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멤버쉽 서비스
요약
블로그?! 애매하구나. 글쓰기 워크 플로우를 중심에 두고 고민을 하면 장단점과 한계가 보인다.
Type of site Internet forum, blog 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제외하고, 블로그 글쓰기 관련하여 정리.
Global
Medium
https://medium.com/me/lists gtgkjh 로 계정이 있다.
Dev.to
github 계정 사용
@junghan #정한 #모음 참고해
allmylinks
좋은 서비스이다. 아래의 내용을 하나로 묶어서 관리하는게 좋겠다. 광고가 붙어도 그만이다. 명함처럼 줄 수 있으니까. 어짜피 홈페이지에 컨텍트를 넣긴 할 것이다. https://allmylinks.com/junghanacs
linktree
전뇌해커 | Linktree 샘플이다.
위의 Allmylinks 가 더 쉬운 것 같다.
SourceHut
-
pgp 키로 암호화해서 이메일 주세요! https://meta.sr.ht/~junghanacs.pgp
Encrypt with D601962D3F1F47F2CD07C218B5ADD9F47612A9DB
GitLab
junghanacs@gmail.com 으로 가입 https://gitlab.com/
https://twitter.com/junghanacs
min.t
트위터 정리해서 보여주는 사이트 샘플 예제 https://min.togetter.com/Hqz7ufB
caption=“<span class=“figure-number”>Figure 1: min.t” width=“100%” >
mastodon
트위터 대신. 내가 사용하는 SNS
youtube
https://www.youtube.com/@junghanacs
아마 영상을 올려야 한다. 교육 샘플
matrix
junghanacs matrix 채팅방이 그것이다.
Gumroad #검로드
https://app.gumroad.com/dashboard
뭐가 이렇게 예쁘냐. 큐티라는 국내 서비스는 이걸 카피했구나.
Substack
구독자들을 위한 에티켓?! 근데 편집을 여기서만 해야 되나?
일본 Japan
Zenn
뭐가 약점인가?!
https://zenn.dev/dashboard/deploys?deployments_history https://zenn.dev/junghan0611
개발자 글쓰기 플랫폼
하여간 인터넷 세상에는 개발자들의 기록이 많다. 그럴 수 밖에 없다.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투고 카테고리 : Tech and Idea
우와. 그래 이래야지. 이렇게 해야지. 잘했네!
caption=“<span class=“figure-number”>Figure 2: Tech and Idea” width=“100%” >
TODO 스크랩 Scraps
https://zenn.dev/zenn/articles/about-zenn-scraps 스크랩 사용법. 기사는 나중에 쓰는 방식이라면 지금 여기에 기록을 남기는 것. 작업 로그 스레드 형식. 젠 홈페이지에서만 작성 가능.
이맥스에서 조직 모드 기반에 비슷한 워크플로우는?! 어젠다에 태스크가 이것이긴 하지만. 그냥 텍스트 파일에서 어떻게 이게 가능하겠니? 아아아아
어젠다에 등록된게 곧 스크랩이지. 노트는 그게 글이고.
구글 분석 지원(GA4)
검색에 반영이 될까?!
일본어만 지원 왜?
이 정도 서비스라면 영어 인터페이스가 있을 법도 한데 없네.
TODO Emacs 로 Zenn 에 투고와 갱신을 간단하게
https://zenn.dev/megeton/articles/66b3769294b04b
이거 좋은 글이다. 이게 바로 위키독스에 해야 할 일이다.
https://github.com/catnose99 zenn 만든이
TODO RSS 리스트
Hatena
https://b.hatena.ne.jp/junghan0611/
it 관련 https://b.hatena.ne.jp/hotentry/it 전통의 강자인듯
하테나 북마크 연동
이건 뭔가! 굉장히 투박한 인터페이스. 연동했다.
caption=“<span class=“figure-number”>Figure 3: 하테나 북마크” width=“100%” >
https://b.hatena.ne.jp/hotentry/it
Qitta
일본 서비스. 젠이 나오기 전에는 최고 였을 것이다.
Note
일본 멤버십 기반 note 는 제작자가 문장, 이미지, 음성 및 동영상을 게시하여 사용자가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디어 플랫폼입니다.
노트 사용법 소개 https://note.com/info/n/nea1b96233fbf#29ff7b71-2ba7-414e-9a7b-5907b2c5abce
- note 로 할 수 있는 일 : 자신이 좋아하거나 전하고 싶은
것을 게시 좋아하는 제작자 기사를 읽고 응원하십시오. 같은 취미와 생각을 가진 사람과 멤버십으로 연결 이 기사에서는, note 가 소중히 하고 있는 것나, 특징이나 보내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https://note.com/junghan0611
Scrapbox
増井俊之 - Wikipedia https://scrapbox.io/junghan0611/
마스이 토시유키왜?! 공유 위키로 활용 된다. 정말 많이 사용하고 있다.
Velog 벨로그
웹 편집기만 이용해야 한다. 시리즈가 눈에 띈다. 코드가 공개되어 있다.
https://velog.io/@junghan0611/series
Tistory 티스토리
https://living-with-adhd.tistory.com/
여기에 그냥 활용하면 된다.
DONT #요즘IT
IT 분야 고정이다.
https://yozm.wishket.com/magazine/
maily #뉴스레터
국내 뉴스레터 플랫폼일일일
아 괜찮네. 본질은 홈페이지 글들을 모음. 각기 구독 가능. 개인 = 회사 같은 레벨로. 회사 광고 좋음. 홈페이지 링크만 연결
메신저 Discord Telegram
discord
discord 가 슬랙보다는 더 유망하다.
telegram
me.t/junghanacs 이런 것을 만들면 좋겠다.
이미지 Gyazo Imgur
문서 파일에 이미지를 외부에 저장하고 링크를 박는 방법. 뭐든 좋다.
Gyazo
https://gyazo.com/captures junghanacs@gmail.com
Imgur
https://imgur.com/user/gtgkjh/favorites
네이버
콘텐츠가 올바른 가치로 평가되고, 공유되는 곳. 프리미엄콘텐츠에서 지금 당신의 콘텐츠를 판매해 보세요.
카카오 브런치 스토리
위키독스
일본 서비스와 가장 유사. 광고 기능 탑재. 업로드가 불편. 이미지 첨부는 외부 서비스 이용해야 할 듯. 독자 Markdown 문법 처리 필요.
위키북스
#데보션
해시노드
- VimGolf소개 - bbong.hashnode.dev 이 글을 보는데 해시노드 서비스라서 한번 본다.
- 개발자 버전 브런치 hashnode(해시노드/해쉬노드) 추천 : 네이버 블로그 - blog.naver.com
- 얼룩소 - 유료?
- 포스타입 - 그림 그리는 사람들
#마이크로블로그:와 유사 서비스는? : 개인 블로그 -> 소셜 미디어 변환
비용 청구하면 개인 블로그를 쇼셜화 해주는 것. 국내에도 있지. 아무렴. 구독 서비스와 유사하게도. 국내 서비스 실정에 맞는 접근이 필요하다. 샘플 찾아보라. (“Micro.Blog: Personal Blogging That Makes It Easy to Be Social” n.d.) “Micro.blog: Personal blogging that makes it easy to be social”
#750words: #글쓰기 #서비스
2024-12-17
@user 한국에 서브스택과 유사한 서비스가 있는가?
@assistant 네, 한국에도 서브스택과 유사한 서비스가 몇 가지 있습니다:
-
클립(Clip) - 주로 유튜브 영상의 자막을 제공하며, 사용자들이 자막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
Viki - 드라마와 영화의 자막을 제공하며, 사용자들이 자막을 번역하고 편집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반 서비스입니다.
-
자막뱅크 - 다양한 영상 콘텐츠의 자막을 제공하고, 사용자들이 자막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개인 블로그나 커뮤니티에서 자막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저작권 문제로 인해 이러한 서비스들이 항상 합법적인 것은 아니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user 한국에는 qitta, zenn 과 같은 일본 기술블로그 서비스가 없는가? 조사해줘
@assistant 한국에는 일본의 Qiita나 Zenn과 같은 기술 블로그 서비스가 몇 가지 있습니다:
-
Tistory -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블로그 플랫폼으로, 많은 개발자들이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정 카테고리나 태그를 통해 기술 관련 글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Medium Korea - Medium의 한국 버전으로, 다양한 주제의 글을 작성할 수 있지만, 기술 관련 글도 많이 올라옵니다.
-
브런치 - 카카오에서 운영하는 글쓰기 플랫폼으로, 기술 관련 글도 많이 있지만, 주로 에세이, 여행, 리뷰 등 다양한 주제의 글이 올라옵니다.
-
Velog - 개발자들을 위한 블로그 플랫폼으로, 깃허브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기술 관련 글을 주로 다루며, 코드 하이라이팅 등 개발자 친화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
Hashnode - 글로벌 기술 블로그 플랫폼이지만, 한국에서도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개인 블로그나 GitHub Pages, Jekyll 등을 이용해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는 개발자들이 많습니다. 다만, 일본의 Qiita나 Zenn처럼 특화된 기술 블로그 서비스는 한국에서는 아직까지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user 국내에는 github 리포지토리를 바로 퍼블리시 해주는 서비스가 없는 것 같네. 조사해줄래?
@assistant 한국에서 GitHub 리포지토리를 바로 퍼블리시 해주는 서비스는 아직까지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대안이 있습니다:
-
GitHub Pages - GitHub 자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GitHub 리포지토리를 웹사이트로 바로 퍼블리시 할 수 있습니다. Jekyll 같은 정적 사이트 생성기를 사용하면 더욱 쉽게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
Netlify - GitHub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배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한국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무료 플랜으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
Vercel - Next.js, Gatsby 등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GitHub와 연동하여 자동 배포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인기 있는 서비스입니다.
-
GitLab Pages - GitLab의 경우에도 GitHub Pages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며, CI/CD 파이프라인을 통해 자동 배포가 가능합니다.
-
Firebase Hosting - Google의 Firebase를 사용하여 GitHub 리포지토리를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CI/CD 파이프라인을 설정하면 자동 배포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GitHub 리포지토리를 직접 퍼블리시 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연동하여 자동 배포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한국에서 특별히 GitHub 리포지토리를 바로 퍼블리시 해주는 서비스는 없지만, 위의 대안들을 통해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user 일본의 Zenn, Qitta 블로그 서비스에 대해서 소개해줘
@assistant 일본의 Zenn과 Qiita는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매우 인기 있는 기술 블로그 플랫폼입니다. 다음은 각 서비스에 대한 소개입니다:
,*** Qiita
- 설립: 2011년
- 주요 기능:
- 기술 블로그: 개발자들이 기술 관련 글을 작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 태그 시스템: 글에 태그를 붙여 분류하고, 사용자들이 관심 있는 주제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합니다.
- 댓글 및 좋아요: 사용자들이 글에 댓글을 달거나 좋아요를 누를 수 있습니다.
- 팀 기능: 기업이나 팀 단위로 글을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Jobs: 개발자 채용 정보를 제공하는 섹션이 있습니다.
- 특징:
- 일본에서 가장 큰 기술 블로그 커뮤니티 중 하나로, 다양한 기술 주제에 대한 글을 찾을 수 있습니다.
- 글을 작성하면 포인트를 얻을 수 있으며, 포인트에 따라 랭킹이 매겨집니다.
,*** Zenn
- 설립: 2020년
- 주요 기능:
- 기술 블로그: Qiita와 유사하게 기술 관련 글을 작성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 Books: 책 형태의 콘텐츠를 작성하고 판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Scraps: 짧은 메모나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댓글 및 좋아요: 사용자들이 글에 댓글을 달거나 좋아요를 누를 수 있습니다.
- 태그 시스템: 글에 태그를 붙여 분류하고, 사용자들이 관심 있는 주제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합니다.
- 특징:
- Qiita보다 최근에 시작된 서비스로, 더 깔끔하고 모던한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 Books 기능을 통해 기술 서적을 작성하고 판매할 수 있는 독특한 기능이 있습니다.
- Markdown을 사용한 글 작성이 가능하며, 코드 하이라이팅 등 개발자 친화적인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두 서비스는 일본의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매우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기술 정보를 공유하고 배우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Zenn은 최신 기술 동향을 반영한 기능을 제공하며, Qiita는 그동안 쌓아온 커뮤니티와 콘텐츠의 깊이로 유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