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

  • [2025-06-30 Mon 08:30] 어쏠로그 옮김
  • [2025-06-22 Sun 01:15] 유니코드 추가
  • [2025-04-30 Wed 12:42] 메타 심볼 고민
  • [2025-01-08 Wed 10:27] 유니코드 노트테이킹 파일명 활용 시작
  • [2024-12-25 Wed 11:29] 고대 한글 반치음 아래하

관련메타

관련노트

2025 #유니코드 추가

[2025-06-22 Sun 01:15]

  • © 회사
  • 함수
  • 패키지
  • 사람
  • 장소
  • 십진분류 프로피디아 10개 메타
  • 메타 구분 하는 마크
  • 질문
  • 특정 주제

참고 novak

https://www.cs.utexas.edu/~novak/

Font test: ” & ’ ∀ ∃ ∅ ∈ ∉ ∏ ∑ √ ∞ ∧ ∨ ∩ ∪ ∫ ² ³ 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Γ Δ α β γ δ ε φ

줍줍

  • 0x0000A7 § SECTION SIGN
  • 0x0000A9 © COPYRIGHT SIGN
  • 0x0000AC ¬ NOT SIGN
  • 0x0000A1 ¡ INVERTED EXCLAMATION MARK
  • 0x0000A2 ¢ CENT SIGN
  • 0x0000A3 £ POUND SIGN
  • 0x0000A4 ¤ CURRENCY SIGN
  • 0x0000A5 ¥ YEN SIGN
  • 0x0000A6 ¦ BROKEN VERTICAL BAR
  • 0x0000A6 ¦ BROKEN BAR
  • 0x0000B5 µ MICRO SIGN
  • 0x0000B6 ¶ PARAGRAPH SIGN
  • 0x0000B6 ¶ PILCROW SIGN

0x0000DE Þ LATIN CAPITAL LETTER THORN 0x0000DF ß LATIN SMALL LETTER SHARP S

0x0000F7 ÷ DIVISION SIGN

0x000190 Ɛ LATIN CAPITAL LETTER EPSILON 0x000190 Ɛ LATIN CAPITAL LETTER OPEN E 0x0001A9 Ʃ LATIN CAPITAL LETTER ESH

0x0003A3 Σ GREEK CAPITAL LETTER SIGMA 0x0003BB λ GREEK SMALL LETTER LAMBDA 0x0003BB λ GREEK SMALL LETTER LAMDA

circled latin small letter a-z

  • 0x0024D0 ⓐ CIRCLED LATIN SMALL LETTER A
  • 0x0024D1 ⓑ CIRCLED LATIN SMALL LETTER B
  • 0x0024D2 ⓒ CIRCLED LATIN SMALL LETTER C
  • 0x0024D3 ⓓ CIRCLED LATIN SMALL LETTER D
  • 0x0024D4 ⓔ CIRCLED LATIN SMALL LETTER E
  • 0x0024D5 ⓕ CIRCLED LATIN SMALL LETTER F
  • 0x0024D6 ⓖ CIRCLED LATIN SMALL LETTER G
  • 0x0024D7 ⓗ CIRCLED LATIN SMALL LETTER H
  • 0x0024D8 ⓘ CIRCLED LATIN SMALL LETTER I
  • 0x0024D9 ⓙ CIRCLED LATIN SMALL LETTER J
  • 0x0024DA ⓚ CIRCLED LATIN SMALL LETTER K
  • 0x0024DB ⓛ CIRCLED LATIN SMALL LETTER L
  • 0x0024DC ⓜ CIRCLED LATIN SMALL LETTER M
  • 0x0024DD ⓝ CIRCLED LATIN SMALL LETTER N
  • 0x0024DE ⓞ CIRCLED LATIN SMALL LETTER O
  • 0x0024DF ⓟ CIRCLED LATIN SMALL LETTER P
  • 0x0024E0 ⓠ CIRCLED LATIN SMALL LETTER Q
  • 0x0024E1 ⓡ CIRCLED LATIN SMALL LETTER R
  • 0x0024E2 ⓢ CIRCLED LATIN SMALL LETTER S
  • 0x0024E3 ⓣ CIRCLED LATIN SMALL LETTER T
  • 0x0024E4 ⓤ CIRCLED LATIN SMALL LETTER U
  • 0x0024E5 ⓥ CIRCLED LATIN SMALL LETTER V
  • 0x0024E6 ⓦ CIRCLED LATIN SMALL LETTER W
  • 0x0024E7 ⓧ CIRCLED LATIN SMALL LETTER X
  • 0x0024E8 ⓨ CIRCLED LATIN SMALL LETTER Y
  • 0x0024E9 ⓩ CIRCLED LATIN SMALL LETTER Z
  • 0x0024EA ⓪ CIRCLED DIGIT ZERO

2025 메타 유니코드

[2025-04-30 Wed 12:42]

  • 0x003185 ㆅ HANGUL LETTER SSANG HIEUH
  • 0x00317A ㅺ HANGUL LETTER SIOS GIYEOG
  • 0x00327C ㉼ CIRCLED KOREAN CHARACTER CHAMKO
  • 0x00327D ㉽ CIRCLED KOREAN CHARACTER JUEUI
  • 0x00327E ㉾ CIRCLED HANGUL IEUNG U
  • 0x00327F ㉿ KOREAN STANDARD SYMBOL
  • 0x003179 ㅹ HANGUL LETTER SSANG BIEUB SUN GYEONG EUM

2025 #이맥스 #유니코드 노트테이킹

[2025-01-08 Wed 10:27]

유용한 유니코드 노트테이킹

”§” ”¶” ”†” ”‡” ”№” ”※” ”☞”

  • ⊢ - see provability - derives 도출 syntactic 구문
  • ⊨ - see entailment - 함축
;;;; insert unicode for notetaking
 
(with-eval-after-load 'org
  (defun my/insert-white-space ()
    (interactive)
    (insert ""))
 
  ;; "⊢" prove, "⊨" entail , "∉" notin
  (setq my/unicode-notetaking '( "" "§"
                                 "¶" "†" "‡" "№" "↔" "←" "→" "⊢" "∉"
                                 "©" "¬" "¢" "¤" "µ" "¥" "£" "¡" "¿"
                                 "ㅹ" "ㆅ" "ㅺ" "㉼" "㉽"
                                 ;; "Ж" ; Greek αβγδεζηθικλμνξοπρςτυφχψω
                                 "『겹낫표』"
                                 "《겹화살괄호》"
                                 "〈홑화살괄호 〉"
                                 ;; "≪겹화살괄호≫"
                                 "「홑낫표」"
                                 "― QUOTADASH"
                                 ))
 
  (defun my/insert-unicode-notetaking ()
    "Insert Unicode for NoteTaking."
    (interactive)
    (insert (completing-read "Select unicode: " my/unicode-notetaking)))
 
  (evil-define-key '(insert normal) text-mode-map (kbd "M-m") #'my/insert-unicode-notetaking)
  ;; (define-key org-mode-map (kbd "M-m") 'my/insert-unicode-notetaking)
  )

사용법

[2025-01-08 Wed 10:27]

§ ¶ † ‡ № ↔ → ∉ ⊢ ⊨

참고

2024 유니코드 #고대한글

@user 아래 한글 유니코드에 대해서 설명해줘

ㅱ ㅿ

0x00317F ㅿ HANGUL LETTER BAN CHI EUM 0x00317F ㅿ HANGUL LETTER PANSIOS

@assistant *한글 유니코드 설명

  • 0x00317F: 이 유니코드는 ‘ㅿ’를 나타냅니다.
    • HANGUL LETTER BAN CHI EUM: ‘반치음’이라고도 불리며, 이는 한글 자모 중 하나로, 주로 고대 한글 문서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이 자음은 ‘ㅂ’와 ‘ㅈ’의 중간 발음으로, 현대 한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 HANGUL LETTER PANSIOS: ‘판시오스’는 ‘ㅿ’의 다른 이름으로, 이는 ‘ㅂ’와 ‘ㅅ’의 중간 발음으로 설명되기도 합니다. 이 역시 현대 한글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이 두 유니코드는 한글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사용된 자모로, 현대 한글에서는 표준 자모가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문서나 글에서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user 이 것 이외에 대표적인 고대 한글 문서의 유니코드를 소개해줘

@assistant 고대 한글 문서에서 사용된 대표적인 유니코드를 몇 가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0x003131: ㅱ (HANGUL LETTER KIYEOG-SIOS) - ‘ㄱ’와 ‘ㅅ’의 결합 자음입니다.
  • 0x003132: ㅲ (HANGUL LETTER NIEUN-CIEUC) - ‘ㄴ’와 ‘ㅈ’의 결합 자음입니다.
  • 0x003133: ㅳ (HANGUL LETTER TIKEUT-SIOS) - ‘ㄷ’와 ‘ㅅ’의 결합 자음입니다.
  • 0x003134: ㅴ (HANGUL LETTER RIEUL-KIYEOG) - ‘ㄹ’와 ‘ㄱ’의 결합 자음입니다.
  • 0x003135: ㅵ (HANGUL LETTER RIEUL-MIEUM) - ‘ㄹ’와 ‘ㅁ’의 결합 자음입니다.
  • 0x003136: ㅶ (HANGUL LETTER RIEUL-HIEUH) - ‘ㄹ’와 ‘ㅎ’의 결합 자음입니다.
  • 0x003137: ㅷ (HANGUL LETTER MIEUM-PIEUP) - ‘ㅁ’와 ‘ㅂ’의 결합 자음입니다.
  • 0x003138: ㅸ (HANGUL LETTER KAPYEOUNRIEUL) - ‘ㄹ’의 변형된 형태입니다.
  • 0x003139: ㅹ (HANGUL LETTER MIEUM-SIOS) - ‘ㅁ’와 ‘ㅅ’의 결합 자음입니다.
  • 0x00313A: ㅺ (HANGUL LETTER KAPYEOUNRIEUL-KIYEOG) - ‘ㄹ’와 ‘ㄱ’의 결합 자음입니다.

이 유니코드들은 고대 한글 문서에서 사용된 자모로, 현대 한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들은 주로 훈민정음 해례본이나 고문서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user

로그

2024-12-25

|2025-04-30 Wed 11:29|

@user 메타인지 메타학습에 사용하는 메타라는 단어의 어원은?

@assistant “메타”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μετά” (meta)에서 유래했으며, “사이에, 뒤에, 넘어서”를 의미합니다[2]. 메타인지와 메타학습에서 사용되는 “메타”는 “자기 자신을 설명하는” 또는 “상위 수준의”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어떤 개념이나 시스템에 대해 더 높은 수준에서 생각하거나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5].

@user 유니코드 중에 meta를 나타내는 기호가 있다면 찾아줘

@assistant 유니코드에서 “meta”를 나타내는 특정 기호는 없습니다. 그러나 HTML에서 <meta> 태그는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유니코드는 문자를 표현하는 코드 포인트 시스템이며, 특정 문자나 기호를 통해 “meta”라는 개념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않습니다[5].

메타 문자라는 용어는 주로 특정 문자열을 검색하거나 대체할 때 사용되는 특별한 문자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인디자인의 GREP에서 메타 문자를 사용하여 특정 패턴을 찾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2][4].

@user find the proper unicode for “μετά” (meta) such as ’§, ¶’ for better note-taking workflow that classifies between words.

@assistant “μετά”의 유니코드 표현은 각 그리스 문자를 조합해야 합니다:

  • μ: U+03BC
  • ε: U+03B5
  • τ: U+03C4
  • ά: U+03AC (α U+03B1 + acute U+0301 결합)

단일 기호(§, ¶ 등)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리스어 단어 자체를 사용*해야 합니다.

워크플로우 제안

  1. 유니코드 문자 직접 입력
    • Emacs에서 C-x 8 RET03BC (μ), 03B5 (ε) 등 입력
  2. abbrev-mode 활용 #+begin_src emacs-lisp (define-abbrev global-abbrev-table “meta” “μετά”) =
  3. RegEx 활용 분류 #+begin_src emacs-lisp (highlight-regexp “\\cGreek+”) ;; 그리스어 단어 강조 =

검색 결과[1][5]에 따르면 정규식 =\p{Script=Greek}=로 그리스 문자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