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OGRAPHY

Duckworth, Case. (2021) 2025. “Duckwork/Titlecase.El.” https://github.com/duckwork/titlecase.el.

History

  • [2025-03-05 Wed 07:06] 대소문자가 있는 영어는 제목규칙 도구가 흔하다. 한국어는?!

duckwork/titlecase.el

(Duckworth [2021] 2025) https://github.com/duckwork/titlecase.el

  • Duckworth, Case

  • Titlecase Things in Emacs

  • 2025

2025-03-05 W09

@user 아래 titlecase 패키지를 소개해줘

https://github.com/duckwork/titlecase.el

@assistant *titlecase.el 패키지는 Emacs에서 영어 제목을 대문자로 변환하는 도구입니다. 이 패키지는 제목의 각 단어를 적절히 대문자로 변환하려고 하지만,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며, 사용 후에는 반드시 편집이 필요합니다.

주요 기능:

  • titlecase-region: 선택된 영역의 텍스트를 제목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 titlecase-line: 현재 줄의 텍스트를 제목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 titlecase-sentence: 문장의 첫 번째 단어만 대문자로 변환합니다.
  • titlecase-dwim: 선택된 영역이 있으면 그 영역을, 없으면 현재 줄을 제목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사용법:

  1. =titlecase.el=과 =titlecase-data.el=을 로드 경로에 추가합니다.
  2. package.el 또는 straight.el 같은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설치합니다.
  3. titlecase-region, titlecase-line, titlecase-sentence, titlecase-dwim 함수를 호출하여 사용합니다.

참고:

  • 이 패키지는 완벽한 해결책이 아니므로, 변환 후에는 반드시 검토가 필요합니다.
  • 다양한 스타일을 지원하며, 사용자 지정도 가능합니다.

Citations: [1] https://github.com/duckwork/titlecase.el [2] https://github.com/lintalist/TitleCase [3] https://www.npmjs.com/package/title-case [4] https://github.com/wezm/titlecase [5] https://www.npmjs.com/package/titlecase

@user 한국어를 위한 제목 규칙에 대해서 알려줘

@assistant 한국어 제목의 규칙은 주로 문장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는 문장 대문자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는 제목 대문자 방식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책이나 논문의 제목에서 주요 단어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공문서나 공식 문서*의 경우, 제목은 홑낫표(「」)로 감싸고, 주요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3][4]. 반면, *영어 제목*의 경우, APA나 MLA 스타일 가이드에 따라 명사, 동사, 형용사 등을 대문자로 표기하는 *title case 방식이 사용됩니다[1].

따라서 한국어 제목의 규칙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주로 문장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Citations: [1] https://blog.essayreview.co.kr/academic/title-capitalization-rules-for-research-papers/ [2] https://brunch.co.kr/@oms1225/104 [3] https://blog.naver.com/rotclee/222520738463 [4] http://www.ksci.or.kr/html/sub3_021.html [5] https://www.youtube.com/watch?v=L8Wo5m0YvxY

@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