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 @스콧영 울트라러닝 - 학습의 재발견 - 더 빠르게 배우는 사람들의 비밀 이 책의 서문에서 나온 이야기에서 번뜩이는 지점은 따라하기
영상으로 배우라 따라하기로. 그렇게 안하면 뭐 배우려면 빡새
번뜩이는 지점은 왜 책으로 배우면 잘 안된다. 분야마다 다르지만 게임도 코딩도 텍스트 편집도 뭔가 도구를 활용해서 해야하는 일에서는 특히 그럴 것 같다.
운동은 어떤가? 말로 해서 되나? 보고 따라해야 그나마 조금 나아질 것이다. 누가 옆에서 따라해도 못하는 그 지점을 말해주면 도움이 될 것이고.
영상의 도움은 이 지점이다. 입문자에게 특히 그럴 것 같다.
어느정도 넘어서면 폭넓은 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인공지능이 도움이 될 것이고. 그 전에 도입은 일단 따라하기.
2025-02-07 W05
@user 따라하기를 영어로 뭐라고 하지? 학습 이론 관점에서 따라하기를 주목해 보고 있다.
@assistant “따라하기”를 영어로 표현할 때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학습 이론 관점에서 “따라하기”는 주로 *imitation*이나 *mimicry*로 설명됩니다.
- Imitate: 다른 사람이나 행동을 따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 like to imitate my favorite comedian.” (나는 내 가장 좋아하는 코메디언을 따라하는 것을 좋아한다.)
- Mimic: 주로 장난스럽거나 웃긴 방식으로 다른 사람이나 동물의 행동을 따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The parrot can mimic the sounds of different animals.” (앵무새는 다른 동물의 소리를 따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사회적 학습 이론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따라하는 과정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