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OGRAPHY

“12 Ancient Greek Terms That Should Totally Make a Comeback 그리스 용어 12개.” n.d. Accessed April 22, 2025. https://classicalwisdom.substack.com/p/12-ancient-greek-terms-that-should.

History

  • [2025-04-23 Wed 08:37] #뉴스에서 보았으나 평소 관심이 많지

12 Ancient Greek Terms that Should Totally Make a Comeback 그리스 용어 12개

(“12 Ancient Greek Terms That Should Totally Make a Comeback 그리스 용어 12개” n.d.)

완전히 부활해야 할 12가지 고대 그리스 용어

1\. Eudaimonia (Greek: εὐδαιμονία )

1\. 에우다이모니아 (그리스어: εὐδαιμονία)

Eudaimonia is regularly translated as happiness or welfare; however, “human flourishing or prosperity” and “blessedness” have been proposed as more accurate translations. In Aristotle’s works, eudaimonia was used as the term for the highest human good, and so it is the aim of practical philosophy, including ethics and political philosophy, to consider (and also experience) what it really is, and how it can be achieved.

에우다이모니아는 일반적으로 행복이나 복지로 번역되지만, “인간의 번성 또는 번영”과 “축복”이 더 정확한 번역으로 제안되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에서 에우다이모니아는 인간의 최고선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따라서 윤리학과 정치 철학을 포함한 실천 철학의 목표는 그것이 실제로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지를 고려 (그리고 경험)하는 것입니다.

2\. Arete (Greek: ἀρετή )

2\. 아레테 (그리스어: ἀρετή) Arete in its basic sense, means “excellence of any kind”. The term may also mean “moral virtue”. In its earliest appearance in Greek, this notion of excellence was ultimately bound up with the notion of the fulfillment of purpose or function: the act of living up to one’s full potential. 아레테는 기본적으로 “모든 종류의 탁월함”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도덕적 미덕”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스어에서 가장 초기에 등장했을 때, 이러한 탁월함의 개념은 궁극적으로 목적 또는 기능의 성취라는 개념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즉,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살아가는 행위입니다.

In the Homeric poems, Arete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bravery, but more often with effectiveness. The person of Arete is of the highest effectiveness; they use all their faculties—strength, bravery, and wit—to achieve real results. In the Homeric world, then, Arete involves all of the abilities and potentialities available to humans. 호머의 시에서 아레테는 종종 용기와 관련되지만, 더 자주 효율성과 관련됩니다. 아레테의 사람은 최고의 효율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모든 능력, 즉 힘, 용기 및 재치를 사용하여 실제 결과를 달성합니다. 따라서 호머 세계에서 아레테는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능력과 잠재력을 포함합니다.

The Choice of Hercules by Carracci, 1596. Depicts Hercules deciding between Vice (right) and Virtue, or Arete (left) 카라치, 1596년 작 ‘헤라클레스의 선택’. 헤라클레스가 악덕(오른쪽)과 미덕, 즉 아레테(왼쪽) 사이에서 결정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In some contexts, Arete is explicitly linked with human knowledge, where the expressions “virtue is knowledge” and “Arete is knowledge” are used interchangeably. The highest human potential is knowledge and all other human abilities are derived from this central capacity. 어떤 맥락에서 아레테는 인간 지식과 명시적으로 연결되며, “미덕은 지식이다”와 “아레테는 지식이다”라는 표현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됩니다. 인간의 가장 높은 잠재력은 지식이며, 다른 모든 인간 능력은 이 핵심 역량에서 파생됩니다.

3\. Phronesis (Greek: φρόνησῐς )

3\. 프로네시스 (그리스어: φρόνησῐς) Phronesis is a type of wisdom or intelligence. It is more specifically a type of wisdom relevant to practical action, implying both good judgement and excellence of character and habits, or practical virtue. As such, it is often translated as “practical wisdom”, and sometimes as “prudence.” Thomas McEvilley has proposed that the best translation is “mindfulness” 프로네시스는 일종의 지혜 또는 지능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천적 행동과 관련된 지혜의 한 종류로, 좋은 판단력과 뛰어난 성격 및 습관, 즉 실천적 미덕을 내포합니다. 따라서 종종 “실천적 지혜” 또는 때로는 “신중함”으로 번역됩니다. 토마스 맥에빌리는 최고의 번역이 “마음챙김”이라고 제안했습니다.

4\. Kleos (Greek: κλέος )

클레오스 (그리스어: κλέος) Kleos is often translated to “renown”, or “glory”. It is related to the word “to hear” and carries the implied meaning of “what others hear about you”. A Greek hero earns kleos through accomplishing great deeds. 클레오스는 종종 “명성” 또는 “영광”으로 번역됩니다. 이 단어는 “듣다”라는 단어와 관련이 있으며 “다른 사람들이 당신에 대해 듣는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그리스 영웅은 위대한 업적을 달성하여 클레오스를 얻습니다.

Kleos is invariably transferred from father to son; the son is responsible for carrying on and building upon the “glory” of the father. This is a reason for Penelope putting off her suitors for so long, and one justification for Medea’s murder of her own children was to cut short Jason’s kleos. Kleos is sometimes related to aidos — the sense of shame. 클레오스는 반드시 아버지에서 아들에게로 전달됩니다. 아들은 아버지의 “영광”을 이어받아 발전시킬 책임이 있습니다. 이것이 페넬로페가 오랫동안 구혼자들을 미룬 이유이며, 메데이아가 자신의 자녀를 살해한 한 가지 정당한 이유는 이아손의 클레오스를 단절시키기 위해서였습니다. 클레오스는 때때로 아이도스(수치심)와 관련이 있습니다.

5\. Xenia (Greek: ξενία )

5\. Xenia (그리스어: ξενία)

Xenia means “guest-friendship” and is the concept of hospitality. It includes the generosity and courtesy shown to those who are far from home and/or associates of the person bestowing guest-friendship. The rituals of hospitality created and expressed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guest and host expressed in both material benefits (such as the giving of gifts to each party) as well as non-material ones (such as protection, shelter, favors, or certain normative rights). 크세니아는 “손님-우정”을 의미하며 환대의 개념입니다. 여기에는 집에서 멀리 떨어져 있거나 손님-우정을 베푸는 사람의 동료들에게 보여주는 관대함과 예의가 포함됩니다. 환대의 의식은 물질적인 이익 (예 : 각 당사자에게 선물을주는 것)과 비 물질적인 이익 (예 : 보호, 피난처, 호의 또는 특정 규범 적 권리) 모두에서 표현 된 손님과 주최자 간의 상호 관계를 만들고 표현했습니다.

6\. Aidos (Greek: Αἰδώς )

6\. 아이도스 (그리스어: Αἰδώς)

Aidos was actually the Greek goddess of shame, modesty, respect, and humility. Aidos, as a quality, was that feeling of reverence or shame which restrains men and women from wrong. It also encompassed the emotion that a rich person might feel in the presence of the impoverished, that their disparity of wealth, whether a matter of luck or merit, was ultimately undeserved. Ancient and Christian humility have some common points, they are both the rejection of egotism and self-centeredness, arrogance and excessive pride, and is an recognition of human limitations. Aristotle defined it as a middle ground between vanity and cowardice.

아이도스는 실제로 수치심, 겸손, 존경심, 겸허의 그리스 여신이었습니다. 아이도스는 하나의 자질로서 남녀가 잘못을 저지르지 않도록 억제하는 경외심이나 수치심과 같은 감정이었습니다. 또한 부자가 가난한 사람들 앞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 즉 운이든 재능이든 그들의 부의 불균형이 궁극적으로 부당하다는 것을 포함했습니다. 고대와 기독교의 겸손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 둘 다 자아 중심주의와 자기중심성, 오만함과 과도한 자부심을 거부하고 인간의 한계를 인식하는 것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것을 허영심과 비겁함 사이의 중간 지점이라고 정의했습니다.

7\. Nostos (Greek: νόστος )

7\. Nostos (그리스어: νόστος) Nostos is a theme used in Ancient Greek literature which includes an epic hero returning home by sea. In Ancient Greek society, it was deemed a high level of heroism or greatness for those who managed to return. This journey is usually very extensive and includes being shipwrecked in an unknown location and going through certain trials that test the hero.The return isn’t just about returning home physically but also about retaining certain statuses and retaining your identity upon arrival. The theme of Nostos is brought to life in Homer’s The Odyssey , where the main hero Odysseus tries to return home after battling in the Trojan War. 노스토스(Nostos)는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 사용된 주제로, 영웅이 바다를 통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포함합니다.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는 귀환에 성공한 사람들에게 높은 수준의 영웅심 또는 위대함으로 여겨졌습니다. 이 여정은 대개 매우 광범위하며, 미지의 장소에서 난파되거나 영웅을 시험하는 특정 시련을 겪는 것을 포함합니다. 귀환은 단순히 물리적으로 집으로 돌아가는 것뿐만 아니라 특정 지위를 유지하고 도착 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노스토스라는 주제는 호머의 오디세이에 잘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주인공 오디세우스는 트로이 전쟁에서 싸운 후 집으로 돌아가려고 노력합니다.

Incidentally, the word nostalgia was first coined as a medical term in 1688 by Johannes Hofer (1669-1752), a Swiss medical student. It uses the word νόστος along with another Greek root, άλγος or algos, meaning pain, to describe the psychological condition of longing for the past. 그런데 향수병이라는 단어는 1688년 스위스 의대생인 요하네스 호퍼(Johannes Hofer, 1669-1752)가 의학 용어로 처음 만들었습니다. 이 단어는 과거에 대한 갈망이라는 심리적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고통을 의미하는 άλγος 또는 algos라는 또 다른 그리스어 어근과 함께 νόστος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8\. Oikos (Greek: οἶκος )

8\. 오이코스 (그리스어: οἶκος) Oikos refers to three related but distinct concepts: the family, the family’s property, and the house. Its meaning shifts even within texts, which can lead to confusion. 오이코스는 가족, 가족의 재산, 그리고 집이라는 세 가지 관련되지만 구별되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그 의미는 텍스트 내에서도 바뀌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The oikos was the basic unit of society in most Greek city-states. In normal Attic usage the oikos, in the context of families, referred to a line of descent from father to s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lternatively, as Aristotle used it in his Politics, the term was sometimes used to refer to everybody living in a given house. Thus, the head of the oikos, along with his immediate family and his slaves, would all be encompassed. Large oikoi also had farms that were usually tended by the slaves, which were also the basic agricultural unit of the ancient economy. 오이코스는 대부분의 그리스 도시 국가에서 사회의 기본 단위였습니다. 일반적인 아티카 용법에서 가족과 관련된 오이코스는 대대로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지는 혈통을 의미했습니다. 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정치학에서 사용한 것처럼, 이 용어는 때때로 특정 집에 사는 모든 사람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오이코스의 우두머리는 직계 가족 및 노예와 함께 모두 포함될 것입니다. 큰 오이코이는 또한 일반적으로 노예가 돌보는 농장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고대 경제의 기본 농업 단위였습니다.

9\. Apatheia (Greek: ἀπάθεια ) 9\. 아파테이아 (그리스어: ἀπάθεια) In Stoicism, Apatheia refers to a state of mind in which one is not disturbed by the passions. It is best translated by the word equanimity rather than indifference. The meaning of the word apatheia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modern English apathy, which has a distinctly negative connotation. According to the Stoics, apatheia was the quality that characterized the sage. 스토아 철학에서 아파테이아는 격정에 휘둘리지 않는 마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무관심보다는 평정심이라는 단어로 번역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아파테이아라는 단어의 의미는 현대 영어의 apathy(무관심, 냉담)와는 상당히 다르며, apathy는 뚜렷하게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스토아 학파에 따르면 아파테이아는 현자를 특징짓는 자질이었습니다.

10\. Ataraxia (Greek: ἀταραξία )

Ataraxia literally translates as “unperturbedness”, but is generally considered as “imperturbability”, “equanimity”, or “tranquillity”. It was first used by Pyrrho and subsequently Epicurus and the Stoics for a lucid state of robust equanimity characterized by ongoing freedom from distress and worry. In non-philosophical usage, the term was used to describe the ideal mental state for soldiers entering battle. Ataraxia는 문자 그대로 “동요하지 않음”으로 번역되지만, 일반적으로 “평정심”, “침착함” 또는 “평온함”으로 여겨집니다. 이 용어는 원래 피론이 사용했으며, 이후 에피쿠로스와 스토아 학파가 고통과 걱정으로부터 지속적인 자유를 특징으로 하는 명료한 평정심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했습니다. 비철학적인 용례에서는 전투에 참가하는 군인에게 이상적인 정신 상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Achieving ataraxia is a common goal for Pyrrhonism, Epicureanism, and Stoicism, but the role and value of ataraxia within each philosophy varies depending their philosophical theories. The mental disturbances that prevent one from achieving ataraxia vary among the philosophies, and each philosophy has a different understanding as to how to achieve ataraxia. 아타락시아를 달성하는 것은 피론주의, 에피쿠로스주의, 스토아주의의 공통적인 목표이지만, 각 철학 내에서 아타락시아의 역할과 가치는 그들의 철학 이론에 따라 다릅니다. 아타락시아를 달성하는 데 방해가 되는 정신적 혼란은 철학마다 다르며, 각 철학은 아타락시아를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서로 다른 이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11\. Doxa (Greek: δόξα ) 11\. 독사(그리스어: δόξα)

Doxa means common belief or popular opinion and comes from verb δοκεῖν dokein, “to appear”, “to seem”, “to think” and “to accept”. Used by the Greek rhetoricians as a tool for the formation of argument by using common opinions, the doxa was often manipulated by sophists to persuade the people, leading to Plato’s condemnation of Athenian democracy. It is used in direct contrast to Episteme and Techne.

독사는 일반적인 믿음 또는 대중적인 의견을 의미하며 “나타나다”, “보이다”, “생각하다” 및 “받아들이다”를 의미하는 동사 δοκεῖν dokein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리스 수사학자들은 일반적인 의견을 사용하여 주장을 형성하는 도구로 사용했으며, 독사는 종종 소피스트에 의해 사람들을 설득하기 위해 조작되어 플라톤의 아테네 민주주의에 대한 비난으로 이어졌습니다. 이것은 에피스테메 및 테크네와 직접적인 대조를 이룹니다.

12\. Episteme (Greek: ἐπιστήμη ) and Techne (Greek: τέχνη )

에피스테메(그리스어: ἐπιστήμη) 및 테크네(그리스어: τέχνη)

Episteme can refer to knowledge, science or understanding, and which comes from the verb ἐπίστασθαι, meaning “to know, to understand, or to be acquainted with”. The word “epistemology” is derived from episteme.

에피스테메(Episteme)는 지식, 과학 또는 이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알다, 이해하다, 또는 친숙하다”를 의미하는 동사 ἐπίστασθαι에서 유래했습니다. “인식론(epistemology)“이라는 단어는 에피스테메에서 파생되었습니다.

Meanwhile Techne is often translated as “craftsmanship”, “craft”, or “art”. While it resembles epistēmē in the implication of knowledge of principles, techne differs in that its intent is making or doing as opposed to disinterested understanding. However, Plato regularly used the two terms interchangeably, and to the ancients, techne and episteme simply mean knowing and “both words are names for knowledge in the widest sense.” 한편, 테크네(Techne)는 종종 “장인 정신”, “기술” 또는 “예술”로 번역됩니다. 원리에 대한 지식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에피스테메와 유사하지만, 테크네는 사심 없는 이해와는 달리 만들거나 행하는 것을 의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플라톤은 이 두 용어를 정기적으로 번갈아 사용했으며, 고대인들에게 테크네와 에피스테메는 단순히 앎을 의미하며 “두 단어 모두 가장 넓은 의미에서 지식을 나타내는 이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