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OGRAPHY

“메타인지 Metacognition.” 2025. In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Metacognition&oldid=1287591320.

스콧 배리 카우프만. 2021. 트랜센드: 최고의 마음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3497681.

히스토리

  • [2025-06-01 Sun 19:20] 메타를 잘 써야된다.

키워드: 인지

메타인지 Metacognition

(“메타인지 Metacognition” 2025) 2025

Metacognition is an awareness of one’s thought processes and an understanding of the patterns behind them. The term comes from the root word meta, meaning “beyond”, or “on top of”. Metacognition can take many forms, such as reflecting on one’s ways of thinking, and knowing when and how oneself and others use particular strategies for problem-solving. There are generally two components of metacognition: (1) cognitive conceptions and (2) cognitive regulation system. Research has shown that both components of metacognition play key roles in metaconceptual knowledge and learning. Metamemory, defined as knowing about memory and mnemonic strategies, is an important aspect of metacognition. Writings on metacognition date back at least as far as two works by the Greek philosopher Aristotle (384–322 BC): On the Soul and the Parva Naturalia.

Thinking about Thinking : Metacognition (메타인지)

  • TAT :Thinking about Thinking - Awareness of our thoughts
  • 메타인지는 나의 생각을 관찰하고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다. awareness of our thoughts
  • 이것은 단순히 나의 생각에 대한 자각, 그 생각의 내용, 그것이 우리의 경험에 미칠 수 있는 영향, 그리고 우리가 처음 그 생각을 떠올리게된 방법이다.
  • 우리는 자각(awareness) 없이는 삶의 어떤 것도 바꿀 수 없다. ‒ 왜?!
  • 예) 코끼리 상아 이야기 ‒ 나는 상아가 있다고 믿었는데 아니라고 한다. 왜 그것을 믿어 왔는지 생각을 생각해보자. 이게 메타인지이다. 만약 없다고? 그럼 관둬! 라고 한다면 메타인지가 아니다.
  • 예) 5 살 딸 이야기 ‒ 친구가 나의 그림을 찢었어. 왜 그랬는지는 알바 없고 화나 죽겠어! ‒ 아직 어린 딸의 뇌는 메타인지를 할 정도로 성숙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는 왜 화가 났으며 친구는 왜 그랬을지 생각해본다면 메타인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 @필부아시에르 Thriving with Adult ADHD #실리콘밸리 #잠재력

인지심리 직관력 - 인지과학

인지심리학 [cognitive psychology, 認知心理學] 인지심리학 과학적·기초적 심리학의 한 분야

인튜이션

[2023-12-16 Sat 00:23]

직관력은 삶에 어떤

[2023-12-16 Sat 00:23]

U-Theory - U-Process

[2023-12-16 Sat 00:23]

(스콧 배리 카우프만 2021) 트랜센드: 최고의 마음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스콧 배리 카우프만 (2021)

욕구단계이론

자기-객관화

alias:: [BROKEN LINK: Self-Objectification] url:: https://en.wikipedia.org/wiki/Self-objectification

  • 자기 객관화 수업 - 책

    • 성공하려면 자기 객관화 능력이 중요하다고들 한다.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잘 알고 있어야 무슨 일이든 제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기 객관화를 통해 분수를 알게 되면 내면의 평화를 얻을 수 있다고도 한다. 그런데 자기 객관화는 학술적으로 명확하게 구명된 정의조차 없는 개념이다. 심리학이나 철학 등 인문학 분야에서 제대로 연구된 적도 없다.
    • 연세대 인지과학연구소의 모기룡 박사가 쓴 《자기 객관화 수업》은 자기 객관화라는 개념을 둘러싼 여러 심리학·철학적 측면을 고찰한 책이다. 책은 주인공인 민준과 스승인 구루의 대화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 저자는 두 사람의 입을 빌려 자기 객관화가 학술적으로 연구된 적이 없는 이유를 비롯해 나답게 산다는 것의 의미, 타인에게 휩쓸리지 않는 방법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견해를 흥미롭게 풀어나간다. 자존감, 가스라이팅, 개성과 자유의 표현 등 익숙하면서도 명료하지 않은 주제들을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 자기 객관화는 ==객관적 사실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나에 대해 갖고 있는 주관을 파악하는 능력==인데, 타인의 견해는 학술적 연구보다는 여론조사 대상에 가깝다는 것이다.
    • 자기 객관화라는 주제를 통해 서양 철학과 동양 철학을 비교분석한 대목도 있다. 저자는 서양 철학의 특징으로 주관적 관점과 주체성, 자존감 중시를 꼽는다. 하지만 이처럼 주관을 강조하는 시각은 자기 객관화를 어렵게 만든다. 반면 동양 철학은 관계를 중시하기 때문에 자기 객관화에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 대부분의 심리적 불안이 자기 객관화 부족에서 비롯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볼지 모르기 때문에 주변 시선에 신경을 쓰고 휘둘린다는 것. 자기 객관화는 이런 불안을 줄여준다. 자기 객관화는 성공하려면 갖춰야 하는 능력이기도 하다.
  • ‘자기 객관화’의 위험

  • from [BROKEN LINK: Bona] [BROKEN LINK: 2022-05-22] 자기 객관화 관련