10G SFP L3 매니지먼트 - 웹
IP 주소 대를 맞춰서 세팅한다. 192.168.2.123 그리고 xfce4 desktop이라도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firefox로 192.168.2.1을 접근한다.
admin, admin으로 들어간다.
DONT 시리얼 연결 시도 - 실패
@user 다음 스위치에 연결하려고해 아래 시리얼 포트로 접근하면 될 것 같아. 방법을 알려줘 (우분투 리눅스)
- 스위치 모델명 : NEXTU 8x10G SFP L3 Fiber Managed Switch
hejdev@hej1:~$ sudo dmesg | grep tty
[sudo] password for hejdev:
[ 0.150752] printk: console [tty0] enabled
[ 0.584824] 00:03: ttyS1 at I/O 0x2f8 (irq = 3, base_baud = 115200) is a 16550A
[ 5.522803] dw-apb-uart.4: ttyS4 at MMIO 0x4010004000 (irq = 20, base_baud = 7500000) is a 16550A
@assistant
NEXTU 8x10G SFP L3 스위치 시리얼 연결 방법 (Ubuntu Linux)
연결 절차:
-
필요한 도구 확인
- USB-to-Serial 케이블 (일반적으로 FTDI 칩셋 사용)
- RJ45 콘솔 케이블 (스위치 제공 케이블 사용)
-
시리얼 포트 확인
ls /dev/ttyUSB* # USB-to-Serial 연결 시 ls /dev/ttyS* # 내장 시리얼 포트 사용 시
- dmesg 출력에서 =ttyS1=(I/O 0x2f8)이 기본 시리얼 포트로 확인됨
-
minicom 설치 및 설정
sudo apt install minicom sudo minicom -s
- 설정 메뉴에서:
- Serial Device:
/dev/ttyS1
(또는 해당 포트) - Bps/Par/Bits: 115200 8N1
- Hardware Flow Control: No
- Serial Device:
- 설정 메뉴에서:
-
물리적 연결
- 스위치의 Console 포트 ↔ Linux 서버의 시리얼 포트 연결
- 전원 케이블도 함께 연결
-
접속 실행
sudo minicom -D /dev/ttyS1
- Enter 키를 여러 번 눌러 로그인 프롬프트 유도
주의사항:
- 권한 문제 시
sudo usermod -aG dialout $USER
실행 후 재로그인 - CTS/RTS 플로우 컨트롤 비활성화 필수
- 케이블 불량 확인을 위해 =screen=이나 =cu=로도 테스트 가능
추가 명령어:
# 포트 설정 확인
stty -F /dev/ttyS1 -a
# raw 데이터 보기
cat /dev/ttyS1
연결 후 작업:
- 스위치 IP 설정 확인/변경
- 10GbE 포트 활성화 상태 점검
- Jumbo Frame 설정 확인 (일반적으로 9000 MTU)
@user 둘중에 뭐가 스위치 일 것 같아?
hejdev@hej1:~$ sudo stty -F /dev/ttyS1 -a
[sudo] password for hejdev:
speed 115200 baud; rows 0; columns 0; line = 0;
intr = ^C; quit = ^\; erase = ^?; kill = ^U; eof = ^D; eol = <undef>; eol2 = <undef>; swtch = <undef>; start = ^Q;
stop = ^S; susp = ^Z; rprnt = ^R; werase = ^W; lnext = ^V; discard = ^O; min = 1; time = 5;
-parenb -parodd -cmspar cs8 -hupcl -cstopb cread clocal crtscts
ignbrk -brkint -ignpar -parmrk -inpck -istrip -inlcr -igncr -icrnl -ixon -ixoff -iuclc -ixany -imaxbel -iutf8
-opost -olcuc -ocrnl -onlcr -onocr -onlret -ofill -ofdel nl0 cr0 tab0 bs0 vt0 ff0
-isig -icanon -iexten -echo -echoe -echok -echonl -noflsh -xcase -tostop -echoprt -echoctl -echoke -flusho
-extproc
hejdev@hej1:~$ sudo stty -F /dev/ttyS4 -a
speed 9600 baud; rows 0; columns 0; line = 0;
intr = ^C; quit = ^\; erase = ^?; kill = ^U; eof = ^D; eol = <undef>; eol2 = <undef>; swtch = <undef>; start = ^Q;
stop = ^S; susp = ^Z; rprnt = ^R; werase = ^W; lnext = ^V; discard = ^O; min = 1; time = 0;
-parenb -parodd -cmspar cs8 hupcl -cstopb cread clocal -crtscts
-ignbrk -brkint -ignpar -parmrk -inpck -istrip -inlcr -igncr icrnl ixon -ixoff -iuclc -ixany -imaxbel -iutf8
opost -olcuc -ocrnl onlcr -onocr -onlret -ofill -ofdel nl0 cr0 tab0 bs0 vt0 ff0
isig icanon iexten echo echoe echok -echonl -noflsh -xcase -tostop -echoprt echoctl echoke -flusho -extproc
hejdev@hej1:~$ cat /dev
@assistant **ttyS1*이 스위치 연결에 더 적합합니다.
이유:
-
속도 (Baud Rate)
- ttyS1: 115200 baud → 네트워크 장비 표준 속도
- ttyS4: 9600 baud → 너무 느림 (구형 장비용)
-
플로우 컨트롤
- ttyS1:
crtscts
(하드웨어 플로우 컨트롤) → 네트워크 장비에 적합 - ttyS4:
-crtscts
(플로우 컨트롤 비활성화)
- ttyS1:
-
일반적인 네트워크 장비 설정
- 대부분의 현대 스위치는 115200 8N1 설정 사용
- NEXTU 같은 관리형 스위치는 115200이 표준
연결 시도:
sudo minicom -D /dev/ttyS1
minicom 설정:
- Serial Device:
/dev/ttyS1
- Bps/Par/Bits: 115200 8N1
- Hardware Flow Control: Yes (crtscts 활성화됨)
참고:
- ttyS4는 ARM 기반 내장 UART로 보이며 (dw-apb-uart), 일반적으로 시스템 디버깅용
- ttyS1은 표준 16550A 시리얼 포트로 외부 장비 연결에 적합
따라서 ttyS1(/dev/ttyS1)로 스위치에 연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