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박찬국. 2013.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읽기. https://www.yes24.com/product/goods/34896834.

———. 2014. 초인수업.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864710.

———. 2021. 도덕의 계보.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2488221.

History

  • [2025-04-11 Fri 13:46] 박찬국 선생님 노트가 없었구나

박찬국 (Park,Chan-Kook,朴贊國)

관심작가 알림신청 작가 파일 모든 것이 변하는 시대에 변하지 않을 삶의 의미를 찾는 철학자.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롯한 실존철학이 주요 연구 분야로 원효학술상, 운제철학상, 반야학술상 등을 받았다. 최근에는 불교와 서양철학 비교를 중요한 연구 과제 중의 하나로 삼고 있다.

동서양의 사상을 편견 없이 넘나들며 인간과 세계를 탐구한다. 삶을 한 차원 더 끌어올리는 철학적 사유를 대중과 함께 나누는 강연과 글쓰기에도 힘쓰고 있다. 이 책에서는 주어진 운명과 무력감의 고통에 빠진 현대인에게 마음의 생명력을 키우고 삶의 주도권을 되찾을 수 있게 하는 니체의 통찰을 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사는 게 고통일 때, 쇼펜하우어』, 『참을 수 없이 불안할 때, 에리히 프롬』, 『이런 철학은 처음이야』, 『사는 게 힘드냐고 니체가 물었다』, 『삶은 왜 짐이 되었는가』, 『원효와 하이데거의 비교연구』, 『니체와 불교』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헤겔 철학과 현대의 위기』, 『마르크스주의와 헤겔』, 『실존철학과 형이상학의 위기』, 『니체 I, II』, 『근본개념들』 외 다수가 있다.

저서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읽기

(박찬국 2013) 박찬국 2013

『존재와 시간』이 탐구하는 궁극적 물음은 ‘존재한다’는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하이데거는 데카르트 이래의 근대의식철학에 의해서 은폐되었던 인간의 존재방식을 사태 자체에 입각하면서 여실하게 드러낸다. 그는 인간의 존재방식을 세계-내-존재로서 파악한다. 그리고 그러한 세계-내-존재의 본질을 마음씀으로 파악한 후 이러한 마음씀이 시간성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 책은 이렇게 인간의 존재방식을 냉정하게 분석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비본래적인 실존으로부터 본래적인 실존으로의 회심(回心)을 촉구하는 실존적인 호소의 성격을 갖는다.

서론: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과 현존재 분석

  1. 존재에 대한 물음을 분명하게 다시 제기해야 할 필요성
  2. 존재물음을 위한 실마리로서의 현존재 분석
    1. 존재물음의 형식적 구조
    2. 존재물음을 위한 실마리로서의 현존재 분석

제1장 현존재의 예비적 기초분석

  • 현존재의 본질로서의 실존
  • 세계-내-존재로서의 인간

    1. 세계-내-존재의 의미
    2. 세계의 세계성
  • 세계-내-존재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존재자에 대한 분석 ― 일상적인 현존재에 대한 분석

    1. 일상적인 공동존재에 대한 분석
    2. 격차성과 세상 사람
    3. 세론과 일상적 현존재의 무책임성
  • 내-존재에 대한 분석

    1. 심정성
    2. 이 해
    3. 말(Rede)
    4. 퇴락(頹落)으로서의 일상적 존재
    5. 퇴락과 내던져져 있음
  • 현존재의 존재로서의 마음씀

    1. 불안과 현존재의 구조 전체의 근원적 전체성에 대한 물음
    2. 퇴락과 불안
    3. 불안이 불안해하는 것은 내던져진 세계-내-존재 자체이다
    4. 불안이 불안해하는 이유는 세계-내-존재-가능성 때문이다
    5. 현존재의 단독자화와 불안
    6. 섬뜩한 기분으로서의 불안
    7. 마음씀으로서의 현존재의 존재

제2장 현존재와 시간성

  • 현존재의 가능한 전체 존재와 ‘죽음을 향한 존재’

    1. 현존재의 전체 존재를 존재론적으로 포착하고 규정하는 것은 외견상으로는 불가능하다
    2. 다른 사람의 죽음을 경험할 가능성과 전체적 현존재의 포착 가능성
    3. ‘죽음을 향한 존재’로서의 현존재
    4. 죽음의 실존론적 존재론적 구조의 소묘
  • 죽음을 향한 본래적 존재로서의 죽음으로의 선구
  • 양심과 결의성

    1. 본래적 실존적 가능성을 증언하는 문제
    2. 양심의 실존론적-존재론적 기초
    3. 마음씀의 부름으로서의 양심
    4. 불러냄의 이해와 책임
    5. 도덕적 책임을 비롯한 모든 현실적인 책임 있음의 실존론적 근거로서의 근원적인 책임 있음
    6. ‘양심을 가지려는 의지’로서의 ‘양심의 불러냄을 이해함’
    7. ‘가장 고유한 책임 존재를 향해 침묵 속에서 불안을 인수하는 기투’로서의 결의성
    8. 선구적 결의성
  • 마음씀의 존재론적 의미로서의 시간성

    1. 장 래
    2. ‘기재(旣在, Gewesen)’
    3. 현 재
    4. 마음씀의 근원적 통일로서의 시간성
  • 시간성과 일상성

    1. 본래적 장래와 비본래적 장래 ― 죽음으로의 선구와 예기
    2. 비본래적 현재와 본래적 현재 ― 현전화와 순간
    3. 비본래적인 기재와 본래적 기재 ― 망각과 반복
    4. 근원적인 시간과 파생적인 시간
  • 시간성과 역사성

    1. 역사문제의 실존론적-존재론적 제시
    2. 역사성의 근본구조
  • 시간성과 세계시간

    1. 비본래적 시간성과 시간에 관한 진술
    2. 자신을 위한 시간을 상실하는 것으로서의 비본래적 실존
    3. 공공적 시간의 발생
    4. 세계시간으로서의 공공적 시간
  • 통속적 시간

    1. 시간계산과 시계사용의 발생
    2. ‘지금들의 연속’으로서의 시간, 즉 통속적 시간의 발생
    3. 통속적 시간이해를 규정하는 존재이해 ― 존재를 ‘눈앞의 존재’와 동일시하는 이해
    4. 시간은 무한하다는 테제의 발생
    5. 시간의 유한성의 망각으로서의 통속적 시간해석
    6. 통속적 시간이해와 근원적 시간으로서의 시간성
    7. 현존재의 실존론적-시간적 분석과 존재 일반의 의미에 대한 기초 존재론적 물음

도덕의 계보

(박찬국 2021) 박찬국 2021

초인수업 초인수업: 나를 넘어 나를 만나다

(박찬국 2014) 박찬국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