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노자, and 오강남. 1996. 도덕경. https://www.yes24.com/Product/Goods/2547.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 대학교(University of Regina) 종교학과 명예 교수. 우리 시대 대표적 비교종교학자인 오강남은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캐나다 맥매스터 대학교(McMaster University)에서 「화엄(華嚴) 법계연기(法界緣起) 사상에 관한 연구」로 종교학 박사학위(Ph. D.)를 받았다. 북미 여러 대학과 서울대 등의 객원교수, 북미 한인종교학회 회장, 미국종교학회 한국종교분과 공동의장을 역임했으며, 북미와 한국을 오가며 집필과 강의, 강연을 하고 있다. 저서로 문자주의에 빠진 한국 기독교계에 경종을 울린 명저 『예수는 없다』와 종교의 심층을 탐구한 『진짜 종교는 무엇이 다른가』를 비롯하여 『오강남의 그리스도교 이야기』, 『세계 종교 둘러보기』, 『종교란 무엇인가』, 『불교, 이웃 종교로 읽다』, 『살아 계신 예수의 비밀의 말씀』,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공저) 등과, 노장 사상을 풀이한 『도덕경』과 『장자』가 있다. 번역서로는 『종교 다원주의와 세계 종교』, 『살아 계신 붓다, 살아 계신 예수』, 『귀향』, 『예언자』, 『예수 하버드에 오다』, 『기도』, 『데이비드 스즈키의 마지막 강의』, 『내 인생의 탐나는 영혼의 책 50』 등이 있으며, 제17회 《코리아타임스》 한국현대문학 영문번역상(장편소설 부문)을 수상했다.
도덕경
(노자 and 오강남 1996)
- 이 책은 ‘도덕경‘을 최대한 우리 말답게 풀이한 것으로, 한문 원문 없이 우리 말만으로도 문맥이 통해야 한다는 원칙하에 번역했기 때문에 각 장이 한 편 한 편의 시나 짤막한 잠언을 읽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 장마다 본문의 중심 사상이나 잘 알려진 표현을 골라 제목을 붙여서 일종의 색인 역할을 할 수 있게 했다.
예스24 리뷰
김정희 candy@yes24.com 노자(老子)라는 기원 전 6세기의 한 사상가가 쓴 『도덕경』은 요즘 말로 하면 최고 히트 상품 또는 뜨거운 감자라고 말할 정도로 지식인사회의 첨예한 관심을 받는 텍스트이다. 공자와 맹자를 받드는 유교 사상이 주류였던 한국사회에서 노자로부터 시작해 장자로 귀결된 도가 사상이 대중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까지는 물론 『노자와 21세기』의 저자 도올 김용옥의 공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도덕경』은 모두 81편으로 이뤄진 책으로, 37편까지는 주로 도(道)에 관하여 그리고 38편부터는 주로 덕(德)에 관하여 이야기한다. 원래의 책이름은 『도덕경』이 아니라 『노자』였는데, 도와 덕에 대해 쓰여진 책이라는 이유로 '도덕'이라는 또 다른 이름이 붙여졌다. 그러다 후세에 와서 '경'의 권위를 부여받아 지금의 『도덕경』이 되었다. 『도덕경』은 중국 고전 중에서도 주석서가 많기로 유명한 책이다. 중국에는 약 1,500권의 주석서가 쓰여졌고, 약 350종이 현존하고 있다. 한편 영어로도 가장 많이 번역된 책인데, 현재까지 100종 이상의 번역서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주석서 중 가장 많이 알려진 판본은 왕필본(王弼本), 하상공본(河上公本), 부혁본(傅奕本), 개원어주본(開元御註本) 등으로, 이 중에서도 왕필본을 제일로 꼽는다. 왕필(AD226-249)은 열여섯의 나이로 『노자』를 주석해 낸 '천재적 사상가'이다.
『도덕경』은 무위(억지로 하지 않음)의 자세를 자기의 덕으로 삼는 자, 즉 도에 눈을 뜬 성인의 철학의 근본을 설명하는 어구로 채워져 있다. 노자가 말하는 '도(道)'는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이 존재하도록 하는 무엇이며, '항상 그러한' 것이다. "도를 도라고 한다"는 것은 시시각각 변하지 않을 수 없는 도를 인간의 생각으로 규정짓는다는 것이며, 그렇게 규정된 도는 '항상 그러한' 실제의 도일 수 없다고 말한다. 즉 노자는 '변화의 영원'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덕(德)은 도(道)를 추구하는 인간의 굳건한 태도라고 할 수 있으며 '도의 기능'의 다른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노자에 의하면 덕은 인(仁), 의(義), 예(禮)보다 앞서는 것이며 이 중에서도 노자는 특히 예를 비판한다. 예는 마음에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내용을 중시한 것이 아니라 남보기에 좋게 만든 형식으로서의 예이다. 자연스러움에서 나오지 않은 예는 '남에게의 강요'가 필연적으로 따르고, 그 강요함과 강요받음의 관계가 빚어내는 인간 문명을 노자는 탄식하는 것이다. 즉, 무위자연(無爲自然)으로 요약될 수 있는 노자의 사상이 집약되어 있는 『도덕경』은 '억지로 일을 도모하는 인간의 모든 행위들'이 야기한 싸움, 빈부격차 그리고 투쟁이 판치는 문명 사회를 비판한 최초의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노자에 관한 가장 오래된 자료는 사마천의 『사기(史記)』의 「열전(列傳)」중 「노자열전(老子列傳)」이다. 하지만 「열전(列傳)」에서도 노자라는 인물에 대해 확연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다만 노자라는 인물에 대해 내려오는 여러 이야기들을 기록했다. 그 외에 『장자』, 『예기』와 같은 저서에 의하면 노자는 기원전 500년경에 살았던 인물로서 공자의 선배가 되지만 이 역시 분명하지 않다. 다만 춘추전국시대에 '유가', '법가'와 함께 제자 백가의 한 사람이었다는 것만 짐작할 뿐이다.
노자의 『도덕경』이 지닌 미덕은 인간문명사회를 비판하고 무위자연으로 돌아가자는 진중함에도 있지만, 5천자로 이뤄진 간소한 텍스트가 펼치는 무궁무진한 해석의 지평에서 찾을 수 있다. 약육강식의 싸움에 지친 사람에게는 잠시나마 마음의 위안이 되어 주고, '도(道)'를 구하는 사람에게는 진정한 도의 길을 밝혀주는 진리의 장이 될 수 있다. 또한 읽는 이마다 그 의미에 차이가 생겨 『도덕경』이라는 텍스트가 만들어내는 담론의 치열함도 세인에게는 또 하나의 매력이 된다. 『노자와 21세기』가 나오면 『노자를 웃긴 남자』가 대답하는 커뮤니케이션의 그 생생함! 그 양과 질을 떠나 세상의 어떤 책이 이런 풍경을 연출하겠는가.
책 속으로
'도'라고 할 수 있는 '도'는 영원한 '도'가 아닙니다. 이름 지을 수 있는 이름은 영원한 이름이 아닙니다. 이름 붙일 수 없는 그 무엇이 하늘과 땅의 시원. 이름 붙일 수 잇는 것은 온갖 것의 어머니.그러므로 언제나 욕심이 없으면 그 신비함을 볼 수 있고, 언제나 욕심이 있으면 그 나타남을 볼 수 있습니다. 둘 다 근원은 같은 것, 이름이 다를 뿐 둘 다 신비스러운 것입니다. 신비 중의 신비요, 모든 신비의 문입니다.
-'도(道)라고 할 수 있는 도는 영원한 도가 아니다-도의 본체론적 측면' 중 --- p. 19
출판사 리뷰
“도(道)라고 할 수 있는 도는 영원한 도가 아니다”
노자(老子)가 남긴 글로 너무나 잘 알려져 있는 도덕경은 원래 한문 5천 자 남짓, 200자 원고지로 겨우 25매 분량밖에 안 된다. 그러나 중국 고전 가운데서 주석서가 많기로 유명한 책이다. 중국에서 씌어진 주석서만 헤아려도 약 1,500권에 이른다. 그만큼 번역하기가 까다로운 책이다. 모두 81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덕경의 내용은 때로는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요, 때로는 우리의 심혼을 일깨우는 통찰이요, 자기 혼자서 읊는 독백이요, 그윽한 명상이요, 해학이요, 역설이기도 하다. 노자가 도덕경에서 잔잔히 들려주는 진리의 말은 물질문명에 대해 지나친 믿음을 갖고 사는 우리 현대인에게 마음을 비우고 조용히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한다. ‘도와 덕에 관한 경전’인 도덕경의 기본 메시지는 우주의 기본 원리인 ‘도(道)’의 흐름을 체득하고, 그 흐름에 따라 살아감으로 참다운 자유의 삶을 살아가게 되는 ‘덕’을 보라는 것이다. 노자는 진정으로 자기를 완성하려면 자기를 비워야 한다고 말한다. 또 가장 훌륭한 것은 물처럼 되는 것이라고 한다. 도덕경에 나타난 세계관, 자연관, 여성관 등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생각하며 읽다 보면 저절로 물처럼 살 수 있는 삶의 지혜를 체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캐나다의 리자이나 대학 종교철학과 오강남 교수가 도덕경을 최대한 우리말답게 풀이한 것으로, 한문 원문 없이 우리말만으로도 문맥이 통해야 한다는 원칙하에 번역했기 때문에 각 장이 한 편 한 편의 시나 짤막한 잠언을 읽는 듯한 느낌을 준다. 원문도 함께 소개하기는 했으나 한글 세대가 읽고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장황한 주석은 피하고 장마다 아주 어려운 한자에 한하여 읽는 법이나 뜻을 밝히는 간략한 정도에 그쳤다. 그리고 장마다 본문의 중심 사상이나 잘 알려진 표현을 골라 제목을 붙여서 일종의 색인 역할을 할 수 있게 했다. 도덕경 초판이 1995년에 나온 이후 이 책이 젊은 세대가 많이 읽는 풀이가 되었기에 젊은이들의 이해에 도움을 주려고, 2010년 편집과 내용을 새로이 정리하여 개정판을 내면서는 부록으로 영어 번역을 실었다. 영어 번역을 읽는다면『도덕경』본문을 한 번 더 읽고 한 번 더 음미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도덕경 관련 책들이 한문의 자구에 얽매여 원문을 어렵게 풀이하고 있고, 제목을 서술형으로 풀이하여 내놓은 해설서들도 막상 자세히 살펴보면 그다지 쉽게 풀이되어 있지는 않으며 두껍고 방대한 주석서들과 구성이나 풀이가 별 차별이 없고 주석이나 토를 다는 정도여서 여전히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다. 이에 반해 이 책의 풀이는 한문 원문과 일일이 대조해 가며 읽지 않아도 될 만큼 문맥의 흐름이 매끄럽고 자연스러워서 한글 세대가 접하기에 적절한 텍스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