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봄 David Bohm - 물리학자 대화 창조성

(데이비드 봄 1917–1992)

  • 데이비드 조세프 봄 왕립학회 회원 (영어: David Joseph Bohm, [déivid ʤóuzəf boʊm]; 1917년 12월 20일 - 1992년 10월 27일)은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이론물리학자 중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는 또한 양자 이론, 신경심리학 및 심리철학에 비정통파 아이디어에 공헌한 미국-브라질-영국 과학자이다. 물리학에 대한 그의 많은 공헌 중에는 현재 드 브로이-봄 이론으로 알려진 양자 이론에 대한 인과적 결정론적 해석이 있다. 봄은 양자 물리학이 현실에 대한 오래된 데카르트적 모형(Cartesian model)(어떻게든 상호 작용하는 두 종류의 물질, 정신적 물질과 물리적 물질이 있음)이 너무 제한적이라는 견해를 발전시켰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는 “함축적” 및 “설명적” 질서(“implicate” and “explicate” order)의 수학적 물리적 이론을 개발했다. 그는 또한 뇌가 세포 수준에서 일부 양자 효과의 수학에 따라 작동한다고 믿었으며 사고는 양자 존재처럼 분산되고 비국소화된다고 가정했다. 봄의 주요 관심사는 일반적으로 현실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과 특히 일관된 전체로서 의식을 이해하는 것이었는데, 봄에 따르면 이는 결코 정적이거나 완전하지 않다. 봄은 만연한 이성과 기술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면서 대신 진정으로 보완적(supportive) 대화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대화는 사회 세계에서 갈등과 골칫거리를 확장하고 통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그의 인식론은 그의 존재론을 반영했다. 미국에서 태어난 봄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로버트 오펜하이머 밑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공산주의자였기 때문에 1949년 연방 정부의 조사 대상이 되었고, 그로 인해 미국을 떠나게 되었다. 그는 여러 나라에서 경력을 쌓아 처음에는 브라질인이 되었고 그 다음에는 영국 시민(British citizen)이 되었다. 그는 1956년 헝가리 봉기 이후 마르크스주의를 포기했다.

전체와 접힌 질서 - 봄의 양자물리학 해석

(데이비드 봄 2010)

  • 데이비드 봄 이정민
  • Wholeness and the Implicate order

책소개

아인슈타인이 극찬한 천재 물리학자 데미비드 봄의 양자물리학 해석

아인슈타인도 풀지 못한 문제에 도전한 과학자 ‘데이비드 봄’ 의 저작. 저자가 1952년 발표한 ‘숨은 변수 이론’과 이를 보다 발전시킨 ‘양자장론’의 모습들을 담았고 부록에는 수학적 증명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시대를 잘못 타고난 불행한 과학자가 아니라 열린 대화를 좋아하고 철학적 소양을 갖춘 과학자로서 데이비드 봄의 진면목을 만날 수 있다.

오펜하이머의 제자, 아인슈타인의 동료라는 사실처럼 봄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이론물리학자였다. 하지만 버클리 대학에서 공부하던 시절, 공산당에 가입하고 정치활동을 했던 전력이 매카시즘의 도마 위에 올랐고 졸지에 공산주의자로 내몰리며 평생을 망명과 이민 속에서 살아야만 했다. 데이비드 봄은 학계의 변방에서 연구를 이어나가며 양자론의 대안 해석을 발표한다. 양자론의 아킬레스건인 ‘숨은 변수’를 해결한 ‘숨은 변수 이론’으로 양자론을 설명하는 코펜하겐 해석의 대안 해석을 제시한 것이다.

들어가기

전체와 조각내기

흐름양식-언어와 사고로 하는 실험

과정으로 본 실재와 지식

양자론과 숨은 변수

새 물리 질서를 보여주는 양자론

물리학 역사에서 나타난 새로운 질서

물리 법칙에서 내포 질서와 외연 질서

접히고 펼쳐지는 우주와 의식

주석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대화란 무엇인가

(데이비드 봄 2021a)

  • 갈등과 대립을 넘어 공생을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변화의 시작점 - 창조적 대화
  • 데이비드 봄 강혜정
  • On Dialogue
  • 『학습하는 조직』의 저자, 피터 센게 서문!

진심으로 귀를 기울이는 경청과 열린 커뮤니케이션이 지금처럼 절실한 적은 일찍이 없었다. 현대 조직과 기업, 사회가 직면한 복잡한 문제에 대처하려면 그런 자세가 필수다. 데이비드 봄은 이 책에서 인간이 의미를 발견하고 화합을 이룰 최선의 방법이라 믿는 것을 이야기한다. 봄이 강조한 것은 창조적인 대화, 서로가 가진 모든 가정에 대한 이해와 공유였다. 봄은 이런 과정을 통해서 개인과 사회가 자신과 타인에 대해 더욱 많은 것을 알게 되고, 새로운 의식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들어가며 | 리 니콜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대화란 무엇인가?

집단 사고의 본질

문제와 역설

관찰자와 피관찰자

유보, 육체, 자기 수용 감각

참여형 사고와 무한

루틀리지 클래식 판본을 편찬하며 | 피터 센게

책 속으로

하지만 대화에서는 누구도 이기려고 하지 않는다. 누군가가 이기면 결국 모든 사람이 이기는 격이다. 대화의 정신은 토론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대화에서는 점수를 얻으려는 시도도, 자신의 견해를 지배적인 견해로 만들려는 시도도 없다. 오히려 누군가의 실수를 발견하고 시정하면 전원이 점수를 얻는다. 모두가 승자가 되는 소위 말하는 ‘Win-Win’ 상황이다. 하지만 다른 게임에서는 항상 승자와 패자가 존재한다. 내가 이기면 당신이 지는 식이다. 하지만 대화는 공동 참여를 넘어서는 어떤 것이다. 참가자는 서로를 상대로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게임을 한다. 따라서 대화에서는 모두가 승자가 된다. --- p.49

대화를 둘러싼 이런 일련의 노력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주는 걸까? 오늘날 조직과 사회가 직면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구체적으로는 열린 마음으로 타인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항상 ‘승자와 패자를 나누는’ 정치적인 커뮤니케이션, 상하 위계질서를 강조하는 커뮤니케이션은 세계적인 기후 변화, 점증하는 빈부 격차, 유전공학의 딜레마 등을 상대하기에 역부족이다. ‘자기 입장만 고수하는’ 사람들이 서로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공동 목표를 찾아내고, 공동 행동에 필요한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활동을 원활히 해내기는 힘들다. 따라서 특정 조직 내부는 물론 조직과 조직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도 과거 방식을 대체할 새로운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 --- p.232

출판사 리뷰

대화란 무엇인가?

새삼스레 이렇게 질문을 받으면 대화의 정확한 의미를 모르고 있다는 것에 많은 사람이 동감할 것이다.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이 행위는 인류 출현 이래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이 책은 양자물리학자인 데이비드 봄이 통찰한 대화의 원점을 말한다. 그에 의하면, 대화란 ‘상대를 설득하는 것이 아니라, 공통 이해를 찾아내는 행위’라고 한다. 이 지구상의 다양한 문제의 근원은 적절하지 않은 대화가 만들어낸 현상이라고 그는 주장한다. 의지의 소통 부재가 테러리스트를 양산하고, 정치 대립을 일으키고, 전쟁을 야기하고, 환경 문제의 주범이 되고 있다고. 인류가 안고 있는 모든 문제는 대화가 곤란한 곳에 원인이 있다는 지적에는 놀랄 만하다. 이 책은 봄이 사상가로서 평생 고민한 ‘대화(Dialogue)‘를 다룬다.

대화로 세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진심으로 귀를 기울이는 경청과 열린 커뮤니케이션이 지금처럼 절실했던 적은 일찍이 없었다. 현대 조직과 기업, 사회가 직면한 복잡한 문제들에 대처하려면 그런 자세가 필수다. 봄은 [네이처]지의 표현을 빌면, ‘현대 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날카로운 통찰력을 가진 사상가 중 한 명’이다. 그런 그가 이 책에서 인간이 의미를 발견하고 화합을 이룰 최선의 방법이라 믿는 것을 이야기한다. 봄이 강조한 것은 창조적인 대화, 서로가 가진 모든 가정에 대한 이해와 공유였다. 봄은 이런 과정을 통해서 개인과 사회가 자신과 타인에 대해서 더욱 많은 것을 알게 되고, 새로운 의식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왜 진실을 추구하는 과학이 대량 살상무기를 생산하고, 인간의 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환경을 파괴하는 지경에 이르렀을까. 봄은 ‘예전에 종교가 가지고 있던 역할을 과학이 대신하고 있다.‘고 말한다. 과학적 견해가 진실을 점유하면 야기되는 위험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었던 것 같다. 이런 독선을 피하기 위해서는 모든 상정과 예상을 배제하고 말할 것. 결국 토론이 아닌 대화가 필요하다고 봄은 말한다. 서문에서 피터 센게가 이야기했듯이 거칠고 성긴 우리의 정신세계로는 미립자처럼 곱고 섬세한 봄의 통찰을 온전히 수용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우리 사회, 우리 국가, 지구 전체가 대화를 통해 공존하고, 조금이나마 더 나은 세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접어보기

추천평

‘대화법을 가르친다’는 책은 시중에 무수히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책이 잔재주를 부리거나 단순한 방법을 알려주는 식으로 대화의 본질과는 거리가 멀다. 이 책은 양자역학자인 데이비드 봄이 통찰한 대화의 원점을 말한다.

  • 박수홍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많은 문제의 근원에는 자신의 문제에 제대로 말조차 못하는 우리의 무능력이 숨어 있다. 이 책은 사람들 사이에 진정한 생각의 교류를 촉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말하고, 이를 위한 유용한 도구를 제공한다.

  • 파보 필카넨 (핀란드의 철학자)

과학과 예술 영역에서 전체가 가진 부분으로 환원할 수 없는 속성을 인정하고 받아들였다는 점이 철학사에서 데이비드 봄이 갖는 영원한 가치다. 분열과 투쟁, 공적인 이중성이 판을 치는 시대에 봄의 저서가 재탄생하다니 더없이 반갑다.

  • 린 마굴리스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캠퍼스 교수)

20세기에 가장 대담하고 독창적인 과학자로 꼽히는 데이비드 봄의 보기 드물게 진솔하고 편안한 고찰을 접할 수 있다.

  • 티모시 페리스 (『타이탄의 도구들』의 저자)

창의성에 대하여 - 창조성 상호 동질성 상상력 접힌 질서

(데이비드 봄 2021b)

  • 데이비드 봄 김정래
  • On Creativity
  • 봄의 사상은 양자물리학을 기점으로 하지만, 그 설명 영역은 인문학과 사회과학 전반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불교의 이치에 그대로 닿아 있는 듯하다. 접힌 질서와 펼친 질서는 광대한 우주론이며, 자신의 초양자장에서 중첩은 연기로 설명되는 존재론이며, 창의성은 인식론적 사고를 보여준다. 그는 또한 자재(自在) 운동의 관점에서 인류의 불행과 파멸을 막을 수 있는 윤리학과 정치철학적 비전을 제시한다.

제1장 창의성에 관하여 71

제2장 과학과 예술의 상호 동질성 111

제3장 상상력의 실상 135

제4장 흐르는 우주 질서라는 예술 167

제5장 예술, 대화 그리고 암재 질서

데이비드 봄과 대화 227

참고문헌 256

봄의 생애와 저서 257

역자후기 263

DONE 11:26 데이비드 봄 - 창의성에 대하여 : 질서 구조 조화 총체성 - 용어 정의

quote

  • 질서 order
  • 구조 structure
  • 조화 harmony
  • 총체성 totality

To understand what this means, however, we must first go into what is signified by the terms “order,” “structure,” “harmony,” and “totality.” —Bohm, David, “On Creativity”

영어 INDEX

absolute space 14

absolute time 14

absolute truth 87, 89

abstractions, conceptual 6—7, 19—20, 45

action of fitting 105—106, 110

actual order 23

all is X 109, 117—118, 119 3.

all is artamovement 111—114

analogical ratio of matter 62

ancient Greece 15—16, 62, 109

animal conflicts 84—85

approximate symmetry 12

Archimedes 19

art: beauty 34, 39; creation of the new 43; dialogue and the implicate order 125—145; form of science 105; and the good 98—108; of intelligent perception 75; laws of nature 47; meaning of the word 99—100; paradigm structures 41—42; of perceiving movement xxvii—xxxi, 76—124; perceptual structures 45; religion 35; representation 43, 134—135; and science 33—49; self-knowledge 37; truth 46—47, 95; universal ratio 103—105

artamovement (movement of fitting) 111—114

artifacts 79, 111

artisan work (techne) 100

artistic spirit 37—38

assimilation 33—35, 49

associative method 44

atomistic metaphysics 110

atomistic view of society 136—137

atoms 59—60, 93, 109, 121—122

attention 115—117, 124

axiomatic concepts 45

axiomatic mathematics 42

axiomatization 42, 65—67

Barfield, Owen 50—52

beauty: art 34, 39, 40; bellus 106; as criteria 128; fitting 99—100, 106; harmony of order 13; new order 8; science 39, 40, 128; theory 40, 57—58; truth 39, 40, 45, 46; universe 38—39, 40

bellus (beauty) 106

bene (good) 106

Big Bang theory 126

Bohr, Neils 126—127

Bondi, Hermann 39

Brownian motion 10, 12

Buddhism 132—133

building blocks 90—93, 109, 110, 120

categories, logical 72—73

celestial see heavenly

Cézanne, Paul 43, 134

children 4, 24, 81, 83, 98—99

circles 9

clash see conflict

classical physics 87, 94

coherent culture 143—144

coherent whole 136

Coleridge, Samuel Taylor 50—52, 57, 62, 66, 68—69

common consciousness 145

communication 8—9, 79—80, 142—143

comparative method 44

concept formation 6—7

conceptual abstractions 6—7, 19—20

conditioning 30

conflict 12, 13, 21—23, 25—27, 37, 84—85

conformity 20—21, 24, 30

confusions 9, 25—26, 30—31, 84—85

consciousness 130, 145

constructionist art 43

content truth 118—120

Copernican revolution 38

correspondence of ideas and facts 115

cosmology 15—16, 39, 88, 126, 133

creative act of perception 19—21

creative imagination 54

creative state of mind 21

on creativity xvi—xix, 1—32

Cubism 134, 140

culture 138—139, 143—144

curves 8—10

da Vinci, Leonardo 95

dangers facing society 77

data, instrumental 45

delayed reaction 72

Democritus 109, 110

desire for the good 107

destructive illusions 35—36

dialogue, art and the implicate order xxxi—xxxiii, 125—145

differences, relevant 13—16, 20

different similarities, similar differences 8—11, 13—17

Dirac, Paul Adrien Maurice 38

discovery: of creativity and originality 27—32; of the new 2—3; oneness and totality 3

discursive display 63—64

disorder 8—11, 26

dissolution of structure 96

DNA mutation 79, 80, 110—111

domains of validity see validity domains

earthly and heavenly matter 15—16, 53

ecology 77—78, 136, 141—142

economics 135—136, 137—138

Einstein, Albert: Bohm relations 126; cosmology 39; feelings 45—46; originality 4; reason in movement 111—112; space and time 14—17; theory of relativity 14, 57, 58—59, 60—61; wholeness 93; world tube 92—93

electroencephalographs 79

electromagnetic theory 59—60

electromagnetic waves 61

elementary particles 90—93

emergent universal orders 103

energy 14—15, 97—98

enfoldment process 129, 130, 145

entities, relative stability 96

epicycles theory 15—16

epistemology 126

ergon (organize) 97

essence 122—123

ether 61

ethnic inferiority 82, 85

evolution 11—12, 44

experience assimilation 33—34, 49

explicate order 129

facts: ideas correspondence 115; observed 23; whether one likes them or not 37, 38, 46, 128

falling asleep tendency 27—31

falsity 45, 114—117

fancy: imaginative 50—61; insight 56—57, 64—65; rational 61—67

fear of mistakes 5—6, 21, 28—29

feelings of scientists 45—46

fields: of creativity 6—7; of particles 92—93

fitting 100—101, 105—114, 117, 133

flash of perception 63

formal logic 73—74

fragmentation: of existence 37, 44; philosophy 100; science and mathematics 99; social 76—77; thought 76, 77, 81—86, 141—142; truth of theories 90

free flow 89

function: symbolic 83—84, 116—117, 118—119; truth 119—120; world views 89

future 137—138

Galileo, Galilei 16

general mess 22—23, 26—27

geometrical curves 8—10

God 131—132

the good 98—108

gravitation theory 53—56, 63

hard necessity 101—102

harmony: assimilation 34—35, 37, 49; conflict disjunction 12, 21—22; evolutionary process 11—12; in nature 3, 13; religion 34—35; social 22—23, 44; structural relationships 34; totality 13, 34; universe 40

heavenly and earthly matter 15—16, 53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57, 67, 68

hierarchies of order principle 11—12

Hiley, Basil 137, 140

Holiday, Ensor 103

holism 136

holograms 129

Hoyle, Frederick 39

hypotheses 54—56, 58, 59

id 122

identity 122, 124

illusions 35—36, 37, 124

imagination: creative 54; and fancy 50—52; imaginative fancy 52—61; imaginative insight 52—61; range of xxiii—xvii, 52—75; scientific research 52—61

immediate reaction 72

imperfection 15

implicate order, art and dialogue xxxi—xxxiii, 125—145

implicit totality 54

Impressionism 134

incompleteness, necessary 86—90

inertia law 14

inferiority, ethnic or national 82, 85—86

infinite orders: curves 9—10; evolutionary process of nature 11—12; of the mind 24—25

insight: domains 57; fancy relation 56—57, 64—65; hypothesis distinction 55—56; imaginative 52—61; rational 61—67; theory a form of 52—53

instrumental data 45

intelligence 67—75, 112—113, 145

interest, whole-hearted 1, 6, 21, 27—28

irrelevancies 16—17

Keller, Helen 6—7, 19—20

kind and degree polarity 57

known ideas in new contexts 18—19, 55—56

Korzybski, Alfred 118

Krishnamurti, J. 132—133

Kuhn, Thomas 41

language 76, 78—81, 83—84,114—124

law of gravity 53—56, 63

law of the whole movement 113

laws of nature 3, 17—18, 47

learning 4—5

liberation from preconceptions 48

light 58—60

limited symmetry 12

lines 9, 63—64

literal thought 140—141

logical categories 72—73

logical rules 102

Lorentz, Hendrik Antoon 61

Lorentz-transformation laws 14

magical thinking 37

mass—energy equivalence 14—15

mathematics: abstraction and reality 138; axiomatization 42, 65—66; economics 137; and the good 98—108; limits 137—138; pure structure 43; rational necessity 102; term 100; validity domains 47—48

matter 13—16, 45—47, 53, 62

meaninglessness 38, 77

mechanical order: domains of validity 24—25, 34—35; human action 22, 29—30; perceptions 18; reactions 20—21, 24, 74; reflective thought 71—72

memory patterns 71—72

mental pollution 78

mess 22—23, 26—27

metaphysics 108—124

mind 24—25, 26

mistakes fear 5—6, 21, 28—29

modern cosmology 88

modern physics 66—67, 90—98

moral neutrality 107—108

motion 9—10, 12, 13—14, 16

motivation 81—82, 144

movement: art of perceiving xxvii—xxxi, 76—124; of attention 116—117; of fitting (artamovement) 111—114; law of the whole 113; organizing energy 97—98; primacy 90—98; undivided 94; of universal fitting 108—114

moving fluid analogy 93—94

multiverse 140

music 96—97

mutation 79, 80, 110—111

nature: beauty and form 34; evolutionary process 11—12; harmony 13; laws of 3, 17—18, 47; metaphysics 109—110

necessity 86—90, 101—102

negotiability 138—139

new orders 8, 12, 14—15, 17—18, 19—20

Newton, Isaac 13—16, 53—56, 61, 63, 101

non-fitting 111, 114

nous (intelligence) 67

obedience, mechanical 24

objective judgements: order and disorder 8—11; structure 46

objective—subjective distinction 113

observation: act 93—94; facts and preconceived ideas 23

order: disorder concepts 8—11, see also implicate order; infinite orders; mechanical order; new orders

organize (ergon) 97

organizing energy 97—98

originality 4—6; discovering 27—32

paradigms 41—42

partial orders 12

particles 9—10, 16, 90—93

past conditioning 30

see also coformity

perception: communication 8—9; creative 19—21; creative liberation 48—49; of differences 18—19; flash 63; harmony and totality 13; imaginative insight 54; intelligence 68—69, 74—75, 112—113; of movement 76—124; of the new and different 5—6; of reality and thought 141

perceptual structures, art 45

perfection 15, 62

philosophy (love of wisdom) 100

physics: classical 87, 94; modern 66—67, 90—98

Piaget, Jean 81

Poincaré, Raymond Nicolas 38, 45—46

pointing 116, 117—118

polarity of kind and degree 57

pollution 77, 78, 141—142

preconceptions 18—19, 23, 48, 55—56

prediction 1—2

prejudice 85—86

primary imagination 50—52

psychology 37

pure structure 43, 44

qualitative culture 138—139

qualitative proportions 62

quantum theory 41, 57, 87, 93, 125

range of imagination xxiii—xvii, 52—75

ratio 62, 63, 68, 101

rational fancy 61—67

rational harmony law 63

rational insight 61—67

rational necessity 102

reactions, mechanical 30, 74

reactive thought 69—71, 72—73

reactive—reflective thought 70—71

reality 78—81, 127, 138, 141

reason 62, 66, 68, 101, 111—112

see also ratio

reductionism 127

reflective thought 70, 71—73

relativity: elementary particles 90—93; limit 125; new questions 14—15; radically new theory 57, 87; theory and hypothesis interplay 58—61

relevant differences 13—16, 20

religion 34—35, 36, 128—129

religious spirit 38

replication 79—81

representation 43, 84, 134—135

road intersections 13

routine perception 5

science: and art xix—xxiii, 33—49; beauty 39, 40, 128; dialogue of scientists 139—140; feelings 45—46; and the good 98—108; harmony of nature 13; imagination 52—61; meaning of word 100; psychology 37; scientific spirit 127—128; truth 87, 95; understanding 45, see also hypotheses

self 5—6, 120, 122, 123—124

self-knowledge 35—37

self-sustaining confusion 26, 29

set theory 104

shock waves 60

similar differences, different similarities 8—11, 13—17

simple confusion 25—26

society: atomism 136—137; dangers facing 77; ecological cycles 78; fragmentation 76—77; general mess 22—23, 26—27; mechanical action 29—30; metaphysics 121; social harmony 22—23

Socrates 107

soul substance 98

space, artists’ perception 45

space and time 14—17, 47, 60—61

speed of light 58—60

spirals 9

spirit 37—38, 127—128, 140

spirituality 139

stability of entities 96

state of mind 21, 23, 26

statements, truth or falsity 115—117

straight lines 9, 63—64

structure: axiomatic mathematics 42; creation of new 17—18; dissolved by movement 96; meaning of term 11—12; new general understanding 47; objective approach to 46; pure 43, 44; symmetry 12

structurist art 43

subjective judgments 8, 9, 10, 113

Sullivan, Anne 6—7, 20

supernatural order 35

symbolic functions 83—84, 116—117, 118—119

symbolic method 44

symmetry 10, 12, 128

symphonies 96—97

tacit metaphysical thought 120—121

tactical optimism 139

techne (work of an artisan) 100

technology 100

testing 46—47, 57—58

theater (to view) 88

theoria (theory) 52, 88—89

theory: axiomatization 65, 66—67; development 52—53; hypotheses 58; insight 52—53; proof 57—58; theoria 52, 88—89; validity domain 57

things 96

thought: artifacts 79; fragmentation 77, 81—86; intelligence 67—75; language 76; pollution 141—142; reactive—reflective 70—71; reality 78—81, 141; replication 79—80

Tibetan Buddhism 132

time and space 14—15, 47, 60—61

totality: harmony 13, 34; implicit 54; oneness and 3; of ratio 64; structural relationships 34; unified 39—40; universe in its 39—40, 88

true (honest) 119

true to itself 39—40

truth: absolute 87, 89;of art 46—47, 95; axiomatization 66; and beauty 39, 40, 45, 46; fragmentation 90; meanings of term 39—40; metaphysics and language 114—124; testing 46—47; of theories 90; ultimate 95

ultimate truth 95

understanding 34, 45, 127—128

undivided wholeness 90—98

unified totality, universe 39—40

universal fitting 108—114

universal laws 13—14, 38—39

universal orders, emergent 103

universal ratio 63, 103—105

validity domains: hypotheses 54—55; insight 57; laws of nature 17—18; mathematical notions 47—48; mechanical order 24—25, 34—35; scientific notions 47—48; theories 87—88

violence 22—23, 84—85

vortices 93—94, 95, 123

whole-hearted interest 1, 6, 21, 27—28

wholeness, undivided 90—98, 136

Wijers, Louwrien 125—145

world tube 92—93

world views 86—91, 108

한국어 인덱스

절대 공간 14

절대 시간 14

절대 진리 87, 89

추상화, 개념적 6—7, 19—20, 45

맞춤의 동작 105—106, 110

실제 질서 23

모든 것은 X 109, 117—118, 1193.

모든 것은 아르타무브먼트 111—114

물질의 유비적 비율 62

고대 그리스 15—16, 62, 109

동물의 갈등 84—85

근사 대칭 12

아르키메데스 19

예술: 아름다움 34, 39; 새로운 것의 창조 43; 대화와 내포된 질서 125—145; 과학의 형태 105; 그리고 선 98—108; 지적인 인식의 75; 자연의 법칙 47; 단어의 의미 99—100; 패러다임 구조 41—42; 움직임 인식의 xxvii—xxxi, 76—124; 지각 구조 45; 종교 35; 표현 43, 134—135; 그리고 과학 33—49; 자기 인식 37; 진실 46—47, 95; 보편적 비율 103—105

아르타무브먼트 (적합성의 움직임) 111—114

인공물 79, 111

장인의 솜씨 (테크네) 100

예술 정신 37—38

동화 33—35, 49

연상법 44

원자론적 형이상학 110

사회에 대한 원자론적 관점 136—137

원자 59—60, 93, 109, 121—122

주의 115—117, 124

공리적 개념 45

공리적 수학 42

공리화 42, 65—67

바필드, 오웬 50—52

아름다움: 예술 34, 39, 40; bellus 106; 기준으로서 128; 적합성 99—100, 106; 질서의 조화 13; 새로운 질서 8; 과학 39, 40, 128; 이론 40, 57—58; 진실 39, 40, 45, 46; 우주 38—39, 40

bellus (아름다움) 106

bene (선) 106

빅뱅 이론 126

Bohr, Neils 126—127

Bondi, Hermann 39

Brownian motion 10, 12

Buddhism 132—133

빌딩 블록 90—93, 109, 110, 120

범주, 논리적 72—73

천상의 see 천국의

세잔, 폴 43, 134

아동 4, 24, 81, 83, 98—99

원 9

충돌 see 갈등

고전 물리학 87, 94

일관성 있는 문화 143—144

일관성 있는 전체 136

콜리지, 새뮤얼 테일러 50—52, 57, 62, 66, 68—69

공통 의식 145

커뮤니케이션 8—9, 79—80, 142—143

비교 방법 44

개념 형성 6—7

개념적 추상화 6—7, 19—20

조건화 30

갈등 12, 13, 21—23, 25—27, 37, 84—85

순응 20—21, 24, 30

혼란 9, 25—26, 30—31, 84—85

의식 130, 145

구성주의 미술 43

내용 진실 118—120

코페르니쿠스 혁명 38

아이디어와 사실의 상응 115

우주론 15—16, 39, 88, 126, 133

지각의 창조적 행위 19—21

창조적 상상력 54

창의적인 사고 상태 21

창의성에 대하여 xvi—xix, 1—32

입체파 134, 140

문화 138—139, 143—144

곡선 8—10

다 빈치, 레오나르도 95

사회가 직면한 위험 77

데이터, 도구적 45

지연된 반응 72

데모크리토스 109, 110

선에 대한 욕망 107

파괴적인 환상 35—36

대화, 예술 그리고 내포된 질서 xxxi—xxxiii, 125—145

차이점, 관련성 13—16, 20

서로 다른 유사점, 유사한 차이점 8—11, 13—17

디랙, 폴 아드리엔 모리스 38

발견: 창의성 및 독창성 27—32; 새로운 것 2—3; 하나됨과 전체성 3

담론적 표현 63—64

무질서 8—11, 26

구조의 해체 96

DNA 돌연변이 79, 80, 110—111

유효성 영역 참조 유효성 영역

지상의 물질과 천상의 물질 15—16, 53

생태학 77—78, 136, 141—142

경제학 135—136, 137—138

아인슈타인, 알베르트: 봄의 관계 126; 우주론 39; 감정 45—46; 독창성 4; 운동 속의 이성 111—112; 시공간 14—17; 상대성 이론 14, 57, 58—59, 60—61; 전체성 93; 세계 튜브 92—93

뇌파 기록 79

전자기 이론 59—60

전자기파 61

기본 입자 90—93

떠오르는 보편적 질서 103

에너지 14—15, 97—98

전개 과정 129, 130, 145

개체, 상대적 안정성 96

주전원 이론 15—16

인식론 126

ergon (조직하다) 97

본질 122—123

에테르 61

민족적 열등감 82, 85

진화 11—12, 44

경험 동화 33—34, 49

명시적 질서 129

사실: 아이디어 일치 115; 관찰된 23; 좋든 싫든 37, 38, 46, 128

잠드는 경향 27—31

허위 45, 114—117

공상: 상상력이 풍부한 50—61; 통찰력 56—57, 64—65; 합리적인 61—67

실수에 대한 두려움 5—6, 21, 28—29

과학자들의 느낌 45—46

분야: 창의성의 6—7; 입자의 92—93

피팅 100—101, 105—114, 117, 133

지각의 섬광 63

형식 논리 73—74

파편화: 존재의 37, 44; 철학 100; 과학 및 수학 99; 사회적 76—77; 사고 76, 77, 81—86, 141—142; 이론의 진실 90

자유로운 흐름 89

기능: 상징적 83—84, 116—117, 118—119; 진실 119—120; 세계관 89

미래 137—138

갈릴레오, 갈릴레이 16

전반적인 혼란 22—23, 26—27

기하학적 곡선 8—10

신 131—132

선 98—108

중력 이론 53—56, 63

피할 수 없는 필요성 101—102

조화: 동화 34—35, 37, 49; 갈등 불일치 12, 21—22; 진화 과정 11—12; 자연 속에서 3, 13; 종교 34—35; 사회적 22—23, 44; 구조적 관계 34; 전체성 13, 34; 우주 40

천상의 물질과 지상의 물질 15—16, 53

헤겔,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57, 67, 68

질서 원리의 계층 구조 11—12

Hiley, Basil 137, 140

Holiday, Ensor 103

holism 136

holograms 129

Hoyle, Frederick 39

가설 54—56, 58, 59

id 122

정체성 122, 124

환상 35—36, 37, 124

상상력: 창의적인 54; 그리고 공상 50—52; 상상력이 풍부한 공상 52—61; 상상력이 풍부한 통찰력 52—61; 범위 xxiii—xvii, 52—75; 과학적 연구 52—61

즉각적인 반응 72

불완전함 15

함축 질서, 예술과 대화 xxxi—xxxiii, 125—145

내재적 전체성 54

인상주의 134

불완전성, 필연적인 86—90

관성 법칙 14

열등감, 민족적 또는 국가적 82, 85—86

무한 차수: 곡선 9—10; 자연의 진화 과정 11—12; 마음의 24—25

통찰력: 영역 57; 공상 관계 56—57, 64—65; 가설 구별 55—56; 상상적인 52—61; 합리적인 61—67; 이론의 한 형태 52—53

계측 데이터 45

지능 67—75, 112—113, 145

진심 어린 흥미 1, 6, 21, 27—28

무관한 것들 16—17

켈러, 헬렌 6—7, 19—20

종류 및 정도 극성 57

새로운 맥락에서의 알려진 아이디어 18—19, 55—56

코르지브스키, 알프레드 118

크리슈나무르티, J. 132—133

쿤, 토마스 41

언어 76, 78—81, 83—84,114—124

중력 법칙 53—56, 63

전체 운동의 법칙 113

자연의 법칙 3, 17—18, 47

학습 4—5

선입견으로부터의 해방 48

빛 58—60

제한된 대칭 12

선 9, 63—64

문자적 사고 140—141

논리적 범주 72—73

논리적 규칙 102

로렌츠, 헨드릭 안톤 61

로렌츠 변환 법칙 14

마법적 사고 37

질량-에너지 등가성 14—15

수학: 추상화와 현실 138; 공리화 42, 65—66; 경제학 137; 그리고 선(善) 98—108; 한계 137—138; 순수 구조 43; 합리적 필연성 102; 용어 100; 유효성 영역 47—48

물질 13—16, 45—47, 53, 62

무의미함 38, 77

기계적 질서: 유효성 영역 24—25, 34—35; 인간 행동 22, 29—30; 인식 18; 반응 20—21, 24, 74; 반성적 사고 71—72

기억 패턴 71—72

정신 오염 78

혼란 22—23, 26—27

형이상학 108—124

마음 24—25, 26

실수 두려움 5—6, 21, 28—29

현대 우주론 88

현대 물리학 66—67, 90—98

도덕적 중립성 107—108

운동 9—10, 12, 13—14, 16

동기 81—82, 144

운동: 지각의 예술 xxvii—xxxi, 76—124; 주의 집중 116—117; 적합성의 (아르타운동) 111—114; 전체의 법칙 113; 에너지 조직화 97—98; 우선성 90—98; 나뉘지 않은 94; 보편적 적합성의 108—114

움직이는 유체 비유 93—94

다중 우주 140

음악 96—97

돌연변이 79, 80, 110—111

자연: 아름다움과 형태 34; 진화 과정 11—12; 조화 13; ~의 법칙 3, 17—18, 47; 형이상학 109—110

필연성 86—90, 101—102

협상 가능성 138—139

신규 주문 8, 12, 14—15, 17—18, 19—20

뉴턴, 아이작 13—16, 53—56, 61, 63, 101

부적합 111, 114

nous (지능) 67

순종, 기계적인 24

객관적 판단: 질서와 무질서 8—11; 구조 46

객관적—주관적 구별 113

관찰: 행위 93—94; 사실과 선입견 23

질서: 무질서 개념 8—11, 참조 함축 질서; 무한한 질서; 기계적 질서; 새로운 질서

조직하다 (ergon) 97

조직하는 에너지 97—98

독창성 4—6; 발견 27—32

패러다임 41—42

부분 순서 12

입자 9—10, 16, 90—93

과거의 조건화 30

참조 동조성

지각: 소통 8—9; 창의적 19—21; 창의적 해방 48—49; 차이의 18—19; 섬광 63; 조화와 총체성 13; 상상적 통찰력 54; 지능 68—69, 74—75, 112—113; 움직임의 76—124; 새롭고 다른 것의 5—6; 현실과 사고의 141

지각 구조, 예술 45

완벽 15, 62

철학 (지혜에 대한 사랑) 100

물리학: 고전 87, 94; 현대 66—67, 90—98

피아제, 장 81

Poincaré, Raymond Nicolas 38, 45—46

가리킴 116, 117—118

종류와 정도의 양극성 57

오염 77, 78, 141—142

선입견 18—19, 23, 48, 55—56

예측 1—2

편견 85—86

1차적 상상력 50—52

심리학 37

순수 구조 43, 44

질적 문화 138—139

질적 비례 62

양자 이론 41, 57, 87, 93, 125

상상력의 범위 xxiii—xvii, 52—75

비율 62, 63, 68, 101

합리적인 공상 61—67

합리적인 조화 법칙 63

합리적인 통찰력 61—67

합리적인 필연성 102

반응, 기계적 30, 74

반응적 사고 69—71, 72—73

반응적—반성적 사고 70—71

현실 78—81, 127, 138, 141

이성 62, 66, 68, 101, 111—112

참조 비율

환원주의 127

반성적 사고 70, 71—73

상대성: 기본 입자 90—93; 한계 125; 새로운 질문 14—15; 근본적으로 새로운 이론 57, 87; 이론과 가설의 상호 작용 58—61

관련된 차이점 13—16, 20

종교 34—35, 36, 128—129

종교적 정신 38

복제 79—81

표현 43, 84, 134—135

교차로 13

일상적인 인식 5

과학: 그리고 예술 xix—xxiii, 33—49; 아름다움 39, 40, 128; 과학자들의 대화 139—140; 감정 45—46; 그리고 선 98—108; 자연의 조화 13; 상상력 52—61; 단어의 의미 100; 심리학 37; 과학적 정신 127—128; 진실 87, 95; 이해 45, 참조 가설

자아 5—6, 120, 122, 123—124

자기 인식 35—37

자립적 혼란 26, 29

집합론 104

충격파 60

유사한 차이, 다른 유사성 8—11, 13—17

단순한 혼란 25—26

사회: 원자론 136—137; 직면한 위험 77; 생태 순환 78; 파편화 76—77; 전반적인 엉망진창 22—23, 26—27; 기계적 작용 29—30; 형이상학 121; 사회적 조화 22—23

소크라테스 107

영혼 실체 98

공간, 예술가의 인식 45

시공간 14—17, 47, 60—61

빛의 속도 58—60

나선 9

정신 37—38, 127—128, 140

영성 139

실체의 안정성 96

마음의 상태 21, 23, 26

진술, 진실 또는 허위 115—117

직선 9, 63—64

구조: 공리적 수학 42; 새로운 창조 17—18; 운동에 의해 해체됨 96; 용어의 의미 11—12; 새로운 일반적 이해 47; 객관적 접근 46; 순수 43, 44; 대칭 12

구조주의 예술 43

주관적 판단 8, 9, 10, 113

설리번, 앤 6—7, 20

초자연적 질서 35

상징적 기능 83—84, 116—117, 118—119

상징적 방법 44

대칭 10, 12, 128

교향곡 96—97

암묵적인 형이상학적 사고 120—121

전략적 낙관주의 139

테크네 (장인의 작품) 100

기술 100

테스팅 46—47, 57—58

연극 (보기) 88

테오리아 (이론) 52, 88—89

이론: 공리화 65, 66—67; 발전 52—53; 가설 58; 통찰력 52—53; 증명 57—58; 테오리아 52, 88—89; 유효성 영역 57

사물 96

사고: 인공물 79; 파편화 77, 81—86; 지능 67—75; 언어 76; 오염 141—142; 반응형—반사형 70—71; 현실 78—81, 141; 복제 79—80

티베트 불교 132

시간과 공간 14—15, 47, 60—61

전체성: 조화 13, 34; 내재적 54; 하나됨과 3; 비율의 64; 구조적 관계 34; 통합된 39—40; 그 안의 우주 39—40, 88

진실한 (솔직한) 119

그 자체에 진실한 39—40

진실: 절대적 87, 89; 예술의 46—47, 95; 공리화 66; 그리고 아름다움 39, 40, 45, 46; 파편화 90; 용어의 의미 39—40; 형이상학과 언어 114—124; 테스트 46—47; 이론의 90; 궁극적인 95

궁극적인 진실 95

이해 34, 45, 127—128

나뉘지 않은 전체성 90—98

통일된 전체, 우주 39—40

보편적 적합 108—114

보편적 법칙 13—14, 38—39

보편적 질서, 출현하는 103

보편적 비율 63, 103—105

유효성 영역: 가설 54—55; 통찰력 57; 자연 법칙 17—18; 수학적 개념 47—48; 기계적 질서 24—25, 34—35; 과학적 개념 47—48; 이론 87—88

폭력 22—23, 84—85

소용돌이 93—94, 95, 123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관심 1, 6, 21, 27—28

나뉘지 않은 전체성 90—98, 136

Wijers, Louwrien 125—145

세계 튜브 92—93

세계관 86—91, 108

BIBLIOGRAPHY

데이비드 봄. 1917–1992. “데이비드 봄 David Bohm - 물리학자 대화 창조성.” In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8D%B0%EC%9D%B4%EB%B9%84%EB%93%9C_%EB%B4%84&oldid=36863213.

———. 2010. 전체와 접힌 질서 - 봄의 양자역학. Translated by 이정민. https://m.yes24.com/Goods/Detail/4124717.

———. 2021a. 대화란 무엇인가: 갈등과 대립을 넘어 공생을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변화의 시작점 - 창조적 대화. Translated by 강혜정.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4084499.

———. 2021b. 봄의 창의성 - 창조성 상호 동질성 상상력 접힌 질서. Translated by 김정래.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6054017.

용어

  • 질서 order
  • 구조 structure
  • 조화 harmony
  • 총체성 totality

DONE [리디] On Creativity

실제로, 이미 보았듯이 일반적으로 “무질서”라고 불리는 것은 실제로 매우 복잡한 종류의 질서에 대한 부적절한 이름일 뿐이며, 이는 완전한 세부 사항으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실제 과제는 무엇인가가 질서정연한지 무질서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결코 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것이 질서정연하고,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질서가 결여된 무질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우리가 실제로 해야 할 일은 각 사물이 실제로 가지고 있는 질서의 종류를 관찰하고 설명하는 것입니다.

On Creativity | Bohm, David 저

https://ridibook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