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ed Notes
BIBLIOGRAPHY
하워드 가드너. 2007. 다중지능 - 교육학 창의성 리더쉽. Translated by 문용린. https://www.yes24.com/product/goods/2692134.
History
- @김누리 #경쟁교육 #야만 - #교육혁명 생각이 난다. 교육
다중지능 - 교육학 창의성 리더쉽
(하워드 가드너 2007)
- 하워드 가드너 문용린 2007
- Multiple Intelligences and Adult Literacy: A Sourcebook for Practitioners
존 듀이 이후 최고의 교육학 이론가로 손꼽히는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소개한 책.다중지능이론의 핵심 메시지, 다중지능 교육 방법, 창의성과 리더십을 중요하시는 미래 사회에서 다중지능의 역할과 전망을 담고 있다.
책소개
존 듀이 이후 최고의 교육학 이론가로 손꼽히는 하워드 가드너(1943~)의 다중지능이론을 소개한 책이다.다중지능이론의 핵심 메시지, 다중지능 교육 방법, 창의성과 리더십을 중요하시는 미래 사회에서 다중지능의 역할과 전망을 담고 있다.
저자는 다중지능이론을 통해 기존의 문화가 지능을 너무 좁게 해석하고 있으며, 단일한 능력이 아니라 다수의 능력이 인간의 지능을 구성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때문에 그는 모든 아이들이 똑같은 방식으로 배울 수 없다고 지적한다.
하워드 가드너는 최초로 제시한 7가지 지능 외에도 새롭게 발견한 지능(자연친화지능, 실존지능)에 대한 내용, 25년간(1981~2006) 검증된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특히 다중지능이론에 대한 지난 25년간의 논쟁과 그에 대한 하워드 가드너의 공식적인 입장을 FAQ 형식으로 밝히고 있으며, 하버드 대학교의 ‘프로젝트 제로’의 연구 성과와 ‘굿 워크 프로젝트’ 등을 통해 밝혀낸 창의성과 관련한 이론들이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뿐만 아니라 새로워진 교육 환경의 영향과 뇌의 작용에 관한 새로운 증거들, 직업과 적성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 등을 추가해 다중지능이론을 보다 정교하게 다듬어 보여준다.
획일화된 한국의 교육 현실 속에 아이들이 모두 다른 방식으로 발달되어야한다는 그의 주장은 교육 방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다중지능이론은 기존의 방식에 익숙해진 교사와 부모님들에게 자신의 학생과 자녀가 가진 잠재능력과 재능을 이해할 수 있는 해석 체계를 제공해주고 있다.
한국어판 서문 / 저자 서문 / 역자 서문
1부 다중지능이론
- 1장: 다중지능이론의 핵심
- 2장: 25년간의 연구 성과
- 3장: 영재성 행렬, 인간의 또 다른 능력들
- 4장: 학교에서의 다중지능
- 5장: 다중지능 FAQ
2부 다중지능 교육
- 6장: 유아기의 지능 계발
- 7장: 초등학생을 위한 다중지능 교육 활동
- 8장: ‘훈련받은 이해’에 도달하는 방법
- 9장: 고등학교에서의 숙련된 탐구, 아트 프로펠
- 10장: 표준화된 시험의 대안을 찾아서
3부 새로운 전망
- 11장: 사회적 맥락에서 본 인간 지능
- 12장: 교육의 세계와 직업의 세계가 만나다
- 13장: 다중지능이론의 전망
부록1: 다중지능이론 관련 주요 자료
부록2: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 : 하워드 가드너 (Howard Gardner)
하버드 대학교의 심리학과 교수이자 인지과학 및 교육심리학의 세계적 석학. 수십 년 동안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인간의 마음과 정신 능력, 학습 과정을 연구, 다중지능 이론을 창시했다. 그의 교육심리 이론은 여러 나라의 교육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론에 근거한 연구소와 단체가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곳에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인간의 예술적이고 창조적인 능력의 발달과정을 분석하는 하버드 대학의 프로… 펼쳐보기
역 : 문용린 (文龍鱗)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학사, 교육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교육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부 장관, 교육개혁위원회 상임위원,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서울대학교 도덕심리연구실을 이끌며 정서지능과 다중지능 및 도덕성을 연구했으며,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를 통해 우리 실정에 맞춘 현장 중심의 지능 개발에 관한 획기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
출판사 리뷰
실제 세계는 학교 밖에 존재한다! - 한국 사회의’획일화된 교육’을 바꿀 새로운 가능성
이 책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다중지능 교육에 관해 정리한 부분이다. 하워드 가드너는 IQ테스트부터 SAT에 이르기까지 평가는 기본적으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너무도 당연한 말이지만 지금 우리의 교실을 잠깐이라도 엿보게 된다면 그 말이 얼마나 어려운 말인지 실감하게 된다. 2007년 7월 한국을 방문한 저자는 한국에서 다중지능이론이 각광을 받는 이유를 한국의 획일화된 교육에 그 원인이 있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측했다. 21세기에는 창의성과 리더십이 더욱 강조될 것이 분명하다. 인간과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이 책 《다중지능》은 획일화된 교육과 시험중심주의의 한국 사회에 적용할 새로운 교육 체계를 세우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이란?
하워드 가드너는 다중지능이론을 통해 기존의 문화가 지능을 너무 좁게 해석하고 있으며, 단일한 능력이 아니라 다수의 능력이 인간의 지능을 구성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가드너는 IQ 점수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보다 넓은 시각에서 인간의 잠재적 능력을 탐구하고 있는데, 현재 그가 제시한 인간의 지능은 8과 2분의 1지능(본문 27~42쪽 참조)이다. 이 이론대로라면 인간은 8과 2분의 1 지능의 발현 정도에 따라 수십 만, 수천 만 가지의 지능 조합의 특징을 지닌 인간 개개인을 만날 수 있게 된다. 가드너가 처음 제시한 인간의 지능은 음악지능(Musical intelligence), 신체운동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논리수학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언어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공간지능(Spatial Intelligence), 인간친화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자기성찰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이었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최근에 발견한 여덟 번째 지능인 자연친화지능(Naturalist Intelligence)을 새롭게 목록에 첨가했다. 아홉 번째인 실존지능(Existential Intelligence)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이에 대한 증거와 자료가 더 필요하다는 생각에 현재는 8과 2분의 1지능으로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